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034호>
<제1033호>
소설가 황천우는 지금까지 역사소설 집필에 주력해왔다. 역사의 중요성, 과거를 알아야 현재를 알고 또 미래를 올바르게 설계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였다. 아울러 그 과정에서 ‘팩션’이란 장르를 만들어냈다. 팩트와 픽션, 즉 사실과 소설을 혼합하여 교육과 흥미의 일거양득을 노리기 위함이었다. 그리고 오래 전부터 의심의 끈을 놓지 않은 사건을 들추어냈다. 필자는 그 사건을 현대사 최고의 미스터리라 칭함에 조금도 주저하지 않는다. 바로 1974년 광복절 행사 중 발생했던 영부인 육영수 여사 저격사건이다. 이 부장이 당당하게 말을 받자 다시 장 장관이 나섰다. “말 하세요.” “일 외무성 아세아국 나까에 차장이 주일 대사관에 사견을 전제로 요구한 사항이 있습니다.” “사견이라면.” “물론 사견이라는 토를 달았지만 일본 정부의 공식 입장이라 보아도 무방할 듯합니다.” “말해보세요.” “일본 측에서는 이 사건으로 여하한 경우라도 한국과의 관계가 악화되는 일은 방지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하여 두 가지 안을 제시하였습니다.” &
지금까지 역사소설 집필에 주력해왔다. 역사의 중요성, 과거를 알아야 현재를 알고 또 미래를 올바르게 설계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였다. 아울러 그 과정에서 ‘팩션’이란 장르를 만들어냈다. 팩트와 픽션, 즉 사실과 소설을 혼합하여 교육과 흥미의 일거양득을 노리기 위함이었다. 그리고 오래 전부터 의심의 끈을 놓지 않은 사건을 들추어냈다. 필자인 황천우 작가는 그 사건을 현대사 최고의 미스터리라 칭함에 조금도 주저하지 않는다. 바로 1974년 광복절 행사 중 발생했던 영부인 육영수 여사 저격사건이다. “그렇다면 둘 중 하나일 수밖에 없는 상황인데‥‥‥.” 신덕수가 말을 흐렸다. “무슨 말씀이신지요?” “남조선 아니면 윤대중의 자작극일 가능성이 크다 이 말이네. 어차피 민단이나 우리는 이런 일에 개입할 여지가 없으니까.” “의장님, 어떻게 할까요?” “지금 당장 우리가 취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보네. 그러니 차 국장은 북조선에 이 사실을 보고토록하게.” 차 국장이 그러마고 자리를 물리자 무거운 침묵이 방안을 채웠다. “그런데, 의
<제1032호>
<제1032호>
[일요시사 정치팀] 김명일 기자 = 지금까지 역사소설 집필에 주력해왔다. 역사의 중요성, 과거를 알아야 현재를 알고 또 미래를 올바르게 설계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였다. 아울러 그 과정에서 팩션이란 장르를 만들어냈다. 팩트 즉 사실과 픽션 즉 소설을 혼합하여 교육과 흥미의 일거양득을 노리기 위함이었다. 그리고 오래 전부터 의심의 끈을 놓지 않은 사건을 들추어냈다. 필자는 그 사건을 현대사 최고의 미스터리라 칭함에 조금도 주저하지 않는다. 바로 1974년 광복절 행사 중 발생했던 육영수 여사 저격사건이다. “각하, 찾으셨습니까?” 이 부장이 황급히 문을 열고 들어서자 집무실이 담배 연기로 뽀얗게 뒤덮여 있었다. 그 속에서 네 사람의 굳은 표정을 살피고 심상치 않은 감을 느꼈는지 멀뚱하게 서서 김 총리와 장 장관을 번갈아 주시했다. “왔으면 앉지 않고 뭐하는 겐가.” 이 부장이 다시 두 사람의 눈치를 살피며 슬그머니 자리에 앉았다. “자초지종을 이야기해 봐.” “무엇을 말씀이신지‥‥‥.” “뭐긴 뭐야. 윤대중 말이지!” 이 부장의 표정이 급격하게 굳어갔다.
<제1031호>
지금까지 역사소설 집필에 주력해왔다. 역사의 중요성, 과거를 알아야 현재를 알고 또 미래를 올바르게 설계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였다. 아울러 그 과정에서 팩션이란 장르를 만들어냈다. 팩트 즉 사실과 픽션 즉 소설을 혼합하여 교육과 흥미의 일거양득을 노리기 위함이었다. 그리고 오래 전부터 의심의 끈을 놓지 않은 사건을 들추어냈다. 필자는 그 사건을 현대사 최고의 미스터리라 칭함에 조금도 주저하지 않는다. 바로 1974년 광복절 행사 중 발생했던 육영수 여사 저격사건이다. 1973년 8월 9일, 아침 이른 시간에 박정희 대통령이 집무실에 도착하여 책상에 앉아 막 서류를 뒤적이고 있었다. 한순간 노크 소리와 동시에 문이 열리며 안중규 비서실장이 김운정 국무총리와 장경호 외무부 장관과 함께 들어섰다. “각하!” “임자들이 이른 시간에 어쩐 일이오?” 박 대통령이 김 총리의 가늘게 떨리는 목소리 아울러 사전에 기별도 없이 들어 선 모습에 의혹의 시선을 보냈다. “상당히 곤란한 일이 발생하였습니다.” “갑자기 그 무슨 소리야!” “장관께서 말씀 드리시지요.” 김 총
<제1030호>
<제1029호>
<제1028호>
<제1027호>
<제1026호>
<제1025호>
<제1024호>
<제1023호>
<제1022호>
<제1021호>
<제1020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