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4.11.23 00:01
크론병이란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관 전체에 걸쳐 어느 부위에서든지 발생할 수 있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크론병’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진료인원은 2016년 1만9332명에서 2020년 2만5532명으로 6200명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7.2%로 나타났다. 남성은 2016년 1만2869명에서 2020년 1만7269명으로 34.2%(4400명) 증가했고, 여성은 2016년 6463명에서 2020년 8263명으로 27.9%(1800명) 증가했다. 1인 가구 2020년 기준 크론병 질환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2만5532명) 중 20대가 30.4%(7759명)로 가장 많았고, 30대가 22.6%(5774명), 40대가 14.6%(3729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20대 32.7%, 30대 24.2%, 40대 15.2%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는 2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25.5%로 가장 높았고, 30대 및 40대 이상이 각각 19.3%, 13.4%를 차지했다. 조용석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20대 환자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수급권자를 포함하는 의료 보장 적용 인구의 전국 시·군·구별 의료 이용 현황을 수록한 ‘2020 지역별 의료 이용 통계연보’를 올해로 15년째 발간한다고 밝혔다. ‘2020 지역별 의료 이용 통계연보’는 의료 보장 적용 인구, 진료실적 현황, 주요 암질환 및 만성질환 현황, 다(多)빈도 상병현황 등 총 9개의 주제로 구성됐으다. 이를 통해 지역별 의료 이용 전반에 대한 통계를 확인할 수 있다. 인구 줄고 지역별 보건정책을 수립하고 평가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발간된 2020 지역별 의료 이용 통계연보는 지난 10일부터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www.nhis.or.kr)에서 열람가능하며,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시스템 KOSIS(www.kosis.kr)에서도 DB 자료로 등록돼 서비스하고 있다. 2020 지역별 의료 이용 통계연보에 따르면, 지난해 의료 보장(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적용 인구는 5287만명으로 전년 대비 -0.0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65세 이상 노인은 848만명으로 전년 대비 6.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기준, 전체 진료비는 95조6936억원으로 2019년 94조6765
만성 C형간염은 C형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돼 발생하는 질환으로, 바이러스가 간세포에 침입하면 우리 몸에서 지속적인 면역반응이 일어나 간이 손상되며, 급성 감염 후 70% 이상이 만성으로 진행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만성C형간염’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 현황을 발표했다. 손상 신규 진료인원은 2016년 1만4087명에서 2020년 8647명으로 5440명이 감소했고, 연평균 11.5%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2016년 6662명에서 2020년 4142명으로 37.8%(2520명) 감소했고, 여성은 2016년 7425명에서 2020년 4505명으로 39.3%(2920명) 감소했다. 2020년 기준 만성C형감염 질환의 연령대별 신규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8647명) 중 50대가 29.6%(2561명)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24.6%(2128명), 40대가 14.2%(1230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50대 32.9%, 60대 23.8%, 40대 15.9%의 순으로 나타났으며,여성의 경우 50대 26.6%, 60대 25.4%, 70대 16.5%를 차지했다. 대한간학
하지정맥류는 정맥의 혈류를 심장 방향으로 흐르도록 조절하는 정맥 내의 판막이 적절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되면서, 혈액이 정맥 내에 고여 압력이 증가해 정맥이 점차 확장돼 발생하는 질환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하지정맥류’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진료인원은 2016년 16만2000명에서 2020년 21만2000명으로 5만명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7.0%로 나타났다. 남성은 2016년 5만2000명에서 2020년 6만7000명으로 28.7%(1만5000명) 증가했고, 여성은 2016년 11만명에서 2020년 14만5000명으로 32.0%(3만5000명) 증가했다. 정맥 확장 2020년 기준 하지정맥류 질환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21만2000명) 중 50대가 26.9%(5만7000명)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23.8%(5만명), 40대가 17.9%(3만8000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60대 25.5%, 50대 23.2%, 40대 15.5%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는 5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28.7%로 가장 높았고, 60대 및 4
갑상선에서 생성되는 갑상선호르몬은 우리 몸의 대사 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갑상선기능저하증은 이러한 갑상선에 기능적 문제가 생겨서 갑상선호르몬이 잘 생성되지 않아 체내에 갑상선호르몬이 정상보다 낮거나 결핍된 상태를 말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6년부터 지난해까지 발생한 ‘갑상선기능저하증’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현황 진료인원은 2016년 47만2000명에서 지난해 56만2000명으로 9만1000명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4.5%로 나타났다. 남성은 2016년 7만1000명에서 지난해 9만2000명으로 29.4%(2만1000명) 증가했고, 여성은 2016년 40만명에서 지난해 47만명으로 17.4%(7만명) 증가했다. 지난해 기준 갑상선기능저하증 질환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56만2000명) 중 50대가 23.4%(13만2000명)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21.6%(12만1000명), 40대가 18.5%(10만4000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60대 23.2%, 50대 20.8%, 70대 16.6%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는 5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2
위-식도역류병은 위산이나 위속의 내용물이 식도로 역류해 가슴 안쪽이 타는 듯한 통증이나 쓰림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위-식도역류병’ 질환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식습관 서구화 전체 진료인원은 2016년 420만3000명에서 2020년 458만9000명으로 9.2%(38만6000명)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2.2%로 나타났다. 남성은 2016년 177만6000명에서 2020년 193만3000명으로 8.9%(15만7000명) 증가했고, 여성은 2016년 242만7000명에서 2020년 265만6000명으로 9.4%(22만8000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기준 위-식도역류병 질환 진료인원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458만9000명) 중 60대가 21.2%(97만3000명)로 가장 많았고, 50대가 20.7%(94만9000명), 40대가 17.0%(77만9000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60대 21.1%, 50대 20.3%, 40대 18.2%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는 6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21.3%로 가장 높았고, 50대 및 40
여유증(유방의 비대)은 남성의 유방에서 조직 증식이 일어나 여성처럼 유방이 발달하는 증세를 말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집계된 ‘여유증(유방의 비대)’ 질환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진료인원은 2016년 1만5591명에서 2020년 2만5423명으로 5년간 63.1%(9832명)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13.0%로 나타났다. 입원환자는 2016년 1903명에서 2020년 8622명으로 353.1%(6719명) 증가했고, 외래환자는 2016년 1만5173명에서 2020년 2만3963명으로 57.9%(8790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방의 비대 2020년 기준 여유증 질환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2만5423명) 중 20대가 34.7%(8830명)로 가장 많았고, 30대가 16.7%(4237명), 19세 이하가 15.0%(3817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진료형태 구분별로 살펴보면, 입원환자는 20대 59.9%(5165명), 30대 26.3%(2266명), 19세 이하 5.7%(489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외래환자의 경우 20 대가 차지하는 비율은 33.2%(7956명),
요로결석이란 요로계에 요석이 생성돼 소변의 흐름에 장애가 초래되고, 그 결과 격심한 통증이 발생하거나 요로감염, 수신증, 신부전 등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요로결석’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 현황을 발표했다. 30만3000명 진료인원은 2016년 27만8 000명에서 2020년 30만3000명으로 2만5000명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2.2%로 나타났다. 남성은 2016년 18만3000명에서 2020년 20만3000명으로 10.6%(1만9000명) 증가했고, 여성은 2016년 9만5000명에서 2020년 10만명으로 5.9%(6000명) 증가했다. 2020년 기준 요로결석 질환의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 인원(30만3000명) 중 50대가 24.1%(7만3000명)로 가장 많았고, 40대가 20.7%(6만3000명), 60대가 20.7%(6만3000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50대 23.1%, 40대 23.1%, 60대 18.7%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는 5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26.0%로 가장 높았고, 60대 및 40대 이상이 각각 2
건초염이란 건초, 건막에 염증이 생기는 것으로, 건막염이라고도 한다. 근육의 끝은 힘줄(건)로 돼 있는데, 이 힘줄이 뼈에 붙어서 관절을 움직이는 힘을 제공하고 있다. 인대가 단순히 뼈를 잡아주는 수동적 역할을 하는 반면에 근육의 끝인 힘줄은 관절을 움직이는 능동적 역할을 하고 있다. 힘줄은 활액막으로 덮여 있는데, 이를 건초(힘줄을 싸고 있는 막) 또는 건막이라고 부른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건초염’ 질환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건막염 진료인원은 2016년 151만6000명에서 2020년 160만3000명으로 8만7000명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1.4%로 나타났다. 남성은 2016년 58만6000명에서 2020년 65만명으로 11.0%(6만5000명) 증가했고, 여성은 2016년 93만명에서 2020년 95만3000명으로 2.5%(2만3000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기준 건초염 질환을 겪는 연령대별 진료인원 구성비를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160만3000명) 중 50대가 24.7%(39만6000명)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18.7%(29만9000명), 40대가 17.3%(2
탈모증이란 정상적으로 모발이 존재해야 할 부위에 모발이 없는 상태를 말한다. 머리를 감거나 자고 나서 정수리 부위나 앞머리 부위에 머리카락이 많이 빠지거나, 머리카락이 가늘어지거나, 유전적으로 탈모 요인이 있으면 의심해볼 수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6년부터 2020년 ‘탈모증’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30대 많아 진료인원은 2016년 21만2 000명에서 2020년 23만3000 명으로 2만1000명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2.4%로 나타났다. 남성은 2016년 11만7000명에서 2020년 13만3000명으로 13.2%(1만6000명) 증가했고, 여성은 2016년 9만5000명에서 2020년 10만명으로 5.8%(6000명)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2020년 기준 탈모증 질환 진료인원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23만3000명) 중 30대가 22.2%(5만2000명)로 가장 많았고, 40대가 21.5%(5만명), 20대가 20.7%(4만8000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30대 25.5%, 40대 22.3%, 20대 22.2%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는 40대가 차지하는
혈압이 낮아지면 정도와 원인에 따라 다양한 예후와 임상양상을 나타내는데, 대개 혈압이 수축기혈압 90mmHg 보다 낮으면 저혈압이라고 한다. 이완기 혈압은 수축기혈압에 비해 완자의 기능장애를 동반하는 저혈압 상태를 잘 반영하지는 않지만 60mmHg 미만을 일반적으로 정의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5년부터 2019년 ‘저혈압’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진료인원은 2015년 2만4946명에서 2019년 3만6024명으로 1만1078명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9.6%로 나타났다. 70대 남성 남성은 2015년 1만1053명에서 2019년 1만6430명으로 48.6%(5377명) 증가했고, 여성은 2015년 1만3893명에서 2019년 1만9594명으로 41.0%(5701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기준 저혈압 질환 진료인원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3만6024명) 중 70대가 19.6%(7060명)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16.5%(5946명), 80대 이상이 14.2%(5105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70대 26.9%, 60대 20.5%, 80대 이상이 16.0%의 순
연조직염이란 피부와 피하조직에 발생하는 세균 감염증이다. 과거에는 벌집모양의 염증이라 해서 봉와직염, 또는 봉소직염으로 불렸으나 의학용어의 우리말 개정작업을 통해 연조직염이라는 용어를 만들어 사용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두 용어를 혼용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5년부터 2019년 ‘연조직염’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진료인원은 2015년 111만6000명에서 2019년 122만3 000명으로 10만8000명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2.3%로 나타났다. 남성은 2015년 54만6000명에서 2019년 59만8000명으로 9.5%(5만2000명) 증가했고, 여성은 2015년 57만명에서 2019년 62만6000명으로 9.8%(5만6000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벌집모양 2019년 기준 연조직염 질환 진료인원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122만3000명) 중 50대가 16.1%(19만7000명)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14.0%(17만1000명), 40대가 13.5%(16만6000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50대 15.2%, 40대 13.7%, 60대 13.4%의
‘신경인성 방광’이란 신경이나 근골격계 손상, 혹은 기능이상으로 배뇨와 관계된 방광이나 요도 기능에 이상이 발생하는 일종의 배뇨 증상군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신경인성 방광’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진료인원은 2015년 37만2000명에서 2019년 56만4000명으로 5년 간 51.8%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11%로 나타났다. 남성은 2015년 13만명에서 2019년 22만1000명으로 9.5%(9만명) 증가했고, 여성은 2015년 24만1000명에서 2019년 34만3000명으로 42.2%(10만2000명) 증가했다. 수축력 저하 2019년 기준 신경인성 방광 질환 진료인원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56만4000명) 중 70대가 23.3%(13만2000명)로 가장 많았고, 60대가 21.6%(12만2000명), 50대가 16.1%(9만1000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60대 21.4%, 70대 21.3%, 50대 15.0%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는 70대가 차지하는 비율이 24.6%로 가장 높았고, 60대 및 80대 이상이 각각 21.8
강박장애란 원하지 않는 생각이 반복적으로 떠올라서 불안해지고 그 불안을 없애기 위해 어떤 행동을 반복하게 되는 질환이다. 예를 들어 손에 세균이 있다는 생각이 계속 떠올라 불안해지고, 그 불안을 잠재우기 위해 하루에도 수십 번씩 손을 씻게 되는 증상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5년부터 2019년까지 ‘강박장애’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3만명 진료인원은 2015년 2만4446명에서 2019년 3만152명으로 5706명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5.4%로 나타났다. 남성은 2015년 1만4302명에서 2019년 1만7367명으로 21.4%(3065명) 증가했고, 여성은 2015년 1만144명에서 2019년 1만2785명으로 26.0%(2641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 기준 강박장애 질환 진료인원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3만152명) 중 20대가 28.3%(8520명)로 가장 많았고, 30대가 20.6%(6220명), 40대가 16.1%(4865명) 순으로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20대 29.8%, 30대 20.7%, 40대 15.3%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는 20대가 차
상과염이란 팔꿈치 상완골의 내상과, 외상과에 발생하는 염증이나 이는 잘못된 용어이며, 염증성 질환이 아닌 퇴행성 건병증이다. 상과염은 크게 ‘테니스 엘보’라고 불리는 외측 상과염과 ‘골퍼 엘보’라고 불리는 내측 상과염으로 분류된다. 외측 상과염은 손목을 들어올리는 신전건 중 특히 단요측수근신근이 외상과 기시부에서 만성적인 퇴행성 건병증이 생겨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며, 내측 상과염은 손목을 굽히는 굴곡건 중 요측수근굴근과 원회내근의 내상과 기시부에서 발생하는 만성 퇴행성 건병증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해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상과염’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현황을 발표했다. 진료인원은 2015년 70만5000명에서 2019년 81만4000명으로 10만8000명이 증가했고, 연평균 증가율은 3.6%로 나타났다. 남성은 2015년 33만1000명에서 2019년 40만6000명으로 22.5%(7만5000명) 증가했고, 여성은 2015년 37만4000명에서 2019년 40만8000명으로 9.0%(3만4000명) 증가했다. 힘줄 손상 2019년 기준 상과염 질환 진료인원 구성비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전체 진료인원(81만4000명) 중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