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속기획> ‘나홀로 대박’ 오너들 -손동창 퍼시스 회장

마르지 않는 쏠쏠한 종자돈

[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대주주 오너 일가에 회사 차원서 고배당을 일삼는 ‘반칙’은 비단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올해도 어김없이 고배당 논란이 재연됐다. 변칙적으로 자행되는 ‘오너 곳간 채우기’는 좀처럼 멈춰지지 않고 있다. 어디서부터 문제일까. <일요시사>는 연속기획으로 고배당 논란에 휘말린 오너 일가를 짚어봤다.
 

사무용가구 업체인 퍼시스가 수년 간 거액의 배당금을 주주들에게 지급했던 것으로 집계됐다. 이를 통해 오너 일가는 수십억대에 달하는 쏠쏠한 수익을 남겼다. 향후 경영권 승계 작업에 투입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힘들다.

안정적인 수입

2016회계연도 사업보고서 분석결과 퍼시스는 주주들에게 66억1800만원의 배당금을 건넨 것으로 나타났다. 1주당 배당금이 최근 3년간 동일했던 관계로 배당금총액에는 별다른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배당성향’ 변동 폭도 그리 크지 않았다. 2014년 26.84%였던 퍼시스의 배당성향은 이듬해 22.23%로 떨어졌다가 지난해 27.18%로 소폭 반등했다.

배당성향이 당기순이익 대비 배당금총액을 뜻한다는 점에서 당기순이익의 등락이 배당성향에 영향을 줬음을 짐작할 수 있다. 실제로 2014년 247억원이던 퍼시스의 당기순이익은 이듬해 299억원으로 올랐다가 지난해 231억원으로 내려 앉았다. 


배당성향에 근거하면 상장사인 퍼시스의 배당 규모는 그리 문제될만한 수준은 아니다. 통상 국내 상장사 배당성향은 10∼20%대, 비상장사는 30∼50%대에 몰려 있다. 이는 선진국은 물론 개발도상국과 비교해도 낮은 수준이다. 

회사의 이익을 주주들에게 환원한다는 배당의 기본 취지를 이해하면 적극적인 배당정책은 오히려 박수 받을 만한 일이다. 경쟁사인 한샘의 지난해 배당성향은 15.6%였다. 

게다가 퍼시스는 매년 순이익이 착실히 쌓인 덕분에 안정적인 수준의 이익잉여금을 보유한 상태였다. 2014년 3305억원이던 이익잉여금은 2015년 3542억원 지난해 3709억원까지 불어났다. 즉, 배당규모를 지금보다 높여도 회사 재정에는 크게 무리가 없던 셈이다.

다만 배당의 수혜가 오너 일가에 집중된다는 점은 이견의 여지가 없다. 지난해 말 기준 퍼시스의 지분구조를 살펴보면 특수관계인의 지분율 총합은 51.51%(592만3541주)에 달한다. 

이 가운데 ‘시디즈’가 전체 지분 가운데 30.75%(353만5809주)를 보유한 최대주주로 등재돼있고 지분율 16.73%(192만3556주)를 기록한 손동창 퍼시스그룹 회장이 2대주주에 이름을 올린 상태. 

연 수십억씩 입금되는 배당금
경영권 장악하고 배당금 척척

손 회장의 부인 장미자씨(0.64%, 7만3600주), 장남 태희씨(0.56%, 6만4400주), 장녀 희령씨(0.56, 6만4400주) 역시 상당수 지분을 확보하고 있다. 


이 같은 지분율을 기반으로 오너 일가는 적지 않은 배당금을 수령해왔다. 손 회장의 경우 지난해 13억4648만원의 배당금을 받았고, 장씨는 5152만원, 태희씨와 희령씨는 각각 4508만원을 수령했다. 
 

최근 3년으로 범위를 확장하면 오너 일가서 받은 배당금만 45억원에 육박한다. 그사이 오너일가 지분율은 변동이 없었다. 반면 전체주주수의 99.42%(1173명)를 차지하는 소액주주들의 지분율 총합은 11.74%(135만322주)에 불과하다. 손 회장이 받은 배당금의 1/3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여기서 끝이 아니다. 퍼시스의 최대주주인 시디즈서도 오너 일가는 배당금을 받고 있다. 최근 3년간 감사보고서 분석 결과 시디즈는 매년 3억2125만원을 주주들에게 배당금으로 지급해왔다. 

이 가운데 8할 이상은 오너 일가 몫이었다. 손 회장(80.51%, 26만8660주)과 태희씨(0.78%, 2591주)의 지분 총합이 81.3%에 이르는 까닭이다. 

적극적인 배당을 실시하는 이유를 두고 2세 승계과정서 활용될 상속세 마련 또는 손 회장 퇴임 이후 노후자금 마련 차원이라는 목소리도 들린다. 실제로 지난 4월 시디즈가 보유했던 계열사 ‘팀스’ 지분 40.58%는 또 다른 계열사 ‘일룸’으로 넘어갔다. 일룸은 손 회장의 장남인 태희씨가 최대주주인 회사다.  

쌓이는 곳간

꾸준히 배당이 이뤄지는 것과 반대로 직원 급여는 경쟁사에 비해 뒤떨어지는 수준이다. 지난 8월14일 공시된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퍼시스의 올해 상반기 직원 1인당 평균 급여는 1634만원으로 조사됐다. 이러한 급여는 사무용 가구업계 1위라는 위상을 감안하면 크게 뒤떨어진다.

국내 가구업계 1위 한샘(2438만원)은 물론이고 경쟁사인 ‘코아스’(1800만원)와 비교해도 낮다. 


<djyang@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퍼시스-시디즈 관계는?

퍼시스그룹을 지배하는 회사는 시디즈다. 시디즈는 2007년 일룸서 물적분할을 통해 설립된 회사다. 시디즈의 지분율을 살펴보면 실질적 오너 회사라는 평가가 가능하다. 

100%에 가까운 지분이 오너 일가 및 밀접한 관계인 사람이 가지고 있다. 최대주주는 80.51%의 지분을 가진 손 회장이다. 2대주주는 14.98%로 김영철 명예회장이다. 


손 회장과 김 명예회장은 한샘을 공동창업했으며 이후 손 회장이 퍼시스그룹을 창업하면서 각자의 길을 걷고 있지만 현재까지 지분관계로 엮여있다. 결국 시디즈는 오너가 80% 이상 지분을 가지고 있는 개인회사로 볼 수 있다. 나머지 지분도 오너와 밀접한 관계에 있는 우호 지분이다.

현재 시디즈가 가지고 있는 지분은 30%를 웃돈다. 그새 손 회장의 지분은 16% 수준으로 낮아졌지만 손 회장이 시디즈를 통해 퍼시스를 지배하는 구조인 만큼 그룹사 장악에 문제는 없다. 결과적으로 손 회장은 시디즈를 통해 퍼시스그룹의 지배력을 강화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주>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또다시 나타난 그때 그 사기꾼’ 케이삼흥은 왜 서울시 팔았나

[단독] ‘또다시 나타난 그때 그 사기꾼’ 케이삼흥은 왜 서울시 팔았나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케이삼흥 사태가 대국민 사기극으로 번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피해자가 최소 1000여명, 피해액은 수천억원에 이르는 등 실체가 드러날수록 피해가 눈덩이처럼 커지는 상황이다. 피해자들은 무엇에 홀려 돈을 넣었을까? 무엇이 그들에게 절대적인 믿음을 안겨줬을까? “징조도 없었어요. 2월까지는 돈이 잘 들어왔거든요. 3월25일하고 27일에 원금하고 배당금이 안 들어오면서 난리가 난 거죠.” <일요시사>와 연락이 닿은 한 케이삼흥 투자 피해자는 여전히 정신이 없는 듯했다. 이 피해자는 가족과 지인에게도 투자를 권유했다고 한다. 현재 원망 그 이상의 감정을 받고 있다고 토로했다. 2월까진 괜찮았다 최근 케이삼흥 사태가 일파만파로 번지고 있다. 2021년 설립된 부동산 투자플랫폼업체 케이삼흥은 월 최소 2% 수익을 보장하겠다며 투자자를 끌어모았다. 연 단위로 따지면 24%의 고수익 투자상품인 셈이다. 피해자는 ‘정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의 말에 현혹된 것으로 보인다. 케이삼흥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개발 예정인 토지를 매입한 뒤 개발사업이 확정되면 소유권을 넘겨 보상금을 받는 방식으로 수익을 만들 수 있다고 홍보했다. ‘토지 보상 투자’라는 용어가 나왔다. 직급에 따라 수익금을 차등 지급하는 다단계 방식으로 업체를 운영해 전형적인 ‘다단계금융 사기’라는 의혹도 제기됐다. 이번 사태서 의문이 제기된 부분은 횡령 등의 혐의로 복역한 경험이 있는 김현재 케이삼흥 회장이 어떻게 또다시 수천명에 이르는 투자자를 끌어모았는지다. 김 회장은 ‘기획부동산’의 창시자로 불린다. 토지를 싼 가격에 사들인 뒤 개발 호재 등이 있다고 소문내 이를 쪼개 파는 방식으로 사기를 저질렀다. 이 과정서 투자금 200억원을 횡령한 혐의 등으로 2006년 징역 3년형을 선고받았다. 20여년이 지난 2021년 김 회장은 ‘케이삼흥’이라는 회사를 만들었다. 서울 등 전국에 7개 지점을 둔 케이삼흥은 언론 광고 등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투자자를 모았다. 한 케이삼흥 직원에 따르면, 7개 지점서 일하는 직원은 300~350명가량이었다. 직원들은 이른바 가족·지인 영업을 통해 투자자를 모집했다. 월 2% 수익 약속에 수천명 투자 20년 전과 과정도 결과도 같다? 대부분의 직원은 중·장년층으로 인터넷 기사 등을 통해 공개된 김 회장의 과거를 잘 알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김 회장의 사기 전과를 알고 있던 피해자 역시 “원래 무죄였다”거나 전직 대통령을 거론하는 김 회장의 말솜씨에 넘어갔다고 한다. 훈장, 공적비, 기부 기사 등은 김 회장의 주장에 힘을 실었다. 따박따박 통장에 찍히는 배당금은 김 회장에 대한 신뢰를 굳건하게 만들었다. 투자금의 1.5~2%에 이르는 배당금이 매달 입금되고 계약에 따라 만기가 되면 원금이 들어오는 구조였다. 예를 들어 1000만원을 투자하고 3개월 만기로 계약을 맺었다면 1060만원을 돌려받게 되는 셈이다. 요즘 같은 저금리 시대에 파격적인 수준이었다. 김 회장은 본인의 사재를 털어 부족한 부분을 메꾸고 있다고 직원들에게 말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러면서 직원들에게 더 열심히 일하라고(투자자를 모집하라고) 했다는 것이다. 피해자들에 따르면, 김 회장은 자신의 재산이 1조원에 달한다고 주장했다. 수익이 나기 전까지 자신의 돈으로 원금과 배당금을 일부 주고 있다고 여러 차례 강조했다고 덧붙였다. 꾸준히 원금과 배당금을 받은 대부분의 피해자는 더 많은 돈을 재투자했다. 피해액이 천문학적인 수준으로 불어난 이유다. 하지만 ‘윗돌 빼서 아랫돌 괴는’ 방식의 사업구조는 자금 순환이 막히면서 결국 무너져 버렸다. 피해자는 지난 2월까지 원금과 배당금을 정상적으로 받았기에 케이삼흥 사태를 예측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피해자 중장년층↑ 하지만 경고음은 분명히 존재했다. 회계법인은 케이삼흥에 대해 ‘감사 의견 거절’을 냈다. 감사 의견 거절은 ▲감사인이 감사보고서를 만드는 데 필요한 증거를 얻지 못해 재무제표 전체에 대한 의견 표명이 불가능할 때 ▲기업의 존립에 의문이 들 때 ▲감사인의 독립성 결여 등으로 회계 감사가 불가능한 상황에 제시한다. 기업 내부 사정이 심상찮다는 소리다. 케이삼흥의 경우 ‘회계연도의 현금흐름표 및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을 받지 못했다’가 감사 의견 거절의 근거가 됐다. 그럼에도 수많은 피해자는 김 회장을 철석같이 믿었다. 오히려 정관계 인사를 잘 안다는 김 회장의 말이 피해자의 투자심리를 부추겼다. 과거에도 김 회장은 기획부동산 사기로 검찰 조사를 받던 시기에 정관계 로비 의혹을 받은 바 있다. 당시 김 회장이 횡령한 돈 일부가 정치자금으로 흘러 들어갔다는 의혹이 제기된 것이다. 정치권 등의 유력인사를 언급해 투자자의 믿음을 사는 김 회장의 수법은 이번 케이삼흥 사태서도 반복된 것으로 보인다. 한 피해자는 “(김 회장이)정치인 인맥이 많다는 말을 하곤 했다”고 말했다. 다양한 통로로 정보를 얻는 젊은 층에 비해 정보에 어두운 중‧장년층은 김 회장이 주장하는 인맥에 신뢰를 보냈다. 사기 전과 있는데도… <일요시사> 취재에 따르면 김 회장은 서울시 고위공무원과의 친분도 주장했다. 강연 과정서 서울시 고위공무원의 직책을 언급하면서 그를 통해 협조 약속을 받았다는 주장을 펼쳤다. 이 과정서 토지나 주택 등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의 이름도 등장한다. 투자자에게 수익금에 대한 확신을 심어주려는 의도로 파악된다. 김 회장은 “작년에는 부동산 경기 자체가 불투명하니까 1년 동안 거의 안했어요. 착공 들어가려면 제일 먼저 하는 게 보상 업무잖아요. 올해 작년 것까지 합쳐서 하고 있어요. 사업계획 세워놓은 것은 차질이 없다고 하니까”라고 말한다. 그러면서 공공기관, 서울시 고위공무원 직책을 말하면서 “(서울시 고위공무원 직책이)그걸 관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 회장이 언급한 직책은 서울시서 주택, 재난안전 등을 관리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김 회장은 “(서울시 고위공무원을)만나서 사업이 진행되면 케이삼흥 것을 우선적으로 하겠다(는 약속을 받았다)”고 했다. 토지 보상을 하는 과정서 케이삼흥에 우선적으로 협조한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김 회장은 ‘주진입도로’ 등을 언급하면서 “2단계든, 3단계든 관계없이 케이삼흥 것을 먼저 협조해주겠다고 그 약속까지 제가 다 받아냈으니까. 하반기에 보상 나오는 것은 확실합니다”라고 강조했다. 강연에 참석한 투자자들은 중간중간 호응하다가 김 회장의 말이 끝나자 박수를 치면서 환호했다. 정치인 인맥·훈장 자랑 당사자는 “처음 들었다” 서울시 관계자는 사실 확인을 요청하는 <일요시사>에 “개인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확인을 해줄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회장이 언급한 직책의 인물은 지난 8일 <일요시사>와의 통화서 “김현재라는 이름은 지금 처음 듣는다”고 전했다. 케이삼흥이라는 회사명도 이날 처음 들었다고 주장했다. 김 회장과는 사적 친분은 물론이고 전혀 관계가 없다는 말이다. 현재 케이삼흥 사태는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서 수사하고 있다. 김 회장 등 케이삼흥 경영진은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특경법)과 유사수신행위 규제법 위반 등의 혐의를 받는다. 지금까지 파악된 피해자와 피해액은 최소 규모로 시간이 가면 더 늘어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직원으로 불린 모집책이 가족이나 지인 등을 상대로 투자를 권유한 경우가 많아 가정이 파탄난 사례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피해자 가운데 일부는 가족의 병원비 등을 투자금으로 넣은 경우도 있었다. 피해자들은 수사기관에 고소하거나 집회를 준비하는 등 개별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빠른 수사가 관건이라고 입을 모았다. 시간이 흐를수록 피해자가 받는 정신적 고통이 커지기 때문이다. 실제 케이삼흥 사태와 같은 대형 사건서 투자금을 돌려받지 못하거나 투자를 권유한 사람에게 독촉을 받던 피해자가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례를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빠른 수사 피해 복구는? 한 피해자는 “가족과 지인 돈까지 다 끌어모아서 투자했다. 원금만이라도 제발 돌려받고 싶다. 가족과 지인들에게 얼굴을 들 수 없다”고 안타까워했다. 직원이면서 동시에 투자자인 이 피해자는 5억원 이상을 투자금으로 넣었다고 고백했다. 김 회장의 입장을 듣기 위해 문자메시지, 전화 등을 통해 연락을 취했지만 닿지 않았다. <jsjang@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