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요시사 취재2팀] 김준혁 기자 = 내년부터 일회용인 1차 전지 등의 폐전지 배출 방법이 보다 용이해질 전망이다. 기존 아파트나 행정복지센터 외에도 지하철역이나 대형 마트서도 통합 수거함이 설치될 예정이기 때문이다.
현행 1차 전지류는 한국배터리순환자원협회와 지자체가 운영하는 건전지 수거함을 통해 배출 후 비정기적으로 회수되고 있다. 충전 후 재사용이 가능한 2차 전지의 경우, E-순환거버넌스가 자체 운영하는 무상 방문 수거, 전자제품 이동식 수거함 등을 통해 상시 회수되는 형식으로 각각 별도 운영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환경부가 오는 21일, 서울 LW컨벤션서 한국환경공단, 한국배터리순환자원협회, E-순환거버넌스와 함께 ‘전지류 통합 회수 체계 구축 업무 협약’을 체결하기로 했다.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E-순환거버넌스와 한국배터리순환자원협회가 통합 회수 체계·전자제품 상시 회수 체계를 구축하게 되면 다양한 종류의 폐전지를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회수할 수 있게 된다. 환경부와 한국환경공단은 ‘전지류 통합 회수 추진위원회’를 운영하고 관련 제도 개선 및 행정적 지원을 총괄할 예정이다.
또 참여 기관들은 유동인구가 많은 지하철역, 대형마트, 다중이용시설 등을 중심으로 내년까지 1·2차 전지류를 일괄 배출할 수 있는 통합 수거함 1000여개를 추가로 설치해 전지류의 배출 편의성도 높일 계획이다.
이날 업무협약에 따라 앞으로는 기존 아파트 등 공동주택·공공시설 등에 설치된 건전지 수거함에 1·2차 전지 구분 없이 버릴 수 있게 됐다. 이외에도 냉장고 등 전자제품을 수거함에 버리거나, 무상 방문 수거 요청 시 전지류를 함께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두 전지가 외형적으로 구분이 되지 않아 그동안 주민들이 분리배출하는 것이 어려웠다. 특히 회수 주기가 긴 1차 전지류는 수거함이 장기간 방치되면 오염 물질 누액, 화재 등 안전사고 우려도 있었다.
이날 김고응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이번 협약을 계기로 국민 누구나 전지 종류를 구분하지 않고 쉽게 배출할 수 있는 회수 체계를 현장에 정착시켜,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전지류 자원순환 체계를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협약은 지난 14일 환경부서 발표한 ‘배터리 순환이용 활성화 방안’의 일환으로 이뤄졌으며, 통합 회수 체계 도입을 통해 수거 지연으로 인한 화재 등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출 편의성과 회수 효율이 동시에 높아져 전지류의 재활용률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kj4579@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