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시사 취재2팀] 박정원 기자 = 지난 3월 취업자가 1년 전 대비 19만3000명이 증가하며 석달 째 10만명대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3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는 2858만9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9만3000명 증가했다.
지난해 11월까지 취업자 수는 45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증가세를 유지했으나, 12월에는 5만2000명 감소하며 상승세가 중단됐다. 이후 올해 1월과 2월에는 각각 13만5000명, 13만6000명 증가하며 회복세를 보였고, 지난달까지 3개월 연속 증가 추이를 이어갔다.
연령대별로는 60세 이상에서 36만5000명, 30대에서 10만9000명이 각각 늘었으나, 20대에서는 20만2000명, 40대에서는 4만9000명, 50대에서는 2만6000명이 각각 줄었다.
산업별로는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이 21만2000명(7.3%),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이 8만7000명(6.6%), 금융 및 보험업이 6만5000명(8.9%) 증가했다. 반면, 건설업은 18만5000명(-8.7%), 제조업은 11만2000명(-2.5%), 농림어업은 7만9000명(-5.7%) 감소했다.
내수 부진이 지속되는 가운데, 제조업은 9개월 연속, 건설업은 11개월 연속 취업자 수가 줄어들었다. 특히, 제조업의 취업자 수 감소폭은 코로나19가 확산됐던 2020년 11월(-11만3000명)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고, 건설업의 감소폭은 2013년 산업 분류 개편 이후 가장 컸다.
고용 형태별로는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가 23만4000명, 임시근로자가 12만6000명 증가했지만, 일용근로자는 10만명 감소했다. 비임금근로자 중에서는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가 2만9000명 줄었고,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는 2만8000명 늘었다. 무급가족종사자는 6만5000명 감소했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2.5%로 전년 동월 대비 0.1%p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9.3%로 0.2%p 올랐다. 다만, 청년(15~29세) 고용률은 44.5%로 1.4%p 하락하며, 2021년 이후 4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지난 3월 실업자는 91만8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만6000명(3.0%) 증가했다. 성별로는 남성이 51만6000명으로 5000명(1.1%) 늘었고, 여성은 40만2000명으로 2만1000명(5.6%) 증가했다.
실업률은 3.1%로 전년 동월 대비 0.1%p 상승했다. 남성은 3.2%로 0.1%p, 여성은 3.1%로 0.2%p 올랐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620만1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4만명(-0.2%) 감소했다. 이 중 ‘쉬었음’ 인구는 251만7000명으로 7만1000명(2.9%) 증가했으며, 특히 20대(5만8000명)와 60세 이상(2만명)에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15~29세 ‘쉬었음’ 인구는 45만5000명으로, 3월 기준으로 2003년 통계 집계 이래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공미숙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청년층의 전반적인 고용 상황이 양호하다고 보기 어렵다”며 “수시채용과 경력채용 중심의 채용 방식이 청년층에게 불리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jungwon933@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