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엔데믹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와 일상 회복에 중점을 둔 방역정책으로 변화하면서 우리 기업들의 생태계도 빠르게 변하고 있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종말을 앞두고 그 시한부적인 상황이 예견됐던 바이기는 하나, 자산 시장에서는 이를 빌미로 희비가 엇갈릴 것으로 지속적으로 회자되고 있었기 때문에 체감효과가 더하는 듯하다.
얘기치 못한 대내외 변수까지 겹치면서 이제 속도보다는 방향에 맞춰 보다 신중하고 면밀한 대응책이 요구되는 시점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그동안 격한 수혜를 입었던 골프산업에 관한 논란도 마찬가지다.
최근에는 피크아웃 논란이 지속되면서 표면적으로는 여유가 있을지 몰라도, 골프장 업계에선 점차 노심초사하는 분위기가 역력해 보인다. 과도한 그린피 인상과 비싼 각종 비용 등을 감안해서 정부의 인위적인 비용 인하 압력도 강화됐고, 점차 해외 골프투어가 확산되면서 골프업계 전반서 매출이 감소할 것에 관한 우려가 증폭된 상황이다.
이에 일부 골프장들이나마 그린피를 자발적 생색내기로 소폭 인하했다거나 정부의 골프장 신규 개편안에 따른 고육지책으로 미흡한 가이드라인에 맞춰 대중제를 선택했다는 불만들도 생성됐다. 양측의 입장 차이는 있겠으나 골프장을 이용하는 소비자나 골프장 모두 불만이 섞여 있기는 마찬가지인 듯하다.
“생색내기 안 통하네”
옥석 가리기 작업 한창
최근에는 일부 회원제 골프장의 운용 방안을 두고 다시 논쟁이 가열되고 있다. 다수의 골퍼와 국민정서가 대중제 골프장들의 그린피 논란에 매몰돼있다 보니, 회원제 골프장들은 해당 골프장들의 회원들에게 국한된 문제로 지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대중들의 관심사에서 멀어져 있고 정부나 지자체서도 다소 소극적인 조치로 일관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결국 회원들과 골프장들의 법적 분쟁이 점차 확대되고 있어 이에 대한 해결책도 조속히 필요하다는 의견이 대두되고 있다.
물론 회원권 혜택 축소 작업과 회원들의 그린피 인상은 코로나 시기부터 이미 실행되고 있었고 정부 기관서도 골프장들의 편법적 운영을 개선하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바 있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일부 골프장이 기존 약정과 어긋나게 아예 회원권을 회수하는 조치를 내리거나 기존 회원들의 재입회 불가 등 한층 과감한 조치들을 취하고 있어 문제다.
게다가 초고가 회원권으로 극소수 회원으로만 운영하던 골프장들은 과거의 적자 운영으로부터 탈피하기 위한 일환으로 적극적인 수익성 강화에 나섰다. 그들의 고육지책도 일면 수긍이 가는 면이 있다.
그러나 반대로 얘기하면 그 수익은 회원들의 지출이 증가된다는 것인데, 그 일환으로 수천만원 단위의 연회비를 책정하면서 금액이 적절하느냐를 두고 이 역시 마찰을 빚고 있다. 이는 회원권 시세와도 밀접하게 연관해 곧바로 작용한다.
당연히 해당 회원권들의 시세가 하락을 한다거나 상승장에서 상대적으로 상승폭이 축소되는 결과를 보였고 만기 도래에 맞춰 회원권 회수 조치는 아예 시세에 반영돼 있던 프리미엄이 사라지기도 하면서 골프장 이용까지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이에 소비자들도 골프장들의 평판가치나 회원권 사용조건 등을 바탕으로 옥석 가리기 작업이 한창이다. 회원권 개체수가 전반적으로 줄어 선택이 마땅치 않거나 해외 골프투어도 때마침 항공료의 폭등과 현지 물가 상승으로 예전 같이 대체제의 역할을 못하고 있다는 분위기다.
결국 정부의 원칙론에 입각한 관리와 보다 적극적인 소비자 피해 구제에 관심이 쏠릴 법하다. 사기업의 수익과 관련한 자율적인 운영에 규범경제를 마냥 들이댈 수 없고 일부에 국한된 주주제 골프장들 같은 회원 혜택과 권익을 보장하는 시스템을 요구할 수는 없겠지만, 공정성에 관한 문제만큼은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최소한 약관상에 회원 권리보장은 물론이고 일례로 모 주주제 골프장이 운용하는 형태로, 부킹 내역을 공개해 투명성만 확보하더라도 그 회원제 골프장의 평판은 높은 수준으로 인식받을 수 있을 듯하다.
<webmaster@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