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대주주 오너 일가에 회사 차원서 고배당을 일삼는 ‘반칙’은 비단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올해도 어김없이 고배당 논란이 재연됐다. 변칙적으로 자행되는 ‘오너 곳간 채우기’는 좀처럼 멈춰지지 않고 있다. 어디서부터 문제일까. <일요시사>는 연속기획으로 고배당 논란에 휘말린 오너 일가를 짚어봤다.
최재호 무학그룹 회장이 지속적인 자사주 매입을 통해 지배력 강화와 자산 증식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 초 16%에 불과했던 지분율은 장내·외 지분 매입 결과 현재 50%에 육박하고 있다. 절반에 육박하는 지분을 바탕으로 최 회장은 천문학적인 배당금을 수령했다.
소주 팔아…
2000년 상반기 기준 최 회장 지분율은 16.59%에 불과했다. 최대주주 자리도 아버지인 최위승 명예회장이 계속 지키고 있었다. 하지만 2001년 3월 최 명예회장이 보유 지분 일부를 매각하면서 최 회장은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이후 불과 6개월 만에 지분율을 22.61%까지 끌어올렸다.
최 회장의 지분 매입 행진은 이후 15년간 지속된다. 최 회장은 여타 투자자와 마찬가지로 장내서 지분을 매입했다. 2002년 11월 특수관계자 지분을 2.68% 신규 취득하면서 최초로 지분율 30%를 넘어섰고 불과 2년6개월 만에 40% 고지를 점령했다.
최대주주로서 확고한 입지를 구축하자 이후부터는 지배구조 재편 일환으로 계열사들이 갖고 있던 무학 지분을 계속 매입했다. 그렇게 2011년 3월까지 모은 지분이 49.72%에 달한다.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매년 주식배당을 받았고 지분율은 49.78%로 늘어난 상태다.
중장기 지분 매입 계획을 실행하면서 1인 지배체제는 한층 확고해졌다.
불어난 주식은 엄청난 시세차익을 남겼다. 2003년 3월6일 최 회장이 지분 매입 거래할 무렵 주당 취득 가격은 1650원. 하지만 2013년 들어 실적 고공행진과 함께 무학 주식은 급등하기 시작했고 최근 1만8000원 선을 유지하고 있다. 2015년 한 때 6만원을 넘기기도 했다.
저가 매수에 성공한 최 회장은 주가 급등에 따른 반사이익을 톡톡히 보고 있다. 2000년 9월 당시 16.59%에 그쳤던 지분율은 현재 49.79%에 이른다. 이 기간 주식만 1379만6009주가 늘었다.
이 지분을 확보하는 데 최 회장이 사용한 비용이 264억원이다. 반면 신규 취득한 주식의 현재 시가(지난 9일 종가 1만8250원 적용)는 2517억원에 달한다.
최 회장은 압도적인 지분율을 통해 2000년 이후 무학 주식을 계속 사들이기만 했을 뿐 단 한번도 매도를 통한 차익 실현에 나서지 않았다. 관련 업계에선 최 회장 지분율이 경영권을 확보하고도 남는 수준인 만큼 향후 경영권 외 지분을 활용해 여러 자금 수요 대응에 나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매년 이뤄진 주식배당
수십억씩 쌓이는 곳간
실제로 불어난 주식은 현금배당이라는 또 다른 수익으로 연결됐다. 2016회계연도 사업보고서 분석 결과 지난해 무학은 주주들에게 97억9500만원을 현금배당금으로 건넸다. 1주당 배당금이 250원서 350원으로 상향 조정되면서 전년(68억8500만원) 대비 배당금총액이 30억원 가까이 증액됐다.
배당금 상향은 오너 일가에 막대한 부대 수입으로 작용했다. 지난해 말 기준 무학 오너 일가 소유 지분율은 50.77%. 최 회장의 지분율(49.79%, 1418만8642주)에 그의 부인인 이지수씨(0.98%, 28만592주)의 보유분이 더해진 값이다.
지분율에 따른 오너 일가의 지난해 현금배당 수령액은 무학이 내놓은 배당금 총액의 절반을 훌쩍 뛰어넘는다. 이 가운데 최 회장과 이씨 앞으로 책정된 배당금이 각각 49억6600만원, 9820만원에 달한다.
2015년에는 최 회장이 35억원, 이씨가 6900만원의 배당금을 수령했다.
배당의 기본 취지가 주주들에게 회사 이익을 환원하는 차원이라는 점에서 상장사인 무학의 배당 정책을 무작정 매도하긴 힘들다. ‘배당성향(당기순이익 중 현금으로 지급된 배당금 총액의 비율)’에 근거하면 이 같은 견해가 더욱 힘을 받는다.
무학의 2015년과 지난해 배당성향은 각각 23.89%, 15.93%였다. 배당성향국내 상장사 배당성향은 10∼20%대, 비상장사는 30∼50%대에 몰려 있는데 이마저도 배당에 인색한 사회 통념으로 인해 여전히 선진국은 물론 개발도상국과 비교해도 배당성향이 낮은 수준이다.
2015년과 비교해 지난해 배당금총액이 큰 폭으로 증가했음에도 오히려 배당성향이 낮아진 건 당기순이익이 급증한 덕분이다. 연결기준 무학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614억원으로 전년(288억원)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했다.
다만 배당의 최대 수혜자가 최 회장을 비롯한 오너 일가라는 점은 이견의 여지가 없다. 단순히 배당금 수령에 국한되지 않는다. 당장 가장 큰 관심사는 후계 승계다.
통 큰 돈잔치
최 회장의 아들인 최낙준씨는 2015년 3월부터 무학에 입사해 경영수업을 받고 있다. 등기임원에도 선임돼 경영에도 활발히 참여하고 있다. 다만 최씨는 무학 지분이 전혀 없다. 최 회장 주도로 후계 승계 계획이 실행되면 수천억원의 가치를 지닌 지분 자산이 배당을 통해 승계 자금줄 역할을 할 가능성을 배제하기 힘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