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05.20 20:00
[일요시사 취재2팀] 김해웅 기자 = “비행기가 노키즈존도 아닌데, 어느 정도의 소음은 허용돼야 하는 게 아닌가요?” 유치원생 딸과의 가족여행 중 비행기 안에서 불편함을 느꼈다는 한 누리꾼의 글이 역풍을 맞고 있다. 자신을 유치원생 딸을 키우는 엄마라고 소개한 누리꾼 A씨는 지난 10일, 포털사이트 네이트 내 커뮤니티인 ‘네이트판’에 ‘비행기는 노키즈존이 아닙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게재했다. A씨는 “얼마 전, 가족들과 여행 차 10시간이 넘는 곳에 다녀왔다. 비행기에는 딸뿐만 아니라 돌도 지나지 않은 아기도 보였다”고 운을 뗐다. 그는 “아무래도 비행 시간이 길다 보니 중간에 아이들이 조금씩 울기도 했다”면서도 “딸은 소리지르며 울 나이는 지나서 심하게 울진 않았는데, 계속 칭얼거리고 중간에 한 번 빼액 하는 정도였다”고 설명했다. A씨 주장에 따르면 당시 딸은 ‘엄마, 아빠 이것 줘, 싫어’ 등 이런 짧은 말을 크게 냈을 뿐, 문제가 되는 것처럼 몇 십분 동안 계속해서 울지 않았다. 게다가 10시간 중 3시간은 거의 잤고, 나머지 시간만 보채면서 약 2초쯤 한 번씩 크게 소리지르거나 발버둥치고 칭얼거렸다. 그는 “옆 사람이 ‘아이 좀 케어해달라. 너무 불
[일요시사 취재2팀] 김해웅 기자 = “이번에 아이와 함께 제주도 여행 갔는데 무슨 맛집이며 카페며 다 노키즈존이었다. 심지어 (노키즈존이라고)써 붙여놓지도 않았다.” 지난 3일, 온라인 커뮤니티 네이트 판에 최근 제주도 여행 중 불편했던 여행 후기글이 화제를 모으고 있다. 이날 한 누리꾼은 “네이버에도 특이사항에 반려동물 동반 가능은 적혀 있어도 노키즈존은 안 적혀 있다”며 “노키즈존이야 사장 마음대로 하는 것이고 존중하지만 적어도 공지나 문 앞에 붙여놓기는 해야 되는 거 아니냐?”고 주장했다. 이어 “자리 다 앉고 주문하려면 카운터에 붙여져 있거나 점원이 노키즈존이라고 주문 못한다고 했다”며 “반려동물 출입 가능이라고 쓸 시간에 노키즈존이라고 한마디 더 써주는 게 어렵다. 시내나 핫플레이스라는 곳 보면 다 노키즈존이라고 공지해놓지 않았는데 이런 식당들 진짜 별로”라고 지적했다. 해당 노키즈존 미공지 지적글에는 178개의 댓글이 쏟아졌다(4일 오전 9시30분 기준). 베플 1위에는 “노키즈가 문제가 아니라 공지를 하지 않는 게 문제 아니냐? 입구에도 당연히 써놔야 하고 네이버에서 눈에 띄게 써놔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1층이 아니면 계단이나 엘리베이터 입구
[일요시사 취재1팀] 남정운 기자 = ‘노키즈존’에 이은 ‘노시니어존’ 논쟁이다. 한 작은 카페서 “60세 이상 어르신 출입제한”이라는 방침을 세운 것을 두고 찬반 양론이 대립하는 모양새다. 한쪽에서는 점주의 야박함을 비판하고, 반대쪽에선 점주의 자유를 옹호한다. 전문가들은 논쟁의 맥락에 세대 갈등이 숨어 있다고 지적한다. “노시니어존(No senior zone, 60세 이상 어르신 출입제한)”. 지난 8일,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사진 속 카페 출입문에는 이 같은 문구가 적혀 있었다. 사진을 올린 커뮤니티 이용자는 “참고로 이곳은 딱히 앉을 곳도 마땅치 않은 한적한 주택가의 한 칸짜리 커피숍”이라며 “무슨 사정일지는 몰라도 부모님이 지나가다 보실까 무섭다”고 했다. “노인 혐오” 하필 게시글이 어버이날에 올라온 탓인지, 점주의 ‘운영 방침’을 비판하는 목소리와 되레 옹호하는 의견 간의 대립도 한층 격했다. 방침을 비판하는 측은 “특정 연령대 출입을 모두 제한하는 건 혐오를 조장한다” “결국 누구나 늙는다. 늙음이 잘못은 아니다” 등의 반응을 남겼다. 반면 “자기 가게 운영방침은 마음대로 정할 자유가 있다”며 점주를 옹호하는 의견도 적지 않았다. 일각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