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가 자기들만의 장난은 아니어야지.” 김영권의 <선감도>를 꿰뚫는 말이다. 박정희 군사정권 시절 청춘을 빼앗긴 한 노인을 다뤘다. 군사정권에서 사회의 독초와 잡초를 뽑아낸다는 명분으로 강제로 한 노역에 관한 이야기다. 작가는 청춘을 뺏겨 늙지 못하는 ‘청춘노인’의 모습을 그려냈다.

그런데 입술만은 좀 예외였다. 운은 그 입술에 교묘하게 연지를 칠한 줄 알았다. 그것은 소녀 입처럼 작은 것이 분홍빛이었다. 유독 그 부분만은 화장품을 쓴 흔적이 없었다. 그 불그스레한 입술로 여인은 자주 담배를 피워댔다. 방금 껐는가 하면 금세 또 그 꽁초를 물고 있는 것이었다.
셋방살이
영감님은 별 말도 없이 조용히 면벽하고 있는 것을 보면 성질이 무던한 듯하기도 한데 드물게 와병중인 사람답지 않게 칼칼한 음성으로 입을 여는 것이었다.
“이 뱀 같은 계집아! 사람이 이렇게 죽어가는데 편하게는 못 해줄망정 그렇게 뽀꼼뽀꼼 담배 연기를 피워대서 즐거울 게 뭐가 있니, 응?”
그러면 여인은 슬픔이 사라지지 않은 목소리로 타령하듯 대꾸하는 것이었다.
“애구~ 우리 영감…… 죽기는 왜 죽노. 머리털이 파뿌리 되도록 같이 살자던 그 가약을 잊지 않으면 일어나겠지. 암, 일어나고 말고. 내일이나 모레면 일어날 테니 걱정마시우…….”
그러면 영감은 끙 하고 신음을 흘리고는 두 번 다시 입을 열지 않았다.
여인이 사는 아랫방의 정돈 상태는 운을 감탄케 하기에 족했다. 하지만 그 감탄도 어쩌면 일종의 선망에 지나지 않을지도 몰랐다.
작고 약냄새가 진동하는 그 방에 실제로 오래도록 살아 본다면 그런 느낌도 변할 수 있을 터였다. 운은 여인이 하루에 적어도 세 번은 걸레질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운이 식사 때 들여다보면 그랬다. 그러므로 실제로 걸레질은 그 이상이 될 수 있음은 충분히 예상되었다. 덕분에 영감의 병석이 차지한 반을 제외한 방바닥은 마치 정갈한 소녀가 가지고 논 가을 감의 표면처럼 빛을 냈다. 벽의 한 면에 자그마한 구식 화장대와 고물 라디오가 놓여 있고 구석 쪽에 천으로 된 간이옷장이 단정히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여기에 비해 그 옆방은 아주 대조적이었다. 시장에서 옷장사를 하는 어떤 아줌마가 초등학생인 아들과 함께 사는데, 물론 바쁘기도 해서 그렇겠지만 마치 마구간처럼 어질러놓고 살았다. 그래도 제법 흑백 텔레비에 선풍기까지 있었다. 마호가니 옷장이 있는데도 이것저것 울긋불긋한 옷가지를 사방 벽에다 잔뜩 걸어놓고 방바닥에까지 어질러놓고 있는 것을 보면 사람은 성격 나름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그렇게 좁은 데서 부엌까지 공동 사용해야 하고 보면 성격이 딴판인 늙고 젊은 두 여자 사이에 알력이 안 생길 수도 없었다. 그러나 상대방 면전에서는 노부인이 항상 고분고분했다. 옷장수 여자의 뚝배기를 깨는 듯한 소리 아래서 노부인의 가느다란 목소리는 처연하게 들리기까지 했다. 그러나 뚝배기 아줌마가 나가 버리고 나면, 돌변해서 고로롱거리는 영감이나 운을 상대로 혹은 독백으로 울화를 터뜨리곤 하는 것이었다.
“흥, 제년은 뭐 셋방살이 신세가 아닌감. 걸레 같은 년! 뭐 묻은 개가 뭐 묻은 개 나무란다더니, 할머니 부엌 좀 깨끗이 사용하자구요? 흥, 제년은 뭐 빛깔나는 이팔청춘인가, 꼭 부엉이 상판을 해 가지고. 그러니 고따위로 사내가 객지를 떠돌지.”
집안에서 뚝배기 아줌마에게만 그러는 것이 아니었다. 동네에서도 애고 어른이고, 남자고 여자고, 강아지고 쥐새끼고 간에 그곳에 사는 것 중에서 자기 기분에 거슬리는 것에 대해서는 마치 꾀꼬리가 두더지를 볼 때처럼 눈살을 잔뜩 찌푸리곤 들으란 듯이 말했다. 때로 어디서 술이라도 한잔 얻어먹은 날엔 더했다.
“이 여편네야, 나물을 그렇게 슬렁슬렁 씻어먹는 법이 어딨노. 하나씩 정성스레 다듬어야지. 원 저것, 벌레새끼가 굼실굼실 기어다니는구먼!”
뚝배기 아줌마와 다투면…
불쌍 가련 여성 신세한탄
그것은 동네 입구에 있는 공동 우물가에 쪼그려앉아 한 소리였다. 밤늦게 술먹고 싸움하는 자들에게도 한소리쳤다.
“저런 소갈머리를 못 버리고 있으니 이런 두더지 굴속 같은 데서 박쥐새끼처럼 찍찍거리기나 하고 살아가지. 남 탓할 것도 없다구. 정작 정승을 시켜줘도 못할 녀석들이…….”
그런데 특이한 것은 그런 핀잔이나 비판을 받은 사람들이 맞대거리로 싸우는 것이 아니라 그냥 듣고 넘겨 버린다는 사실이었다. 언젠가 스피츠 한 마리가 그녀를 좀 우습게 알았는지 왈왈 짖다 꼬리가 홀랑 타 버린 일도 있었다. 그러나 자기 마음에 거슬리는 몇 가지 일을 제외하곤 그 여인은 어디까지나 그곳의 어려움을 잘 참고 살아가는 한 주민일 따름이었다.
그런 어느 날, 운이 그 골방에 산 지 보름쯤 되는 날 해그름녘이었다. 가까운 만화방에 들렀다가 골목을 걸어가는데 실비식당 좌판에 여인이 소주병과 고추졸임을 앞에 놓고 혼자 우두머니 앉아 있었다.
“웬일이세요?”
대답 대신 눈물이 글썽거리는 눈으로 처량한 미소를 짓곤 술잔을 들어 쭉 들이켠 뒤 긴 한숨을 내쉬었다.
“이봐라, 운아, 니 우리 양아들 할끼제? 그라믄 여기 앉아 이 불쌍 가련한 년의 신세 타령 좀 들어보거라. 씁쓸한 술 한잔은 따라줘야 해. 자, 여기 한잔 가득 채우거라잉.”
운이 엉겁결에 의자에 걸터앉아 술병을 들고 보니 이미 거의 비어 있었다. 그래서 여인의 기분을 절제케 하려는 듯 좀 덤덤한 어조로 권했다.
“이것 한잔만 드시고 집으로 가시죠.”
그러자 그녀는 크고 처량스런 눈을 가늘게 만들더니 순간적으로 본래보다 더욱 크게 떴다.
“그럴까?…… 흠…… 그러나 우리 늙은 애…… 그, 그놈의 골골거리는 영감탱이가 보기 싫어 못 가겠구나. 내가 자기를 얼마나 뒷갈망했는데 그런 몹쓸 소리를…… 아, 나두 내 몸으로 이쁜 아기를 낳을 수 있었다면 좋았으련만…… 아이구, 서럽고 원통해라…….”
여인은 소주를 쭉 들이키더니 탁자 가장자리에 이마를 괴고 어린애처럼 훌쩍훌쩍 울어댔다. 그러더니 한순간 울음 사이사이로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다.
‘울 밑에 선 봉선화야, 네 모습이 처량쿠나…….’
감상의 파도
운은 코를 훌쩍거리며 짐짓 감탄해보였다. 그러자 여인은 자기가 예전엔 인기있는 가수였노라고 정색하며 말했다. 운이 궁금해하자, 그녀는 고개를 들어 허공을 쳐다보며 그 물기 어린 눈을 반짝거리게 하고, 꽃잎 같은 분홍색 입술로는 보일 듯 말 듯한 미소를 짓는 것이었다. 그러더니 갑자기 심한 감상(感傷)의 파도가 가슴을 치는 양 얼굴을 찡그리고는 주머니를 뒤져 꽁초를 꺼내 입에 물었다.
<다음 호에 계속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