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정치팀] 설상미 기자 = 국민의힘이 또 다시 고질적인 계파 싸움에 흔들리고 있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은 두 전직 대통령의 과오에 대해 대국민 사과를 하겠다는 뜻을 밝혔으나, 당내 반발로 한발 물러섰다. 재보궐선거가 코앞이다. 국민의힘은 ‘탄핵의 강’을 건널 수 있을까.
국민의힘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대국민 사과를 결국 미뤘다. 김 위원장은 지난 9일에 대국민 사과를 진행할 예정이었지만, 공수처법 개정안으로 국회 내 충돌이 빚어지자 사과 일정을 늦추기로 했다. 김 위원장은 “국회가 이렇게 시끄러운 상황에서 사과하는 것은 시점상 적절하지 않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배수의 진
김 위원장은 3선 의원들과 면담을 가진 후 대국민 사과에 대한 조율에 들어갔다. 중진 의원들은 사과 반대 성명을 발표하는 방안까지 검토했으나, 반발을 잠시 유보했다. 하지만 당 일각에선 여전히 김 위원장의 사과가 부적절하다고 보는 시각이 강하다. 갈등의 ‘뇌관’이 계속해 도사리고 있는 셈이다.
김 위원장은 지난 6월 비대위 출범 당시부터 대국민 사과를 계획했다. 당내 반발로 번번이 무산됐지만, 여러 차례 의지를 표명해왔다. 지난 9일로 계획된 대국민 사과를 앞두고는 “사과를 할 수 없다면 비대위원장직을 던지겠다”며 배수진까지 쳤다.
지난 9일은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이 국회에서 가결된 지 딱 4년째 되는 날이라는 점에서 상징성이 깊었다. 내년 재보궐선거가 코앞으로 다가온 만큼, 김 위원장은 사과를 더 늦추기 어렵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선거 참패를 거듭하고 있는 상황에서 두 전직 대통령의 구속에 대해 당이 반드시 짚고 가야 한다는 것이다.
대국민 사과에 대한 김 위원장의 의도는 명확하다. 중도층을 공략하겠다는 것이다. 김 위원장은 변하고자 하는 당의 의지를 증명할 수단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김 위원장의 ‘호남 구애’ 행보도 일맥상통한다. 그는 지난 8월 광주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무릎을 꿇고 울먹이며 사과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김 위원장은 ‘친노동’ 등 좌클릭 행보로 계파와 진영논리에서 자유로운 모습을 보였다. 김 위원장에 대한 리더십 논란이 계속됐지만, 국민의힘은 민주당의 지지율을 앞서는 등 선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럼에도 국민의힘은 여전히 ‘탄핵의 강’을 건너지 못하고 있다. TK(대구·경북)를 중심으로 한 국민의힘 핵심 지지층의 반발 우려 때문이다. 두 전직 대통령의 임기 시절 활동했던 의원들이 21대 국회에 다수 입성해 있는 점도 대국민 사과를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김 위원장의 사과를 두고 당내 의원들의 입장 차 역시 극명하다. 중진 의원인 하태경·박진·곽상도 의원은 김 위원장에게 힘을 실어줬다. 유승민 전 의원, 원희룡 제주도지사, 오세훈 전 서울시장 등 당내 대권주자들 역시 대국민 사과에 찬성했다. 국민의힘 사무처 노동조합도 합류한 상태다.
국민의힘 또 고질적 계파 싸움
내분 심화…결국 위원장직 걸어
반면 친박계 의원들을 중심으로 반발의 기류가 감지된다. 5선의 친박계 서병수 의원은 “지금은 당 내외 세력들을 한데 모으고, 당을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만드는 일이 우선”이라고 주장했다. 무소속 홍준표 의원은 “사과는 굴종의 길”이라며 반대했다. 배현진 의원은 “굳이 뜬금포 사과를 하겠다면 문재인정권 탄생 그 자체부터 사과해주셔야 맞지 않는가”라고 반발했다.
당 일각에서는 김 위원장의 정통성을 부정하는 의견도 나온다. 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당) 출신이자, 문정부 출범에 기여한 김 위원장이 탄핵을 사과할 권한이 있느냐는 것이다. 김 위원장은 당내 반발에 대해 “전직 대통령들을 대신해 사과하는 것이 아니다”라며 “전직 대통령들을 그런 상황까지 만든 당, 그리고 그 뒤에도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한 당에 대해서 사과를 하려는 것”이라고 응수했다.
정부여당의 지지율이 급락하는 시점에 굳이 ‘역린’을 건드릴 필요가 없다는 목소리도 제기된다. 실제로 국민의힘 극성 지지층 사이에서는 박 전 대통령에 대한 동정론이 상당하다. 이대로 김 위원장이 사과를 강행하면, 민주당에 정치적 공격의 빌미만 제공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김 위원장의 사과가 당내 계파 싸움으로 비화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김 위원장의 임기는 내년 4월이다. 김 위원장은 내년 재보궐선거 승리에 있어 중도 민심을 잡는 것이 핵심이라고 보고 있다. 이에 불만인 당내 일부 세력의 비대위 흔들기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리멸렬한 내분 양상으로 쇄신의 기회마저 걷어찬다면 내년 선거 역시 물 건너갈 공산이 크다.
하지만 국민의힘이 두 전직 대통령의 그림자에서 여전히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게 업계 중론이다. 국민의힘은 탄핵 이후 진정성 있는 사과를 피하면서 책임을 회피하는 모습을 보였다.
내년 선거는 사실상 당에 주어진 마지막 기회다. 박 전 대통령 탄핵 이후 국민의힘은 전국 단위 선거에서 연달아 패배했다. 2020 총선백서 특별위원회는 백서에서 총선 패인 중 하나로 ‘탄핵에 대한 명확한 입장 부족’을 꼽았다. 당시 특위는 “중도층에서 호감도가 떨어졌다는 것은 박 전 대통령 탄핵의 여파로 보수진영에 대한 호감도 자체가 떨어진 것”이라고 분석했다.
탄핵의 강
두 전직 대통령의 정치적 위세가 계속되는 한 보수세력은 국민들의 마음을 얻기 어려워 보인다. 인정 위에 반성이 있고, 반성 위에 발전이 있다는 말이 있다. 탄핵의 강을 건너기 위해 당에는 지난 과오를 인정해야 할 과제가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