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가 자기들만의 장난은 아니어야지.” 김영권의 <선감도>를 꿰뚫는 말이다. 박정희 군사정권 시절 청춘을 빼앗긴 한 노인을 다뤘다. 군사정권에서 사회의 독초와 잡초를 뽑아낸다는 명분으로 강제로 한 노역에 관한 이야기다. 작가는 청춘을 뺏겨 늙지 못하는 ‘청춘노인’의 모습을 그려냈다.
잔칫집 앞에는 벌써 열 명도 넘는 원생들이 서성대고 있었다. 안에서 진행 중인 예식이 끝나기만을 기다리고 있는 중이었다. 모두가 자기 반 고참들의 특명을 띠고 모여들었을 것이었다.
섬에서 한 집의 경사는 부락 전체의 경사인 모양이었다. 바다에서 굴이나 바지락을 캐고 손바닥만한 농사로 생계를 꾸려가던 부락민들이 모처럼 틈을 내어 삼삼오오 모여들었다. 모두가 밝은 표정들이었다.
고참의 특명
안에서 상을 치우는 북적임이 들려왔다. 모든 절차가 끝난 모양이었다. 염치불구하고 슬금슬금 몰려 들어가는 원생들의 뒤를 따라 용운도 안으로 들어갔다.
부엌 쪽에서 잔칫집 특유의 구수한 냄새가 물씬 날아들었다. 뱃속에서 꼬르륵 처절한 신음소리가 새어나왔다.
떡이며 과일이며 교자상 위에 풍성하게 차려진 기름진 음식들로 눈이 어지러울 지경이었지만, 우선은 그런 데까지 신경 쓸 처지가 아니었다. 여기 온 목적을 해결하는 것부터가 급선무였기 때문이었다.
용운은 슬쩍 잔치마당을 벗어나와 좁은 골목길로 뛰어갔다. 탱자나무 울타리 옆을 스쳐 대밭을 지나 돌아들자 허름한 집 한 채가 나타났다. 참새가 짹짹거리는 소리뿐 집 안은 적막했다.
퇴락한 초가집 안엔 아무도 없는 것 같았다. 초가집은 금방이라도 무너져 내릴 것만 같았다.
지붕은 삭을 대로 삭아 노인네의 머리카락처럼 잿빛이었고 기둥이나 마룻장도 거무튀튀하게 변색한 채 기울어지고 있었다.
그나마 마당가의 화단에 심은 채송화나 봉숭아 꽃이 피어 황폐한 느낌을 좀 덜어주었으나, 질척한 마당 구석으로 지렁이나 두꺼비가 슬금슬금 기어다녀 기분이 나빴다.
“앗!”
살구꽃나무 가지 위에 또아리를 틀고 있는 구렁이를 본 용운이 짧은 비명을 질렀다. 구렁이는 도망가지도 않고 붉은 혀를 날름거렸다. 용운이 돌아서 나오려 할 순간 창호지를 바른 방문이 살짝 열렸다.
“누구세요?”
맑으면서도 좀 쉰 듯한 목소리가 들려왔다. 용운은 주춤주춤 게걸음을 걸으며 그쪽으로 다가갔다. 만일의 경우에 도망치기 위해서였다.
“어떻게 여길 왔죠?”
말소리가 여운을 끌며 사라지는가 싶더니 낡고 어스레한 방에서 소복 차림의 한 여자가 나왔다.
“저…….”
용운은 말을 못하고 멍하니 서 있었다. 칠흑같이 검은 머리가 그녀의 핼쑥한 얼굴을 반쯤 가렸으나 그 크고 이상야릇한 빛을 띤 보석 같은 검은 눈을 용운은 볼 수가 있었다.
‘혹시 방파제 바위 위에 나왔다던 귀신이 저 여자가 아닐까?’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여자가 웃자 백곰이 말했듯이 보조개와 덧니가 살짝 드러났다. 좁은 툇마루 위에서 살그머니 걷는 두세 발짝 걸음이었지만, 용운은 그녀가 절름거리고 있음을 알았다.
부락민 전체의 경사
엄마 품에 안긴 아이
마루턱에 걸터앉을 때 살짝 드러난 한쪽 다리가 핏기 하나 없이 희디 희고 어린애 팔목처럼 가늘었다. 아마 소아마비 때문인 것 같았다.
“이쪽으로 와서 좀 앉으렴. 그래, 무슨 일이니?”
용운은 댓돌이 놓인 축담으로 쭈뼛거리며 올라가 주머니에서 옥반지를 꺼내 내밀었다. 여자의 눈에 호기심의 빛이 조금 반짝였다.
“이게 뭐지? 왜 내게 주는 거야?”
“백곰 반장님이 보냈어요. 그러면 아신다던데요.”
여자는 희미하게 미소를 떠올리더니 말했다.
“그 아저씨, 정말 웃기는 사람이야. 자꾸 이러면 내가 받을 거라 생각하나 봐. 난 그런 것 필요없으니 가져가서 돌려 줘. 그리고 마음 수양이나 잘 해서 어서 육지로 돌아가길 칠성님 전에 빈다고 전해줘.”
“안 돼요. 도로 가져갔다간 반장님한테 맞아죽는단 말예요. 그러니 그냥 받아 주세요, 네? 누나 제발…….”
용운은 저도 모르게 울상을 지었다. 반지를 다시 가져가면 백곰은 분명 여자에게 거절당한 울화통까지 더해서 욕설을 퍼붓고 폭행을 가할 것이었다.
여자는 긴 속눈썹이 그늘을 드리운 큰 눈으로 용운을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더니 말 없이 반지를 받았다.
그러고는 용운의 팔을 끌어당겨 까까머리를 쓰다듬더니 품속에다 살포시 껴안아 주었다. 그녀의 눈망울에 저절로 눈물이 어리고 있었다.
용운은 마치 엄마 품에 안긴 아이처럼 가만히 있었다. 하지만 계속 그러고 있을 수는 없었다. 자신은 어디까지나 수용소의 원생이었다. 만일 그런 꼴이 발각당한다면 뼈도 못 추리게 매타작을 당할 터였다.
용운은 몸을 일으켜 여자에게 손을 흔들고는 싸리문 밖으로 뛰어나갔다. 한 순간 몸을 돌린 그가 모깃소리처럼 기어들어가는 소리로 말했다.
“누나, 미안해요. 내가 자꾸 떼를 써서…… 싫은 걸 억지로 받게 해서요…….”
검은 머리카락에 노란 나비 같은 리본을 단 여자는 창백한 얼굴에 미소를 지으며 살짝 손을 흔들었다.
용운이 다시 잔칫집으로 가 보니 동료들은 볼일을 다 봤는지 슬슬 떠나려는 참이었다. 예전부터 거지들은 대개 낚싯줄에 낚시를 매달아 가지고 다녔다.
그걸 슬쩍 댓돌 위에 놓인 신발 코에 꿰어 끌고 나오는 것이었다. 그러면 신발이 저절로 움직이는 것을 본 상갓집 사람들은 망자의 혼이 왔다 가는 줄 알고 눈이 휘둥그레지기도 했다.
창백한 미소
그런데 문제가 일어났다. 짱돌이란 아이가 대문을 나서면서 급히 찹쌀떡을 두어 개 꺼내 입에 집어넣었던 것이다.
일단 실속부터 차리고 보자는 생각이었겠지만, 같은 반 부엉이가 그것을 놓치지 않고 본 것이다.
그 집을 나와 한적한 고갯마루에 이르렀을 때 부엉이가 짱돌을 불러 세웠다.
<다음 호에 계속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