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는 초한 전쟁을 배경으로 두 사람이 각각 파란색의 초나라와 빨간색의 한나라를 상징하는 16개의 기물로 군대를 지휘하는 지휘관 입장서 작전을 수행하는 청홍전 게임이고, 바둑은 두 사람이 각각 흑백의 바둑돌로 바둑판 위에서 영역을 만들어가며 승부를 겨루는 흑백전 게임이다.
장기는 상대편의 왕만 잡으면 이기는 데 반해, 바둑은 상대방의 돌을 에워싸는 공간을 만드는 집을 더 많이 만들면 이긴다. 장기는 궁, 차, 포, 상, 마, 사, 졸이라는 계급이 있지만, 바둑은 모든 알이 평등해 계급이 없다.
필자는 오래전부터 국민 한 사람의 가치(투표권)가 동등한 선거에선 표를 많이 획득한 정당이 승리하기 때문에 선거는 바둑을 닮았다고 느껴왔다. 그런데 이번 22대 총선서 상대당의 대표를 잡는 정당이 승리하고, 정당을 상징하는 색깔도 파란색과 빨간색인 것을 보고, 선거가 청홍전의 장기와 닮았다는 생각을 했다.
총선 과정 내내 정당의 각종 지표와 이미지가 온통 파란색과 빨간색으로 표현됐고, 유세장이나 길거리서도 청색 깃발과 홍색 깃발이 가득했으며, 후보들의 옷과 모자도 청색과 홍색이 주를 이뤘으니 이번 총선이 청홍전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 같다.
총선이 끝난 다음 날(11일) 필자는 모 언론과의 인터뷰서 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당)이 압승한 결과에 대해 “집을 많이 확보해야 이기는 바둑처럼 민주당이 국민 한 사람 한 사람의 표를 많이 얻어 압승했다기보단 민주당이 정권 심판이라는 프레임으로 윤석열 대통령과 국민의힘 한동훈 비대위원장의 발목을 잡았기 때문에 승리했다”고 평가했다.
이번 총선이 바둑의 흑백전이 아닌 장기의 청홍전이었다는 게 필자의 주장이다.
현재 우리나라서 흑백선전이라는 용어는 있어도 흑백선거라는 용어는 없다. 아직까지 청홍전이라는 용어도 없다. 장기도 청홍전이라고 하지 않는다.
전쟁을 연상하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선거 때마다 실제 청홍전이 벌어지는 건 부정할 수 없는 현실이다. 청홍전이라는 표현을 안 할 뿐이지 청홍전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한미일 의회 구성을 볼 때, 우리나라는 미국(상·하원)과 일본(참의원·중의원)처럼 양원제가 아닌 단원제다. 그래서 2년마다 상하원 선거를 치르는 미국이나 3년마다 참의원 선거와 4년마다 중의원 선거를 치르는 일본과 달리 우리나라 총선은 4년마다 한 번 치르기 때문에 그만큼 단순하다.
문제는 단원제가 양원제에 비해 4년마다 치르는 선거 때 훨씬 강한 색깔론을 내세우며 피 터지게 싸운다는 점이다. 한미일 모두 진보정당은 파란색을, 보수정당은 빨간색을 정당의 대표색으로 정하고 있다.
그래서 미국과 일본도 선거 때가 되면 청홍전을 벌인다. 그런데 유독 우리나라만 선거 시즌에 청색 깃발과 홍색 깃발로 나뉘어 목숨 걸고 피 터지게 청홍전을 벌이는 이유가 뭘까?
필자는 공교롭게도 그 해답을 한미일 국기서 찾을 수 있었다. 미국 국기는 파란색 20%, 빨간색 80%로 구성돼있고, 일본 국기는 가운데 원이 빨간색 100%로 구성돼있는 반면, 우리나라 국기는 우주를 상징하는 가운데 원(태극)이 파란색 50%, 빨간색 50%로 구성돼있다.
우리나라가 태생적으로 팽팽한 청홍전의 나라라는 게 이미 국기에 나타나 있다는 의미다.
원래 우리 국민은 체육대회, 운동회 등에서 청군과 백군으로 편을 갈라 겨루는 청백전 싸움에 익숙했다.
실제로 불과 20년 전까지만 해도 대부분 TV 예능 프로나 각종 모임에선 승부욕을 자극하기 위해 청팀과 백팀으로 나뉘어 청백전을 벌였다.
그러나 지금은 청백전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고, KBO 리그서 자체적으로 같은 구단의 선수들이 팀을 나눠 하는 청백전 경기가 청백전의 명맥을 유지하는 정도다.
1960년대 초등학교를 다녔던 필자 세대는 매년 추석 전 열리는 가을운동회의 청백전을 잊지 못한다.
같은 반 학생일지라도 가을 운동회 때는 제비뽑기로 청팀과 백팀으로 나뉘어 공굴리기, 줄다리기, 차전놀이, 계주 등 청백전을 했다.
당시 분교가 있는 꽤 큰 초등학교 가을운동회는 분교 학생들이 홍팀으로 참가해 청백홍전을 치르기도 했다.
가을운동회에선 주로 한 달 전부터 학년 단위로 매일 연습한 무용이나 매스게임이 가장 큰 행사였다. 승패를 가르는 것보다 단합이 중요했기 때문이다.
청팀 백팀은 필요에 의해 당일에 짠 하루짜리 팀일 뿐, 피 터지게 싸워서 이겨야 하는 팀이 아니었다. 가을운동회 의 청백전은 승자도 없고 패자도 없는 싸움이었다.
체육대회나 운동회의 청백전, 그리고 TV 예능프로나 KBO의 청백전 모두 일시적인 싸움일 뿐, 승자에게 권한을 부여하는 싸움이 아니다. 그래서 승자도 패자도 없는 청백전에 대한 이미지가 나쁘지 않았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총선인 청홍전은 승자에게 엄청난 권한이 부여되는 싸움이다. 목숨 걸고 피 터지게 싸워야 하는 이유다.
그래서 언론도 총선을 청홍전이라고 표현하지 않는다. 물론 소수당의 색깔을 존중하느라 그럴 수도 있다. 그러나 선거 때만 되면 온통 전국이 파란색과 빨간색으로 물드는 판국에 언론이 대선이나 총선을 청홍전이라고 명명할 만한데 그렇지 않은 게 이상할 정도다.
이제 22대 총선, 즉 청홍전은 끝났다. 그런데 민주당이 압승했다고 계속 파란색 깃발만 꽂거나 흔들고 있으면 안 된다. 국민이 총선서 민주당을 두 번이나 밀어줬다는 건 민주당에게 여소야대의 윤석열정부를 무너뜨리라는 의미가 아니다.
국정 파트너로서 공동책임을 지고 우리나라를 잘 살고 행복한 선진국으로 만들라는 의미다.
※본 칼럼은 <일요시사> 편집 방향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