오이, 쑥갓, 가지… 소박한 우리네 밥상의 주인공이자 <식재료 이력서>의 주역들이다. 심심한 맛에 투박한 외모를 가진 이들에게 무슨 이력이 있다는 것일까. 여러 방면의 책을 집필하고 칼럼을 기고해 온 황천우 작가의 남다른 호기심으로 탄생한 작품. ‘사람들이 식품을 그저 맛으로만 먹게 하지 말고 각 식품들의 이면을 들춰내 이야깃거리를 만들어 나름 의미를 주자’는 작가의 발상. 작가는 이 작품으로 인해 인간이 식품과의 인연을 소중하게 생각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고려 시대 명문장가인 이규보(李奎報, 1168∼1241) 작품 ‘가지(茄,가)’ 감상해 보자. 浪紫浮紅奈老何(낭자부홍내로하) 자주 물결에 붉은 빛 띄니 늙음 어찌하랴 看花食實莫如茄(간화식실막여가) 꽃 보고 열매 먹기로 가지만 한 게 없네 滿畦靑卵兼(?)卵(만휴청란겸정란) 두렁 가득한 푸른 알과 붉은 알 生喫烹嘗種種嘉(생끽팽상종종가) 날로 먹고 삶아 맛보아도 모두 좋다네 극찬 가지에 대한 극찬이 조금은 도를 넘어서고 있지 않나 하는 느낌이 일어난다. 그도 그럴 것이 농부의 아들로 태어난 필자가 어린 시절 접했던 가지
허균을 <홍길동전>의 저자로만 알고 있는 독자들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조선시대에 흔치않은 인물이었다. 기생과 어울리기도 했고, 당시 천대받던 불교를 신봉하기도 했다. 사고방식부터 행동거지까지 그의 행동은 조선의 모든 질서에 반(反)했다. 다른 사람들과 결코 같을 수 없었던 그는 기인(奇人)이었다. 소설 <허균, 서른셋의 반란>은 허균의 기인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파격적인 삶을 표현한다. 모든 인간이 평등한 삶을 누려야 한다는 그의 의지 속에 태어나는 ‘홍길동’과 무릉도원 ‘율도국’. <허균, 서른셋의 반란>은 조선시대에 21세기의 시대상을 꿈꿨던 기인의 세상을 마음껏 느껴볼 수 있는 장이 될 것이다. “나리.” 아련하게 자신을 부르는 소리가 들려왔다. 소리만이 아니라 바로 옆에서 누군가가 꼼지락거리며 움직이고 있었다. 눈을 뜨고 옆을 바라보았다. 별이 막 자리에서 일어나 옷을 입으려 하고 있었다. 누운 체로 가만히 하는 양을 바라보던 허균이 별의 손을 잡아당겼다. “이제 그만 일어나셔야지요.” 아침을 맞다 그리 말하는 별이 당당했다. 지
허균을 <홍길동전>의 저자로만 알고 있는 독자들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조선시대에 흔치않은 인물이었다. 기생과 어울리기도 했고, 당시 천대받던 불교를 신봉하기도 했다. 사고방식부터 행동거지까지 그의 행동은 조선의 모든 질서에 반(反)했다. 다른 사람들과 결코 같을 수 없었던 그는 기인(奇人)이었다. 소설 <허균, 서른셋의 반란>은 허균의 기인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파격적인 삶을 표현한다. 모든 인간이 평등한 삶을 누려야 한다는 그의 의지 속에 태어나는 ‘홍길동’과 무릉도원 ‘율도국’. <허균, 서른셋의 반란>은 조선시대에 21세기의 시대상을 꿈꿨던 기인의 세상을 마음껏 느껴볼 수 있는 장이 될 것이다. 매창의 얼굴이 한쪽으로 기울었다. “나라는 인간이 그렇다오.” 매창이 차마 입을 열지 못하고 있었다. “특히 상대가 천하다 싶으면 더욱 정성을 기울인다오.” “진짜 고수시네요. 그렇게 함으로써 여자의 모든 것을 취하고 또 받아들이고…….” 가느다란 한숨을 내쉬며 매창이 힘들게 입을 열었다. 파직
허균을 <홍길동전>의 저자로만 알고 있는 독자들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조선시대에 흔치않은 인물이었다. 기생과 어울리기도 했고, 당시 천대받던 불교를 신봉하기도 했다. 사고방식부터 행동거지까지 그의 행동은 조선의 모든 질서에 반(反)했다. 다른 사람들과 결코 같을 수 없었던 그는 기인(奇人)이었다. 소설 <허균, 서른셋의 반란>은 허균의 기인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파격적인 삶을 표현한다. 모든 인간이 평등한 삶을 누려야 한다는 그의 의지 속에 태어나는 ‘홍길동’과 무릉도원 ‘율도국’. <허균, 서른셋의 반란>은 조선시대에 21세기의 시대상을 꿈꿨던 기인의 세상을 마음껏 느껴볼 수 있는 장이 될 것이다. “나의 운명을 바꾼다.” “이 세상이 나리를 품기에는 너무나 부족한지도 모르겠사옵니다. 특히 나리 주변분들, 허봉 나리와 손곡 이달 스승님 그리고 허난설헌 누님까지 말입니다.” “물론 당신도.” 매창이 대답 대신 미소를 보였다. 허균이 심각한 표정으로 술잔을 비워냈다. 꿈속 “외람된 말씀이오나 소녀는 항상 꿈
허균을 <홍길동전>의 저자로만 알고 있는 독자들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조선시대에 흔치않은 인물이었다. 기생과 어울리기도 했고, 당시 천대받던 불교를 신봉하기도 했다. 사고방식부터 행동거지까지 그의 행동은 조선의 모든 질서에 반(反)했다. 다른 사람들과 결코 같을 수 없었던 그는 기인(奇人)이었다. 소설 <허균, 서른셋의 반란>은 허균의 기인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파격적인 삶을 표현한다. 모든 인간이 평등한 삶을 누려야 한다는 그의 의지 속에 태어나는 ‘홍길동’과 무릉도원 ‘율도국’. <허균, 서른셋의 반란>은 조선시대에 21세기의 시대상을 꿈꿨던 기인의 세상을 마음껏 느껴볼 수 있는 장이 될 것이다. 방긋이 웃으며 말하는 매창의 모습을 보는 순간 가운데에서 뜨거운 기운이 세차게 밀고 올라왔다. 몸이 저절로 매창에게 향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어느 순간 매창의 얼굴에서 뜨거운 기운이 자신의 얼굴로 향하고 있는 사실에 멈칫했다. 아니, 그 순간 매창의 얼굴 위로 어디선가 낯익은 얼굴이 스쳐지나갔다. 얼굴 분명 자신의 누나 난설헌의 모습이었다. 허균이 급히 뒤로 물러났다. 매창이 놀란
허균을 <홍길동전>의 저자로만 알고 있는 독자들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조선시대에 흔치않은 인물이었다. 기생과 어울리기도 했고, 당시 천대받던 불교를 신봉하기도 했다. 사고방식부터 행동거지까지 그의 행동은 조선의 모든 질서에 반(反)했다. 다른 사람들과 결코 같을 수 없었던 그는 기인(奇人)이었다. 소설 <허균, 서른셋의 반란>은 허균의 기인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파격적인 삶을 표현한다. 모든 인간이 평등한 삶을 누려야 한다는 그의 의지 속에 태어나는 ‘홍길동’과 무릉도원 ‘율도국’. <허균, 서른셋의 반란>은 조선시대에 21세기의 시대상을 꿈꿨던 기인의 세상을 마음껏 느껴볼 수 있는 장이 될 것이다. “아니오, 그럴 것이 아니라 이제는 매창의 이야기를 들어봅시다. 고리타분한 나의 이야기는 잠시 접어두고 말이오.” “사실 그 이후의 일은 드릴 말씀이 없사옵니다.” “그 무슨 뜻이요.” “그냥 일상의 연속이었지요.” “촌은이 떠난 이후 지금까지 말이오.” 일상의 연속 &ldqu
허균을 <홍길동전>의 저자로만 알고 있는 독자들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조선시대에 흔치않은 인물이었다. 기생과 어울리기도 했고, 당시 천대받던 불교를 신봉하기도 했다. 사고방식부터 행동거지까지 그의 행동은 조선의 모든 질서에 반(反)했다. 다른 사람들과 결코 같을 수 없었던 그는 기인(奇人)이었다. 소설 <허균, 서른셋의 반란>은 허균의 기인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파격적인 삶을 표현한다. 모든 인간이 평등한 삶을 누려야 한다는 그의 의지 속에 태어나는 ‘홍길동’과 무릉도원 ‘율도국’. <허균, 서른셋의 반란>은 조선시대에 21세기의 시대상을 꿈꿨던 기인의 세상을 마음껏 느껴볼 수 있는 장이 될 것이다. 허성이 잠시 사이를 두었다. “아버지께서 생전에 내게 이르신 말씀이 있구나. 균인 반드시 훌륭한 사람, 이 조선에 요긴한 인물이 될 터이니 성심성의껏 돌보라고 말이다.” “형님, 하늘 아래 저 같은 한심한 인간은 또 없을 것입니다. 그런 저를…….” 설득하는 형님 “모름지기 천명이라 했다. 나는 너와 같이
허균을 <홍길동전>의 저자로만 알고 있는 독자들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조선시대에 흔치않은 인물이었다. 기생과 어울리기도 했고, 당시 천대받던 불교를 신봉하기도 했다. 사고방식부터 행동거지까지 그의 행동은 조선의 모든 질서에 반(反)했다. 다른 사람들과 결코 같을 수 없었던 그는 기인(奇人)이었다. 소설 <허균, 서른셋의 반란>은 허균의 기인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파격적인 삶을 표현한다. 모든 인간이 평등한 삶을 누려야 한다는 그의 의지 속에 태어나는 ‘홍길동’과 무릉도원 ‘율도국’. <허균, 서른셋의 반란>은 조선시대에 21세기의 시대상을 꿈꿨던 기인의 세상을 마음껏 느껴볼 수 있는 장이 될 것이다. 강릉에 도착하여 외가 근처에 자리 잡은 허균은 그야말로 은둔자 생활을 시작했다. 똑같은 일상 똑같은 날들의 연속이었다. 고작 세상을 접하는 일은 그저 낙산사를 찾고 그곳에서 스님들과 벗 삼아 지내는 일이 전부였다. 그 과정에 낙산사 아래를 가득 채우고 있는 파란 바다를 바라보면서 그 바닷물에 비치는 자신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기 시작했다. 너무나 기구한 주변 사람들의 운명, 자신
허균을 <홍길동전>의 저자로만 알고 있는 독자들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조선시대에 흔치않은 인물이었다. 기생과 어울리기도 했고, 당시 천대받던 불교를 신봉하기도 했다. 사고방식부터 행동거지까지 그의 행동은 조선의 모든 질서에 반(反)했다. 다른 사람들과 결코 같을 수 없었던 그는 기인(奇人)이었다. 소설 <허균, 서른셋의 반란>은 허균의 기인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파격적인 삶을 표현한다. 모든 인간이 평등한 삶을 누려야 한다는 그의 의지 속에 태어나는 ‘홍길동’과 무릉도원 ‘율도국’. <허균, 서른셋의 반란>은 조선시대에 21세기의 시대상을 꿈꿨던 기인의 세상을 마음껏 느껴볼 수 있는 장이 될 것이다. 별이 차마 대답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 모습으로 미루어 삼복의 입을 통해서 무슨 말이 오갔는지 훤히 예견할 수 있었다. 천하의 자유인 허균이 아니라 천하의 난봉꾼 허균으로 일러주었을 터였다. “그 녀석이 뭐라 이르던가.” 그래도 별의 입이 열리지 않고 몸만 더욱 옹크리고 있었다. 그 사이 사이 슬쩍슬쩍 별의 탱탱한 가슴살이 드러나고 있었다. 그 모습을 바라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