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양동주 기자 = 대주주 오너 일가에 회사 차원서 고배당을 일삼는 ‘반칙’은 비단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올해도 어김없이 고배당 논란이 재연됐다. 변칙적으로 자행되는 ‘오너 곳간 채우기’는 좀처럼 멈춰지지 않고 있다. 어디서부터 문제일까. <일요시사>는 연속기획으로 고배당 논란에 휘말린 오너 일가를 짚어봤다.
2016회계연도 감사보고서 분석 결과 레미콘의 제조 및 판매사업을 영위하는 아주산업은 주주들에게 배당금으로 약 83억원을 지급한 것으로 집계됐다. 당기순이익 중 현금으로 지급된 비율을 뜻하는 배당성향은 12.61%였다. 전년과 비교하면 배당금 규모는 대폭 감소했다. 2015년에는 배당금총액은 112억원, 배당성향 36.41%를 나타낸 바 있다.
쌓이는 곳간
당기순이익 급증이 배당성향을 1/3 수준으로 낮추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연결 기준 2015년 310억원이던 아주산업 당기순이익은 지난해 660억원까지 올랐다. 전년 대비 한층 낮아진 1주당 배당금도 배당성향 하락에 일조했다. 2015년 2850원이던 1주당 배당금은 지난해 2100원으로 내려앉았다.
아주산업의 배당성향은 국내 상장사 배당성향 평균치(10∼20%대)와 비교해도 크게 무리가 없는 수준이다. 배당의 기본 취지가 주주들에게 회사의 이익을 환원한다는 것임을 감안하면 적정 수준서 이뤄지는 아주산업의 배당정책은 환영할 만한 일이다.
더욱이 아주산업의 이익잉여금은 개별 기준 2015년 2850억원서 지난해 3250억원으로 증가했다. 배당성향을 좀 더 높여도 회사 재정에 무리가 없던 셈이다.
다만 현금배당금총액의 대부분이 오너 일가에 쏠린다는 점은 논란의 여지를 남긴다. 아주산업 오너 일가가 수령하는 절대적인 배당금 액수는 결코 적은 액수가 아니다.
최근 2년 간 170억 챙겨
배당 95%는 오너 일가 몫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올라온 아주산업의 지난해 사업보고서를 보면 이 회사 오너 일가는 전체 배당금의 95% 이상을 챙기고 있다. 최대주주는 지분율 84.21%(345만6839주)를 기록한 문규영 아주그룹 회장이다.
지난해 문 회장은 이 지분을 토대로 아주산업서 72억6000만원을 배당금으로 받았다.
배당금총액 규모가 감소한 탓에 98억5000만원이던 전년과 비교하면 25억원 이상 줄었다. 최근 2년간 배당금 수령액 총합은 약 170억원에 달한다.
앉은 자리서…
문 회장의 동생이자 신아주그룹(부동산 임대/버스터미널 운영) 회장인 재영씨 역시 아주산업에서 쏠쏠한 배당금을 받았다. 아주산업 주식 48만4801주(지분율 11.81%)를 보유한 재영씨는 지난 2년 간 각각 13억8000만원, 10억2000만원의 배당금을 수령했다. 문 회장과 재영씨만 아주산업 주주명단서 5% 이상 대주주에 이름을 올린 상태다.
<djyang@ilyosisa.co.kr>
<기사 속 기사> 아주그룹은?
아주그룹은 2014년 타계한 문태식 아주그룹 명예회장이 1960년 설립한 아주산업을 모태로 한다. 서울 망우리에 6만6116㎡ 부지의 콘크리트 공장을 설립한 것이 지금의 아주그룹의 시작이다.
이후 1970년대 건설용 고강도 흄파이프를 공급해 국내 굴지의 건자재 기업으로 자리매김 하고 1980년 망우동에 레미콘 공장을 지어 레미콘 사업진출을 본격화했다. 이후 아주그룹이 금융, 자동차 판매·호텔 부동산·자원개발 등 20여개 계열사, 매출 2조원대 회사로 키우는데 기여했다.
문 명예회장의 장남이자 문규영 현 아주그룹 회장은 아주산업의 주요 수익원인 레미콘사업에 힘을 싣고 있다. 지난해 레미콘의 원자재인 모래와 자갈을 취급하는 골재회사 공영해운의 인수를 결정했다.
아주캐피탈 매각추진도 ‘선택과 집중’이라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벤치마킹대상으로 봤던 웅진그룹이 무리한 사업확대로 2012년 무너지자 주력사업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돌아선 것으로 알려졌다.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