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대주주 오너 일가에 회사 차원서 고배당을 일삼는 ‘반칙’은 비단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변칙적으로 자행되는 ‘오너 곳간 채우기’는 좀처럼 멈춰지지 않고 있다. 어디서부터 문제일까. <일요시사>는 연속기획으로 고배당 논란에 휘말린 오너 일가를 짚어봤다.
1961년 설립된 성보화학은 작물보호제 제조업을 영위하는 기업이다. 1976년 12월 유가증권시장에 등록됐고 2005년부터 꾸준히 주주들에게 배당금을 지급하고 있다. 다른 상장사보다 배당을 적극적으로 실행하면서 소액주주들 사이에서는 배당기대주로 손꼽힌다. 다만 최근 실적치를 뛰어넘는 배당을 실시하면서 고배당 논란에 시달리고 있다.
공장 팔아서…
2016회계연도 사업보고서 분석 결과 성보화학은 주주들에게 88억800만원(1주당 배당금 440원)을 현금배당금으로 건넸다. 전년(44억400만원, 1주당 배당금 2200원) 대비 정확히 2배 증액된 액수다.
성보화학은 2016년 2월 유통주식수를 늘리기 위해 1주당 액면가액을 5000원서 500원으로 낮추는 주식분할을 결정한 바 있다. 이에 따라 발행주식 총수는 200만2000주서 2002만주로 증가했다.
배당금총액이 한층 커졌음에도 ‘배당성향(당기순이익 중 현금으로 지급된 배당금 총액의 비율)’ 오히려 큰 폭으로 떨어졌다. 2015년 134.88%에 달했던 배당성향은 지난해 11.74%에 불과했다.
배당금총액이 커졌음에도 배당성향이 큰 폭으로 떨어졌다는 건 그사이 당기순이익에 엄청난 변화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실적 나빠도 배당금 확대
뚝 떨어진 배당성향 보니…
2016년 성보화학은 매출액 580억원, 영업이익 12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액은 소폭 상승했지만 54억원이던 영입이익이 1/4 수준으로 떨어지면서 위기감이 고조된 상황이었다.
그러나 당기순이익은 영업이익과 동떨어진 모습을 보여줬다. 2015년 32억원이던 당기순이익은 2016년 750억원으로 무려 20배 이상 급등했다.
당기순이익 급등한 건 ‘경기 고양시 공장 및 부지를 처분한 이익’ 967억원이 반영됐기 때문이다. 2016년 8월 성보화학은 본사 및 공장 부지가 한국토지주택공사의 고양덕은 도시개발사업 지역에 포함돼 관련부지를 1270억원에 양도한다고 공시했다.
양도금액은 2015년 말 기준 자산총액의 118.11%에 달했다. 이후 성보화학은 공장이전을 위해 2017년 3월까지 시설 신축과 증설에 약 300억원을 투자했다. 이전비용을 제하고도 1000억원에 육박하는 현금자산이 유입된 것이다.
즉, 공장부지 처분에 따른 현금 유입을 제하면 성보화학은 2016년에 당기순손실 상태서 예년보다 큰 액수를 배당한 것과 마찬가지다.
물론 적극적인 배당정책은 순기능을 내포한다. 현금배당이 주주들에게 회사의 이익을 환원하는 개념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그간 국내 기업들의 배당성향은 선진국은 물론 후진국보다도 낮은 수준이었다.
한국거래소가 밝힌 코스닥 상장사의 20016년 평균 배당성향은 23.8%에 불과하다. 선진국은 물론 30%대를 형성하는 개발도상국과 비교해도 한참 낮다.
주주친화정책 이면
60%가 오너 일가 몫
게다가 성보화학은 배당에 적극적인 자세를 취해왔다. 2015년에는 시가배당률 3.7%의 배당을 실시했다. 같은 기간 코스피 배당률 평균 1.7%대비 2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앞서 2014년에도 시가배당률 4.6%의 현금배당을 단행했다.
이익잉여금도 충분히 쌓인 상태다. 2015년 758억원이던 이익잉여금은 2016년 공장부지 처분효과에 힘입어 1467억원으로 두배 가까이 불어났다.
성보화학이 취한 적극적인 배당정책의 최대 수혜자가 오너 일가다. 2016년 말 기준 성보화학의 지분구조를 살펴보면 지분율 29.86%(597만7690주)를 기록한 윤정선 대표가 최대주주로 등재돼있다.
2015년 말까지만 해도 지분율이 21.07%(42만1921주)에 머물렀지만 매수를 통해 지분율을 한층 끌어올렸다.
윤 대표 이외에도 오너 일가 구성원 상당수가 성보화학 주식을 다량 보유하고 있다. 윤 대표와 재종 관계인 윤태현씨가 지분율 10.59%(212만주)로 2대주주에 이름을 올린 것을 비롯해 오너 일가 지분율 총합이 58.6%에 이른다. 모든 특수관계인으로 범위를 넓히면 지분율이 69.8%까지 뛰어오른다.
이 같은 지분율을 기반으로 오너 일가는 막대한 배당금을 수령했다. 윤 대표는 2016년 26억3000만원을 배당금으로 지급받았고 태현씨는 9억3200만원을 손에 쥐었다. 오너 일가에 흘러간 배당금의 총합은 약 51억원이다.
챙길 건 챙긴다
최근 3년으로 범위를 넓히면 오너 일가에 귀속된 배당금은 한층 많아진다. 윤 대표는 이 기간 동안 약 44억원을 배당금으로 받았고 태현씨는 약 18억원을 챙겼으며 오너 일가 배당금 수령액의 총합은 110억원에 육박한다.
반면 전체 주주 가운데 98.81%를 차지하는 소액주주들은 지분의 28.70%(574만6430주)만 보유하고 있다. 이들이 2016년 수령한 배당금의 총합은 약 25억원으로, 윤 대표 수령액보다 적다.
<djyang@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윤정선 대표 누구?
윤정선 대표는 최근 성보화학 지배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3세 경영 체제 구축과 대주주 책임경영 의지를 보여주기 위해서다. 지난해 11월1일 윤 대표는 회사 주식 79만5300주를 50억원에 매입했다. 이로써 윤 대표의 지분율은 29.86%에서 33.83%로 높아졌다. 윤 대표는 고 윤장섭 유화증권·성보화학 명예회장의 큰 손녀이자 윤경립 유화증권 회장 조카다. 그는 유화증권 지분도 0.01% 갖고 있다.
윤 대표는 부친 윤재천 성보화학 사장이 2007년 사망하면서 회사 지분 21.08%를 상속받아 최대주주가 됐다. 지난해 4월엔 윤 명예회장으로부터 성보화학 지분 8.78%를 물려받았다. 윤 명예회장은 큰 손녀에게 회사 지분을 증여한 직후인 그해 5월 사망했다. 윤 대표는 아버지가 경영에서 손을 뗀 2007년 회사에 합류했으며, 지난해 3월 사장으로 승진했다. 기존 전문경영인과 함께 달고 있던 공동 대표 타이틀을 떼어내고 단독 대표이사가 됐다.
2대주주 윤태현씨는 지난해 10월27일과 11월1일 사이 회사 주식 4만343주를 매입해 지분율을 10.79%까지 끌어올렸다. 윤태현씨는 윤 명예회장의 동생인 윤대섭 성보화학 명예회장의 손자로 윤 대표와 육촌 사이다. 1993년생이며 회사에는 발을 담그고 있지 않다.
성보화학과 유화증권은 혈연관계로 연결돼 있다. 윤 명예회장은 1961년 서울농약을 설립해 한국 농약산업의 기틀을 만들고 1962년 유화증권을 창업했다. 유화증권은 부침이 심한 증권업계에서 50년 넘게 버틴 증권사다. 윤 명예회장의 넷째 아들인 윤경립 회장이 최대주주(21.96%)이며, 윤 회장을 포함한 특수관계인 지분율은 51.37%에 달한다.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