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현대화랑이 ‘한국 구상회화 4인전 : 윤중식, 박고석, 임직순, 이대원’전을 준비했다. 4명의 작가는 한국 근현대 미술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해 왔다. 이번 전시에는 네 작가가 가장 왕성하게 활동했던 시기인 1970~1980년대 작품이 소개된다.
윤중식과 박고석, 임직순과 이대원은 현대화랑과 깊은 인연을 맺어왔다. 현대화랑은 그 인연을 바탕으로 각 작가의 독창적인 예술세계를 재조명하고 미술사적 가치와 중요성을 재확인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한국 구상회화 4인전: 윤중식, 박고석, 임직순, 이대원’전이다.
재조명
윤중식은 평양 출신으로 1939년 일본 제국미술학교 서양화과를 졸업했다. 해방 후에는 제2회 국전서 특전을 수상하고 이후 대한민국미술대전 운영위원장과 홍익대 교수를 역임했다.
강렬한 색채와 굵은 윤곽선, 중후한 톤이 돋보이는 윤중식의 회화는 6·25 전쟁과 분단의 비극서 겪었던 실향민으로서의 그리움과 상실감이 바탕을 이룬다. 비둘기, 석양, 농촌 풍경 등 어린 시절의 기억을 소재로 한 그의 작품은 깊은 향수를 조형적으로 순화한 예술적 기록으로 평가받는다.
잊혀 가는 고향에 대한 애틋한 감정을 다시 환기했다는 평도 있다.
그는 성북구립미술관서 ‘상수(上壽. 100세)’전을 개최하며 작고 직전까지도 붓을 놓지 않고 그림에 몰두하며 창작에 대한 뜨거운 열정을 보였다. 작고 후 윤중식의 가족은 수십점의 작품을 기증했다.
박고석은 평양 출신으로, 평양 숭실학교를 졸업한 뒤 1935년 일본으로 유학을 떠났다. 1939년 일본대학 예술학부 미술과를 졸업하고 귀국해 다양한 분야의 예술인과 친목을 쌓았다. 이 가운데 이중섭, 한묵과의 우정은 그의 예술 여정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대 아카데미즘에 염증을 느낀 그는 1957년 유영국, 황염수, 이규상 등과 함께 ‘모던아트협회’를 창립하는 등 새로운 미술을 모색했다.
1968년부터는 산행에 매료되면서 본격적으로 자연을 그리기 시작했다. 북한산, 설악산, 백양산, 지리산 등을 여행하며 사계절을 화폭에 담았다. 강렬한 색채 대비와 힘찬 필치로 한국의 명산이 내뿜는 기운을 전했다. 1970~1980년대에는 원근법을 무시한 공간 구성과 두꺼운 유화물감의 질감으로 산의 웅장함과 생명력을 표현하며 작가만의 독특한 예술세계를 확립해 나갔다.
1970~1980년대 작품 소개
근현대사 미술 중추적 역할
임직순은 충북 충주서 태어났다. 1936년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의 일본미술학교서 공부하며 회화적 기초를 다졌다. 귀국 후 1961년부터 오지호의 뒤를 이어 14년간 조선대 교수로 재직하며 광주서 후학을 양성했다.
빛의 대비와 강렬한 색면이 조화를 이루면서도 형식적으로 안정된 구도를 추구했다. 자연 풍경, 꽃과 여인을 주요 소재로 선택해 그 속의 생명력을 탐구했다. 현장에 직접 나가 자연으로부터 얻은 감동을 현실감 있게 그려냈다. 색채 사용에 있어서는 내적인 색감을 통해 자연의 아름다움을 정감 있게 표현했다.
국전에 꾸준히 작품을 출품해 예술적 역량을 인정받은 임직순은 1957년 제6회 국전서 ‘좌상’으로 대통령상을 받기도 했다. 색채 안에 빛의 개념을 더해 회화적 자율성과 심미적 확장을 이루며, 자연적인 주제를 넘어 깊은 내면세계를 구현한 예술로 평가받고 있다.
이대원은 경기도 문산서 태어났다. 서울대 전신인 경성제국대학서 법학과를 졸업했다. 정규교육을 받진 않았지만 조선미술전람회, 국전 등에서 입선하며 미술 분야에 두각을 드러냈다.
1957~1958년에는 독일서 세 차례 전시를 진행하며 한국 현대미술을 해외에 알리는 역할을 하기도 했다. 1967년부터 1986년까지 홍대 미술대학 교수, 1972~1974년에는 홍대 초대 미술학장, 1980~1982년에는 홍대 총장을 역임하는 등 교육자의 삶도 살았다.
1950~1960년대 모노크롬, 미니멀리즘 경향이 주류를 이뤘던 한국 화단서 그는 한국의 산과 들, 나무, 연못, 돌담, 과수원 등 친숙한 자연을 주요 소재로 택하며 자신만의 독창적인 예술 세계를 펼쳤다.
풍부한 원색과 짧고 연속적인 붓터치로 형태와 윤곽을 그리는 독자적인 방식에 매진하며 봄과 여름, 가을과 겨울, 다른 색채로 물들어가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표현했다. 단순한 재현을 넘어 자연의 생명력과 삶의 즐거움을 화폭에 담아내 감각적이고 에너지 넘치는 회화적 경험을 전했다.
정수
현대화랑 관계자는 “이번 전시를 통해 한국 미술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긴 이들의 예술을 재조명하고 한국 구상회화의 정수를 만날 수 있는 자리를 선사하고자 한다”고 기대를 드러냈다. 전시는 오는 23일까지.
<jsjang@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