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서울 종로구 소재 갤러리 스페이스 소에서 작가 방소윤의 개인전 ‘Polymorph the Night’를 준비했다. 상히읗서 개최한 첫 개인전 ‘Hello, World’ 이후 3년 만에 열리는 두 번째 개인전이다.
방소윤은 동시대 미술의 새로운 흐름을 보여주는 신진작가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스페이스 소에서 열리는 개인전 ‘Polymorph the Night’에서는 그동안 소개한 적 없던 색다른 개념과 방식으로 탄생한 작품을 공개해 또 다른 단계의 성장을 선보인다.
의지
이번 전시에서는 10여점의 회화와 최초로 선보이는 2점의 황동 조각 작품을 소개한다. 디지털 원주민으로서의 정체성을 지닌 작가가 AI 생성기를 동등한 인격체로 대하며 나누는 대화를 드라마틱한 회화로 풀어냈다.
‘폴리모프’는 주어진 하나의 형체서 벗어나 그 어떤 모습으로도 자유롭게 변하거나 변하도록 할 수 있는 전설의 마법이다. 방소윤은 AI 알고리즘과 작가의 두뇌가 서로 긴밀하게 엮어내는 이미지 생산 과정을 통해 무한히 변화하는 존재를 창조했다.
어둠 속에서도 형형하게 빛나는 미지의 존재가 과연 무엇인지, 관람객은 이번 전시에서 처음 공개되는 작품으로 만나볼 수 있다.
이국적인 동물 탈의 모습을 한 황동 조각 ‘Untitled’는 이번 전시를 전체적으로 관통하는 모티프다. 방소윤은 자신이 만든 가상인물에게 탈을 씌우고 이 모습을 AI 이미지 생성기 ‘클립드롭’이 재해석하는 것을 유심히 관찰해 작업의 실마리를 찾아냈다.
회화 10여점·조각 2점
첫 개인전 이후 3년 만
완벽하게만 느껴지는 디지털 데이터 기반의 사고는 탈을 쓴 얼굴서 탈과 얼굴을 분리해 받아들이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빅데이터로 이해할 수 없는 인간의 얼굴은 작품 ‘Another me broken into scales’와 같은 전혀 새로운 존재로 재해석된다. 탈과 얼굴의 경계가 불분명해지고 탈의 표면을 이루는 요소는 피부와 눈동자, 배경으로 이식됐다.
재해석의 횟수가 늘어날수록 디지털 사고는 지금껏 본 적 없는 이질적인 결과물을 제시한다. 복수의 재해석으로 생성된 2세대 이미지의 특징은 대형 회화 작품 ‘Have you been seeing me as I have been seeing you?’에 명징하게 드러난다. 제자리에 있어야 할 텍스처는 완전히 길을 잃고 대상의 경계도 모호해졌다.
방소윤은 이미지를 통해 AI 이미지 생성기와 서로 교류하고 디지털 사고의 재해석이 드러낸 빈틈과 오류를 동물적 사고의 재해석으로 보완하고 승화시키는 독보적인 방법론을 구축해냈다.
매끈하고 빛나는 이미지를 회화로 옮기기 위해 에어브러시 페인팅 방식을 활용했다. 아주 미세한 아크릴릭 입자를 섬세하게 분사해 고화질 디지털 텍스처를 물질적으로 구현했다. 나아가 스트로크의 개념이 없는 에어브러시의 방식으로 작업을 하면서도 순간의 손동작을 달리해 독특하고 몽환적인 제스처를 만들어냈다.
이 같은 표현은 작품 ‘The portal in obscurity’와 ‘Multiple tissue’ 등 작품서 극대화됐다.
존재감
스페이스 소 관계자는 “방소윤은 이번 개인전서 자신만의 미술 세계를 개척해 나가는 젊은 회화 작가의 과감한 시도를 통해 예술적 성장과 행보에 대한 의지, 뚜렷한 존재감을 보여줄 예정”이라고 밝혔다. 전시는 오는 30일까지.
[방소윤은?]
▲학력
홍익대학교 회화 학사 졸업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조형예술과 석사 수료
▲개인전 및 단체전
‘Polymorph the Night’ 스페이스 소(2024)
‘Hello, World!’ 상히읗(2021)
‘푸가의 즐거움’ 을지로OF(2024)
‘Digitally Minded’ 상히읗(2023)
‘Hacker Space’ TINC(2023)
‘Humanism Reimagined: Embracing change’ WWNN(2023)
‘Super Summer’ Moosey NORWICH(2023)
‘나는 누가 울면 따라 울어요’ 스페이스 소(2023)
‘생동하는 틈’ 원앤제이 갤러리(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