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풍이 절정을 이루는 시기에 맞추어 산 이야기 한번 해보자. 서울과 경기도 고양시에 걸쳐있는 북한산의 명칭에 대해서다. 일부 사람들은 북한산이라는 명칭에 대해 침을 튀겨가며 거부 반응을 나타낸다. 무슨 사연이 있어 그런지 북한산 명칭의 유래를 살펴보자.
북한산이 문헌상 최초로 등장하는 시기는 삼국 시대 초기다. 삼국사기 본기 온조왕에 관한 기록이다.
『주몽이 북부여에 있을 때 낳은 아들 유리가 와서 태자가 되자, 비류와 온조는 태자에게 용납되지 못할까 두려워 마침내 오간·마려 등 열 명의 신하와 더불어 남쪽으로 갔는데 백성들이 따르는 자가 많았다. 그들은 드디어 한산(漢山)에 이르러 부아악(負兒嶽)에 올라가 살만한 곳을 바라보았다.』
상기의 기록을 살피면 한산이란 지명과 부아악이 등장한다. 한산은 지금의 서울 지역을 지칭하는 말로 진흥왕이 한강 유역을 정복한 이후 한강 이북을 ‘북한산주’라 명하였고 신라가 백제를 멸망시킨 이후 한강 이남, 당시 경기도 광주 지역을 ‘남한산주’로 표기했었다.
아울러 지금의 북한산은 ‘부아악’으로 등장한다. 부아악은 어머니가 어린 아이를 업고 있는 형상을 의미하는데 흡사 바위의 모습이 그와 같아 붙여진 이름이다.
다음은 고려 말 학자인 목은 이색의 시 ‘삼각산을 바라보며’(望三角山) 중 일부를 살펴보자.
세 봉우리 태초부터 솟았는데
하늘 가리킨 선장 천하에 드므네
三峯削出太初時(삼봉삭출태초시)
仙掌指天天下稀(선장지천천하희)
선장(仙掌)은 천자의 몸 뒤를 가로막는 부채로 바람을 막고 해를 차단하는 용도에 쓰인다. 세 개의 봉우리가 어우러져 흡사 선장과도 같다는 의미인데, 고려 시대에 들어서면서 북한산의 명칭이 삼각산으로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즉 고려 시대에는 북한산이 백운대, 인수봉, 만경대의 세 개의 봉우리가 삼각형의 뿔 모양으로 생겼다 해서 삼각산 혹은 삼봉으로 불리었다.
다음은 역시 고려 말 학자인 도은 이숭인의 시 중 일부를 살펴보자.
화산 남쪽 바라보니 위태롭기만 한데
산속 그윽한 거처 낮에도 사립문 닫혔네
華山南望一髮微(화산남망일발미)
山中幽居晝掩扉(산중유거주엄비)
상기의 작품은 이숭인이 삼각산에 초가집을 짓고 후학들에게 강연을 베풀던 정도전에게 보낸 시로 북한산이 화산으로 등장한다.
하여 상기의 기록들을 살피면 북한산의 명칭이 부아악으로 시작하여 삼각산, 삼봉, 화산으로 불리었음을 살필 수 있다. 이후 삼각산이란 명칭으로 조선조 말까지 지속되는데 느닷없이 북한산으로 바뀐다.
일전에 숭례문이 국보 1호로 지정된 부분에서도 지적한 바 있지만 이 부분에도 일본이 개입되어 있다.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인들이 토지정리를 하던 중에 삼각산이란 이름을 무시하고 지명인 ‘북 한산’을 산 이름 ‘북한산’으로 정했다.
그런데 더 우스꽝스러운 일은 국보1호 지정과 한 치의 오차도 보이지 않는 우리의 태도였다. 지난 1983년 국립공원 지정 당시 ‘북한산 국립공원’으로 명명하면서 산 이름이 ‘북한산’으로 완벽하게 굳어졌으니 산 이름의 변천 과정을 알고 있는 사람들이 침을 튀기며 분개하는 일을 이해할 만도 하다.
※ 본 칼럼은 일요시사 편집방향과 다를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