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팀] 박민우 기자 = 인터넷에서 이슈가 되고 있는 사안을 짚어봅니다. 최근 세간의 화제 중에서도 네티즌들이 ‘와글와글’하는 흥미로운 얘깃거리를 꺼냅니다. 이번주는 한국인 사이즈에 대한 설왕설래입니다.
한국인 평균 키가 40년 전과 비교해 남자와 여자 각각 6.4㎝, 5.3㎝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국표원)은 지난달 3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사이즈코리아 성과 발표회’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8차 한국인 인체 치수 조사’를 공개했다.
체격 좋아지고
이 조사는 의류, 생활용품 등 제품과 서비스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우리 국민의 인체 치수·형상 데이터를 수집·보급하는 국가 주도 데이터 사업이다. 1979년 첫 조사를 시작으로 약 5년 주기로 실시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2020년 5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20개월간 20~69세 한국인 6839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측정 항목은 직접 측정 137개, 3차원 측정 293개 등 총 430개다.
먼저 남자의 평균 키는 172.5㎝로, 1979년 1차 조사(166.1㎝)에 비해 6.4㎝ 커졌다. 같은 기간 여자는 5.3㎝ 커진 159.6㎝로 집계됐다. 상체와 하체 비율을 나타내는 바지 길이 비율(샅 높이/키)은 모든 연령대에서 2003년 실시된 5차 조사보다 증가했다.
이 기간 남자는 43.7%에서 45.3%로, 여자는 44.4%에서 45.8%로 늘어났다.
국표원은 “고도 성장기를 지난 2000년대 이후로도 평균 키가 계속해서 증가한 결과”라며 “이른바 ‘롱다리’ 체형으로 변화가 지속됐다”고 분석했다.
국표원 8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발표
평균 40년 전보다 남 6.4㎝·여 5.3㎝↑
일부 신체 비율은 한국인 고유의 특성을 유지했다. 머리 수직 길이 대비 키의 비율을 나타내는 두신지수(키/머리 길이)는 1990년대 이후 계속해서 7.2~7.3을 기록하고 있다. 머리 너비 지수(머리 너비/머리 두께)는 모든 시대·연령·성별에서 동양인의 단두형 비율인 0.84~0.89 사이다.
한국인 남자의 절반가량이 비만이란 조사 결과도 나왔다. 남자의 평균 체질량 지수(BMI, 몸무게/키)는 24.9로 꾸준히 증가 추세다. 이 가운데 47%는 비만(체질량 지수 25 이상)에 해당했다.
BMI는 비만도를 나타내는 지수로 18.5 이하는 저체중, 18.5~22.9는 표준체중, 23~24.9는 과체중, 25~29.9는 경도비만, 30 이상은 중도 비만으로 구분된다.
여자의 평균 BMI는 22.6으로 40년 동안 22.0~23.1 사이에서 등락을 유지했다. 특히, 5년 전 7차 조사 결과와 비교해 35세 이상 모든 연령대에서 비만도가 줄었고, 50대(24.6→23.6)와 60대(25.2→24.0)의 감소폭이 두드려졌다.
국표원은 “복부비만의 지표가 되는 허리둘레는 1979년 이후 20~40대 남자는 7.3~12.9㎝, 여자는 3.6~5.6㎝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그렇다면 이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의 생각은 어떨까. 다양한 의견은 다음과 같다.
전체 키서 하체 차지하는 비중 커져
남 47% 비만에 해당…평균 BMI 24.9
‘체격은 월등히 좋아지고, 체력은 월등히 떨어지고’<daig****> ‘근데 요새 친구들은 여자들도 크던데 착각인가?’<k_im****> ‘키보단 몸매와 비율이 중요’<spee****> ‘세면대, 싱크대 좀 평균으로 올려놔라. 스타킹도 제발 길게 좀 만들고’<nam4****>
‘앞으로 서구화란 표현 쓰지 마세요. 생각해 봐, 체형에 서구화가 어디 있냐? 동양인이 키 크면 서양인 되는 거냐?’<ostn****> ‘잘 먹고 편하니까 크는 거지’<pwm2****> ‘남자들 비만 왜 이리 많지?’<moon***> ‘4050 남자들 운동할 시간 없다, 일하느라 바쁘다는 핑계대지 말고 운동을 못하겠으면 술 줄이고 야식이라도 줄이면서 건강관리 좀 했으면 좋겠다. 건강하게 오래 살아서 아들딸 손주한테 효도 받고 사세요’<gshd****> ‘크면 뭐해? 허약한데∼’<over****>
‘모두 관리하자’<dlaw****> ‘외형보다는 내용물이 더 중요하다’<dmk3****> ‘키가 밥 먹여 주냐? 건강이 최고’<n061****> ‘운동이 중요하죠. 우리나라 보면 헬스장은 참 많단 말이죠. 그만큼 운동하는 사람도 많다는 거 아닌가?’<kdj7****> ‘키 작은 사람들이 건강한 편이더라. 그리고 더 야무지다’<yj37****> ‘키는 유전 아닌가?’<answ****>
체력 떨어지고
‘키 크다고 좋아할 게 아니다. 이제 우리도 일본처럼 생활 스포츠화 해야 한다. 청소년 기초체력 지표를 일본하고 비교해보면 처참하게 발린다. 선진국이 어릴 때부터 생활 스포츠 하는 이유는 단순히 육체적인 면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면에서도 성장하기 때문이다’<zhzs****>
<기사 속 기사> 디지털 시대와 인체 정보
국가기술표준원은 지난달 30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사이즈코리아 성과 발표회’에서 육군본부, 한국스마트의료기기산업진흥재단, 단국대 웨어러블 제조 데이터 플랫폼 센터, 대한인간공학회, 한국의류학회와 한국인 인체치수조사 데이터 활용·협력에 관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이를 통해 한국인 체형 변화와 인체치수조사 결과를 산업계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계획이다.
또 미래 산업 육성을 위한 신규 데이터 수요 발굴과 데이터 활용 확산을 위한 협력 체계도 구축하기로 했다.
박진규 산업부 1차관은 “인체 정보 데이터가 디지털 전환 시대의 미래 지향적 신산업 창출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인체치수조사 사업을 더욱 발전시키겠다”고 전했다. <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