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황천우는 지금까지 역사소설 집필에 주력해왔다. 역사의 중요성, 과거를 알아야 현재를 알고 또 미래를 올바르게 설계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였다. 아울러 그 과정에서 ‘팩션’이란 장르를 만들어냈다. 팩트와 픽션, 즉 사실과 소설을 혼합하여 교육과 흥미의 일거양득을 노리기 위함이었다. 그리고 오래 전부터 의심의 끈을 놓지 않은 사건을 들추어냈다. 필자는 그 사건을 현대사 최고의 미스터리라 칭함에 조금도 주저하지 않는다. 바로 1974년 광복절 행사 중 발생했던 영부인 육영수 여사 저격사건이다.
이 부장이 당당하게 말을 받자 다시 장 장관이 나섰다.
“말 하세요.”
“일 외무성 아세아국 나까에 차장이 주일 대사관에 사견을 전제로 요구한 사항이 있습니다.”
“사견이라면.”
“물론 사견이라는 토를 달았지만 일본 정부의 공식 입장이라 보아도 무방할 듯합니다.”
“말해보세요.”
“일본 측에서는 이 사건으로 여하한 경우라도 한국과의 관계가 악화되는 일은 방지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하여 두 가지 안을 제시하였습니다.”
“두 가지 안이오?”
“첫째, 현재까지 수사결과 한국 정부가 관여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했음을 일본 정부에 다시 명백히 통고하고 일본 정부가 윤대중 씨의 일본 방문을 요청하고 있음에 비춰 수사상 필요한 일정기간 후에는 한국 정부가 윤 씨의 일본 방문을 고려할 수 있다는 정도로라도 성의표시를 함으로써 일본 정부의 언론 및 국회대책에 협조해 달라는 내용입니다.”
“두 번째 안은?”
“한국 정부가 이 사건 수사결과를 일본 정부에 통고하고 앞으로의 수사 전망과 수사 소요기간을 대충 정해 이 기간에는 한일각료회의를 열지 말자고 한국 측이 제안함으로써 일본 정부의 일방적 조치를 미리 막고, 이후 한일 양국이 다시 합의하여 새 일정을 정해야 한다 요구하였습니다. 아울러 지금 이야기한 두 개의 안 중 우리 측이 하나라도 받아들여 주어야 할 것이라 하였습니다.”
박 대통령이 이 부장을 주시하며 잠시 침묵을 지키다 시선을 장 장관에게 주었다.
“장관의 의견은 어떠하오.”
“각하, 외람되오나‥‥‥.”
“주저 말고 말씀 하세요.”
“두 개의 안 모두 들어주겠다고 통보하심이 어떠하겠습니까?”
“모두 말이오!”
박 대통령이 의아한 표정을 지으며 이 부장과 안 실장을 번갈아 주시했다. 순간 안 실장의 눈동자가 반짝였다.
“안 실장의 생각은 어떤가?”
“각하, 방금 장 장관의 제안이 매우 적절하다 생각합니다.”
“무슨 근거로 그리 말하는가?”
“이야기를 들어보니 첫 번째 안은 형식에 불과한 듯 보입니다. 아울러 일본 측 주장은 명분을 달라는 듯 보이는데 결론은 한일 각료회의를 잠정 중단하자는 내용으로 비쳐집니다. 하니 둘 다 수용하여도 무방하리라 생각합니다.”
“각하, 그리고 이후는 정치적으로 해결하시면 될 듯합니다.”
박 대통령이 이 부장을 주시하다 장 장관을 바라보았다.
“장관, 각료회의를 잠정 중단해도 무리 없겠습니까?”
“무리 여부를 떠나서 지금 가장 중요한 일은 일본인들의 악화된 여론을 누그러뜨리는 부분이라 생각합니다.”
“좋소, 그리 검토해보도록 하시고.”
박 대통령이 말을 멈추고 이 부장에게 고개 돌렸다.
“임자, 북쪽에는 뭐라 하려는가?”
“강하게 밀고 나가렵니다.”
느닷없이 불거진 대화에 장 장관이 어리둥절한 표정을 지었다. 그 의미를 파악한 안 실장이 장 장관이 오기 전에 오갔던 대화 내용을 되풀이했다. 이야기가 끝나자 장 장관이 고개를 끄덕였다.
일본과 남한의 은밀한 거래
사면초가 북한, 다급해진 조총련
“그러면 남북관계가 새롭게 변화될 수도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럴 수도 있지요. 그러나 이 시점 북한과의 관계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소. 허니 일본과의 관계에 치중하여 주시오.”
“물론입니다, 각하.”
“그리고 이 부장은 더 이상 문제가 불거지지 않도록 만전을 기하게.”
박 대통령의 말이 끝나자 장 장관이 원망스럽다는 듯한 표정을 지으며 이 부장을 바라보았다.
조총련 오사카 지부
조총련 오사카 지부에 일단의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문상대 지부장의 지시에 따라 오사카 이코노구 지부장인 성동찬 그리고 이즈미오쓰 지부장인 김동규와 선전부장인 차영철이 참석했다.
“가셨던 일은 어떻게 되었습니까?”
문이 열리며 문상대 지부장이 들어서 자리 잡자 성동찬이 입을 열었다.
“이호룡 정치부장의 모습은 보이지 않는데, 무슨 일 있는가?”
“급한 일이 발생하여 조금 늦겠다고 통보해왔습니다.”
“급한 일이라니?”
“내용은 말하지 않았습니다만.”
“그래, 그건 그렇고. 도쿄의 본부를 방문하여 현재 일의 진행 상황 그리고 향후 조처에 대한 의견을 나누었네.”
성동찬의 난처한 표정을 살피던 문상대가 대화를 바꾸어 나갔다.
“의견이라니요?”
성동찬이 이해되지 않는다는 듯 고개를 갸웃거렸다.
“아직도 결말나지 않아 그러네. 경시청이 쉽사리 결단 내리지 못하고 있네.”
“지부장님, 그게 시원하게 결말 날 수 있는 사안이 아니지 않습니까. 남조선 애들이 고분고분하게 우리가 한 일이오 하고 자백하겠습니까. 듣기로는 그야말로 프로급들의 작품이었다 하던데요.”
“차 부장 말이 맞네. 지금 일본 정부도 상당히 고민하고 있는 모양이야. 워낙 완벽하게 일처리 해서 수사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하네.”
“그런데, 지부장님.”
“말해보게.”
“여하튼 윤대중 선생은 곱게 남조선 자택에 도착하였으니 사건은 일단락 난 것 아닙니까. 괜히 우리가 나설 특별한 이유라도 있습니까?”
잠자코 지켜보던 김동규가 나섰다.
“두 가지 이유에서라네.”
“두 가지요?”
“첫째, 북조선 입장이라네.”
“자세히 설명해주시겠습니까?”
“비록 북조선에서 남조선과 평화통일 협정을 맺었으나 북조선은 내심 윤대중 선생이 지지하는 연방제 통일방안을 선호하고 있네.”
“그야 모두 알고 있는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덜컥 윤대중 선생과 손잡을 수는 없는 노릇 아닙니까?”
“물론 그렇지. 그러나 선택의 폭을 넓히고 남조선을 압박하여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지 않겠는가.”
문상대가 잠시 말을 멈추고 모두의 얼굴을 주시했다.
“다음은 우리의 입지 강화를 위해서라네.”
이어지는 문의 이야기에 모두 고개를 끄덕였다. 일본과 남한의 관계가 긴밀해지면서 남한이 일본 정부를 상대로 조총련에 대해 거세게 압박하고 있었고 그에 일본은 조총련에 전과는 다른 태도를 보였던 터였다.
“그러면 이번 사건에 어떻게 대처해야 합니까?”
물론 김동규의 지적이었다.
“비록 사건은 결말나지 않았지만 자네들과 그 문제를 상의하고자 불렀네.”
“우리야 그냥 본부의 지시만 받고 그대로 행동하면 되는 게 아닙니까?”
차 부장의 질문에 문상대가 가볍게 한숨을 내쉬었다.
<다음호에 계속>
[황천우는?]
▲ 서울시립대 영문학과 졸업
▲ 정당사무처 공채(13년 근무)
▲ 서울과학기술대 문예창작과 중퇴
▲ 소설가
▲주요작품
단편소설 <해빙> <파괴의 역설>
장편소설 <삼국비사> <여제 정희왕후> <수락잔조> 등 다수
희 곡 <정희왕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