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정치팀] 김명일 기자 = 새정치민주연합(이하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는 당대표 경선 출마 선언을 하면서 차기 총선 불출마 의사를 밝혔다. 문 대표는 이를 두고 기득권 내려놓기의 일환이라고 설명했지만 지역민들의 생각은 다르다. 문 대표가 차기 총선 출마를 포기한 진짜 이유는 따로 있는 것일까? <일요시사>가 문 대표의 지역구활동을 집중 해부해봤다.
“부산에 지역구를 둔 야당 정치인이 그렇게 지역구 관리를 하면 안 된다. 지금처럼 하면 문재인 의원은 다음 총선에서 100% 떨어진다.” 새정치민주연합(이하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와 같은 부산 지역구 의원인 조경태 의원은 전당대회를 앞두고 문 대표를 향해 이 같이 일갈했다.
그래서 조 의원은 문 대표가 전당대회 출마 선언을 하면서 차기 총선 불출마 의사를 밝히자 ‘비겁한 정치’라며 문 대표를 몰아세웠다. 조 의원은 “총선 때 부산 사상구에서 당선될 자신이 없으니 출마하지 않으려는 것 아니냐는 비판의 목소리가 부산에 파다하다”고 덧붙였다.
비겁한 정치
문 대표의 차기 총선 불출마 선언을 놓고 당내에선 여전히 갑론을박이 치열하다. 사실 문 대표의 지역구인 부산 사상구에선 오래 전부터 문 대표가 차기 총선에서 사상구에 출마하지 않고 수도권에서 출마할 것이란 소문이 돌고 있다. 문 대표가 수도권에 출마하면 사상구엔 새정치연합 비례대표인 배재정 의원이 출마할 것이란 구체적인 시나리오까지 나왔었다.
실제로 문 대표가 지역구 불출마를 선언하자 사상구에선 배 의원이 새정치연합 차기 총선 주자로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당시 부산에서 파다하게 퍼졌던 문 대표의 지역구 이전설의 명분은 차기 대권 도전을 위해서는 수도권에 지역구를 두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정치권 일각에서는 사상구의 민심이 싸늘하게 변하자 문 대표가 차기 총선에서 낙선을 우려해 사실상 도망치려는 것 아니냐는 의심의 눈초리도 있었다. 대권주자로 거론되는 문 대표가 차기 총선에서 낙선한다면 대권이 물 건너가는 것은 물론이고 정계은퇴를 고민해야 할 상황에까지 몰리게 될지도 모를 일이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어느날 갑자기 수도권에 출마하는 것도 명분이 없어 문 대표 측으로서는 고민이 컸다. 따라서 이번에 문 대표가 내놓은 총선 불출마 카드는 그간의 고민들을 한 방에 날려버린 신의 한수였다.
그동안 사상구 민심의 변화는 이곳저곳에서 동시다발적으로 포착됐다. 지난해 8월에는 부산 거주 대학생들이 문 대표의 지역구 사무실 앞에서 지역구 관리를 똑바로 하라며 항의집회를 열기도 했다.
이들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며칠간 이어진 폭우로 인해 지역민들의 안전이 위협 받고 있는데 문 의원은 중앙정치에만 몰두하고 있다”며 “문 의원은 민생보다 본인의 정치적 욕심과 야망이 더욱 우선시 되는 것이냐”고 일갈했다. 당시 부산에는 갑작스런 폭우로 사상자가 발생하는 등 피해가 심각했지만 문 대표는 광화문에서 세월호 유가족들과 동조단식을 하고 있었다.
지금 총선 치르면 100% 낙선?
낙선 예감한 비겁한 정치 행태?
지난해 치러진 지방선거에서도 문 대표에 대한 냉담한 지역민심은 그대로 드러났다. 문 대표의 지역구인 사상구청장 후보로 문 대표의 경남중고등학교 동기인 황호선 교수가 출마했으나 큰 표 차로 낙선하고 만 것이다.
황 교수는 선거기간 내내 문 대표의 친구라는 점을 강조했고, 그를 지원하기 위해 문 대표는 물론이고 친노인사들이 총출동했음에도 소용이 없었다. 특히 지난 2010년 지방선거와 비교해 새누리당 후보와의 격차는 더 크게 벌어졌다.
문 대표의 공식 블로그에 공개되어 있는 일정표만 봐도 문 대표가 얼마나 지역구관리에 소홀했는지 한눈에 알 수 있다. 공개된 일정표에 따르면 문 대표는 지난해 4월과 7월, 8월, 12월에는 단 한 번도 지역구를 찾지 않았다. 특히 지난해 12월에는 18일(목)부터 28일(일)까지 무려 10일간이나 공식 일정이 없었을 정도로 시간적 여유도 있었지만 지역구를 찾지 않았다.
지난해 6월과 10월에도 겨우 한 번 지역구를 찾았을 뿐이다. 반면 문 대표는 6·4지방선거를 앞두고 있던 지난해 5월에는 집중적으로 지역구를 찾았다. 공개된 일정표만 놓고 보면 문 대표가 선거 때만 지역구를 찾았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
그렇다고 문 대표가 중앙에서 눈에 띌만한 성과를 낸 것도 아니었다. 세월호정국에선 돌연 유가족들과 동조단식을 시작해 정국을 더 꼬이게 만들었고, 이상돈 교수 영입 파문 과정에서는 거짓말 논란으로 상처를 입었다. 새정치연합 내부에서는 문 대표가 손대는 일마다 상황이 악화된다며 ‘문재인의 저주’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다.
또 국회의원 본연의 업무는 ‘입법’이지만 문 대표는 초선의원임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대표 발의한 법안이 단 4건 밖에 없다. 게다가 4건 모두 현재 계류 중이니 국회 입성 후 실질적인 입법성과는 하나도 없는 셈이다. 반면 문 대표가 속해있는 새정치연합 의원들은 같은 기간 1인당 평균 38건의 법안을 대표 발의했다. 문 대표가 발의한 법안 4건 중 3건은 법안 발의 준비 과정이 비교적 간소한 일부 개정안이다.
정치권의 한 관계자는 “지난 대선 기간 박근혜 대통령이 의원직 사퇴 배수진을 치자 새정치연합에서도 문 대표가 의원직 사퇴 카드로 맞대응을 해야 한다고 요구했는데 문 대표는 ‘지역민들과의 약속을 지켜야 한다’면서 거절했다”며 “그런데 문 대표의 지난 3년간의 의정활동을 되돌아보면 문 대표가 과연 지역민들과의 약속을 지킨 것인지 의문이다. 문 대표는 사실상 의정을 내팽개치고 지역구민들을 방치해왔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정치권의 관계자도 “국회의원 본연의 역할이 입법인데 지역구 활동도 소홀하고 입법에도 소홀했다면 왜 의원직에 집착했는지 모르겠다. 대선 기간 사퇴 요구를 받았을 때는 지역민들과의 약속을 지켜야 한다고 했는데 대표직에 출마하기 위해 일방적으로 차기 총선 불출마 선언을 한 것은 결과적으로 지역민들과의 약속을 어긴 것”이라고 지적했다.
못 지킨 약속
‘문재인 저격수’를 자처하는 조경태 의원은 “문 대표의 부산 지역구 불출마는 기득권 포기가 아니다”라며 “문 대표가 차기 총선에서 부산에서 출마할 자신이 없다면 지금 당장 정계은퇴를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요시사>는 이 같은 지적에 대한 문 대표 측의 입장을 청취하려 했지만 문 대표 측 공보팀장은 취재기자의 전화를 받지 않았고, 의원실과 당 공보실은 서로 답변을 미루다 결국 답변을 하지 않았다.
<mi737@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