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정치팀] 박 일 기자 = “이변은 없었다.”
28일(현지시각), 한국 부산과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의 ‘양강구도 체계’를 형성했던 2030 엑스포 개최지는 결국 사우디 리야드로 결정됐다. 부산 유치를 위해 윤석열 대통령, 민간과 대기업들은 물론, 정부서도 결정일 막판까지 고삐를 늦추지 않고 선전을 펼쳤으나 결국 ‘오일머니’ 앞에 꺾이고 말았다.
이날 한국 정부는 프랑스 파리 국제박람회기구(BIE) 총회서 개최지 결정 투표에 앞서 부산 지지를 호소했으나 사우디에 밀리면서 차기 2035 엑스포를 기약하게 됐다. 표결 결과 부산은 165표 중 28표에 그쳐, 119표를 획득한 리야드에 개최지를 넘겼다.
투표 회원국의 2/3(110표) 이상을 받지 못할 경우, 결선투표에 들어가게 되는데 리야드가 9표를 더 득표하면서 결선투표도 이뤄지지 않았다.
2030 부산엑스포 유치가 불발되자 대통령실은 “민관이 원팀으로 치열하게 노력했지만 아쉬운 결과를 맞이했다”고 밝혔다. 이날 김은혜 홍보수석은 서면 브리핑을 통해 “밤늦게까지 결과를 기다리고 부산 유치를 응원해주신 부산시민과 국민 여러분께 위로와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도 결정 투표 표결 직후 “국민 여러분의 열화와 같은 기대에 미치지 못해 송구스럽고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한 총리는 “우리 2030 부산엑스포 유치를 위해 노력했던 재계, 여러 기업들과 우리 정부가 한 일을 돕기 위해 힘써주신 모든 정부 분들, 부산시민들의 열화와 같은 성원과 칠곡 아지매를 비롯한 많은 분들의 응원, 국회의 만장일치 지원에 대해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의 외교적인, 새로운 자산을 얻었으며 이를 저희가 더 발전시키도록 하겠다”고 말해 BIE 182개 회원국과 접촉했던 성과와 의미를 상기시키기도 했다.
그는 “국민 여러분의 그간 성원에 응답하지 못해 죄송하다.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함께 현장을 찾았던 박형준 부산시장도 “부산시민들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BIE 실사단 방문을 열렬히 환영하며 한마음으로 노력해왔는데 꿈이 무산돼 마음이 무겁다”고 아쉬워했다.
박 시장은 “인류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한 부산의 도전은 계속될 것”이라며 오는 2035년 엑스포 재도전을 시사하기도 했다. 그는 “우리의 땀과 눈물과 노력과 열정을 기억하고 도전하는 한 우리는 반드시 해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부산엑스포 유치위원회 관계자도 “과거 주요 국제 대회와 행사는 여러 차례 재도전 끝에 성사된 경우가 많고 장기적으로 보면 그런 시도 과정 자체가 외교의 지평을 넓혀왔다”고 설명했다.
한 여권 관계자는 “재수에 도전할 가능성도 있는데, 부산을 중심으로 주변 도시들까지 이를 토대로 새로운 변화의 기회를 마련하고, 대한민국 제2의 부흥기와 국가균형발전을 이끌어낼 수 있어 재도전 이야기도 나온다”고 말했다.
재계 관계자도 “엑스포의 생산유발 효과는 43조원에 달하고 18조원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에 주목해야 한다”며 “엑스포 유치가 다른 도시들처럼 부산의 인지도를 상승시키는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어 재도전하는 것도 가치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유치 실패 원인을 두고 ‘금전적 투표가 이뤄졌다’는 유치위원회 한 인사의 발언이 도마 위에 오르기도 했다.
유치위 자문교수인 김이태 부산대 교수는 “사우디가 ‘오일머니’ 물량공세를 통해 2030년까지 4조4300억원의 투자로 리야드를 건설하고자 했다”며 “엑스포 개최를 통해 10조원 이상의 투자를 저개발국가에 천문학적 개발차관과 원조기금 역할을 함으로써 금전적인 투표가 이뤄졌다고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대륙별 안배 차원서 2025 오사카·간사이 엑스포 개최도 투표하는 국가들 입장에서는 관례상 대륙별 안배를 고려했다는 것 등이 패인이 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park1@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