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대주주 오너 일가에 회사 차원서 고배당을 일삼는 행위는 비단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변칙적으로 자행되는 ‘오너 곳간 채우기’는 좀처럼 멈춰지지 않고 있다. 어디서부터 문제일까. <일요시사>는 연속기획으로 고배당 논란에 휘말린 오너 일가를 짚어봤다.
이연제약의 뿌리는 지난 1955년 2월 서울대 약대 교수이던 김경호 박사가 의약품 원료 국산화의 신념을 갖고 설립한 이연합성연구소다. 이후 1964년 11월 이연합성약품공업이라는 상호의 법인으로 전환, 1991년 3월 지금의 이연제약으로 상호가 변경됐다. 2010년 6월에는 한국거래소 유가증권 시장에 상장됐다.
쏠쏠한 종잣돈
지난해 이연제약은 내실을 키우는 데 성공했다. 감사보고서 기준 지난해 매출은 1263억원으로 전년 대비 3.6% 증가하는 데 불과했지만 영업이익(167억원)과 당기순이익(134억원)은 전년 대비 각각 7.9%, 13.8% 늘었다.
실적 상승세에 걸맞게 배당 규모 역시 한층 커졌다. 지난 2월5일 이연제약은 2017회계연도 결산배당으로 보통주 1주당 350원의 현금배당을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보통주 1주당 배당금은 전년과 동일한 수준이었지만 배당금총액은 58억6900만원으로 30%가량 증대됐다. 발행주식수 증가가 큰 힘이 됐다.
이연제약은 지난해 11월13일 무상증자 실시를 공시했다. 1주당 0.3주의 비율로 기존 주주들에게 신주를 배정하는 게 주된 골자였다. 이때 늘어난 387만주는 결산배당을 통해 13억5450만원의 차익으로 되돌아왔다.
이연제약이 주주친화적인 배당 정책을 취한다는 사실은 최근 3년간 ‘배당성향(당기순이익 중 현금으로 지급된 비율)’서도 잘 드러난다. 2015년 34.13%였던 배당성향은 이듬해 38.29%로 상승한 데 이어 2017회계연도에는 43.72%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회사 이익을 주주에게 환원하는 배당의 기본 취지를 감안하면 이연제약의 적극적인 배당 정책은 순기능을 내포한다. 배당에 인색한 국내 유가증권시장의 현실에 대입해보면 더욱 그렇다.
한국거래소가 밝힌 유가증권 상장사의 지난 3년 평균 배당성향은 25.1%에 불과하다. 선진국은 물론이고 30%대를 형성하는 통상적인 개발도상국들의 배당성향과 비교해도 낮은 수준이다.
시가배당률(배당금이 배당기준일 주가의 몇 %인지 나타낸 지표)도 제약업계서 높은 축에 속한다. 2015년 0.84%에 불과했던 이연제약의 시가배당률은 이듬해 1.23%로 조정을 거쳐 지난해 1.7%까지 뛰어올랐다.
상장 제약바이오기업들의 시가배당률은 현행 한국은행 기준금리(1.5%)보다 낮은 1.2% 수준에 머물러 있다.
오너 몫으로 6할 책정
매년 오르는 배당성향
그렇다고 배당금으로 빠져나가는 금액이 과도한 수준이라고 보긴 힘들다. 2016년 말 기준 1341억원이던 이익잉여금은 지난해 3분기 기준 1412억원으로 불어난 상태다. 게다가 이연제약의 지난해 부채비율은 30.3%에 불과하다.
부채비율은 부채와 자기자본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안정성 지표로 일반적으로 100% 이하를 표준비율로 보고 있다. 즉, 이연제약은 회사 재정에 별 무리가 없는 수준서 배당을 확대한 셈이다.
배당금 확대는 주주들의 이익 제고로 이어졌다. 이 과정서 가장 수혜를 누린 건 유용환 부사장을 필두로 한 오너 일가였다. 지난해 말 기준 이연제약 지분구조를 살펴보면 지분율 31.73%(532만1680주)를 기록한 유 부사장이 최대주주에 등재돼있다.
이외에도 유 부사장의 어머니인 정순옥 이연제약 회장이 9.46%(158만6000주), 유 부사장의 동생인 유정민씨(9.38%, 157만3000주), 정 회장의 어머니인 이애숙씨(9.3%, 156만주), 정 회장의 동생인 정순희씨(4.73%, 79만3000주) 등 다수의 오너 일가 구성원들이 주주명부에 이름을 올린 상태다.
오너 일가 지분율을 총합은 64.6%(1083만3680주)에 이른다.
이 같은 지분율은 수십억대 배당금 수령의 원천으로 작용했다. 지난해 결산배당으로 최대주주인 유 부사장(18억6300만원)을 필두로 정 회장(5억5500만원), 유정민씨(5억5000만원), 이애숙씨(5억4600만원), 정순희씨(2억7800만원)가 보유주식수에 따라 배당금을 지급받게 된다.
오너 일가에 귀속되는 배당금은 총 37억9200만원으로 배당금 총액의 2/3에 육박한다.
반면 전체 주주서 99.9%를 차지하는 소액주주들은 지분율은 33.23%(557만2320주)에 그친다. 이들이 지난해 결산배당으로 받게 될 배당금의 총합은 약 19억5000만원으로 유 부사장의 배당금 수령액과 큰 차이가 없다.
챙길 건 챙긴다
최근 3년으로 범위를 확장면 오너 일가에 귀속된 배당금은 95억원으로 불어난다. 오너 일가서 수령한 배당금의 총합은 2015년과 2016년에 각각 26억9300만원, 30억1500만원이다. 같은 기간 유 부사장은 45억2400만원을 지급받았다. 정 회장(14억4600만원), 유정민씨(14억3500만원), 이애숙씨(13억9200마원), 정순희씨(7억2700만원) 등 나머지 오너 일가 역시 거액의 배당금을 챙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