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J정부 시절 안기부 대량 해직과 관련해 ‘국정원 대학살’이라고 주장하고 나선 국사모 송영인 회장은 이번 사건과 관련해 강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일방적인 주장이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그는 “지난 10여 년간 법적투쟁을 해왔다. 여러 차례 검찰 고발과 고소가 이루어졌다”며 “나는 그저 진실을 밝히고자 한다. 여러 루트를 통해서 압력과 회유, 말할 수 없는 협박까지 받아왔던 세월이다. 법정 싸움도 두렵지 않다”고 강조했다.
‘당시 대량해고 때 어떤 인사와 친분이 있었나’라는 질문에 송 회장은 “당시 제주지부 부지부장을 맡고 있었다. 신한국당 사무총장을 맡고 있었던 서청원 대표와 친분이 있었다”며 “6·3세대로 학생운동 당시 서 대표는 중앙대 총회장이었고 나는 동국대 총회장이었다. 1965년부터 학생운동을 같이 했고 부부동반 모임을 갖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번에 검찰에 고발된 인사들에 대해 그는 “대량해직 과정이 이뤄질 때의 정책결정자였던 이종찬 당시 안기부장과 이강래 기조실장(현 민주당 원내대표)에 대해선 공소시효 등이 있어 책임을 묻지 않기로 했다”면서 “조사된 진상도 밝히지 않고, 대공요원 충원도 시키지 않고, 대량해직을 주도한 책임자들에 대한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아울러 해직자들에 대한 명예회복과 보상 조치도 취하지 않았다. 국사모가 벌인 행정 및 민사소송에서 위조된 자료를 법원에 제출하거나 위증을 한 하위급 직원 2명에 대해서만 검찰에 고소하는 선에서 면피적 조치만을 하고 있을 뿐”이라고 성토했다.
그러면서 “명령에 살고 명령에 죽는 국정원에서 시킨 사람은 가만 두고 명령에 복종한 40대 직원들만 희생양으로 삼은 것은 국정원의 도덕적 해이를 잘 표현해 주고 있다”며 “원세훈 원장은 지난 연말부터 현직 직원들에게 퇴직직원들을 일체 접촉하지 말도록 특별지시했다. 이는 공직자로서의 자세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송 회장은 국정원에서 30년간 일했으며, 제주지부 부지부장을 지냈다. 국가안보기능회복추진위원회 대표, 자유시민연대 공동대표, 대한민국 ROTC구국연합 공동의장 등으로 활동했다. DJ정부 당시 직권 면직된 2, 3급 고위간부 출신 21명으로 구성된 ‘국가를 사랑하는 모임’의 회장으로 국정원과 법적 다툼을 벌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