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서울 종로구 소재 두산갤러리서 정희민 작가의 개인전 ‘수신자들(Receivers)’을 준비했다. 정희민은 지난해 제13회 두산연강예술상을 수상한 바 있다. 그는 오늘날 우리를 둘러싼 디지털 환경으로 변화된 이미지의 존재 방식과 지각 방식을 탐색해왔다.
두산연강재단은 연강 박두병 두산 초대회장의 유지를 기려 두산연강예술상을 운영하고 있다. 2010년에 제정된 이 상은 심사위원 3명의 추천과 심사를 통해 공연·미술 분야서 성장 가능성이 높은 만 40세 이하 젊은 예술가를 선정해 지원한다. 지난해 제13회 수상자는 정희민 작가다.
합성
정희민은 회화를 축으로 한 다양한 실험을 통해 그 속에서 살아가는 우리의 신체적․정서적 이슈에 다가간다. 이번 전시 ‘수신자들(Receiver)’서 회화의 평면성을 벗어난 이미지를, 얇고 연약하지만 모든 것을 감각하고 껴안을 수 있는 껍질로 환유하고 원초적인 상태의 생식과 창조의 가능태를 호출했다.
쉽게 짓이겨지고 바스러지는 연약한 잎과 촉수를 가진 꽃은 모든 자극을 수용해내는 주체가 되기 위해 자신의 여리고 민감한 부분을 지켜내며 오랜 시간을 견뎌낸 존재다. 정희민은 이런 꽃잎의 힘을 모티브로 주변의 모든 신호를 예민하게 수신해서 새롭게 추출하는 존재, 또는 그런 끊임없는 수행의 상태로 다가가기 위한 시도로 이번 전시를 제시했다.
정희민은 2017년 경부터 ‘아크릴 미디움’이라는 재료를 수사적 몸으로 상정하고 이것의 투명하고 유연한 물성을 활용해 작업을 확장해왔다. 아크릴 미디움은 본래 안료에 부피감을 부여하는 재료로 물감의 양을 불리거나 다른 물질의 질감을 모방하기 위해 고안된 대체제다.
아크릴 미디움을 재료로
끊임없는 수행의 상태로
정희민은 이미지와 대상을 투과시키고 동시에 받아들이는 이 물질의 특성을 빌려 가상과 현실을 오가는 추상적 신체가 정보와 경험을 감각하고 체화하는 양상을 시각화했다. 안료와 분리된 투명한 몸 위에 그가 웹에서 채집한 다양한 자연물의 이미지가 아크릴 분사, 잉크젯 전사, UV 프린트 등 인쇄의 기법으로 덧입혀졌다.
이제 막 만개하는 꽃잎 하나하나가 겹쳐지고 뒤얽히며 가능성을 품은 무언가가 된다. 이는 마치 다른 자연의 형태를 복제, 모방하거나 주변 환경 또는 배경을 흡수하면서 자신의 존재감을 지우고 반대로 드러내는 ‘수신자들’의 전술을 닮은 것이다.
평면성을 탈출한 이미지는 또 다른 몸을 부여받아 공간 안에 놓인다. 조각은 웹을 통해 여러 사용자에게 제공받은 자연물의 포토 스캔 모델을 활용했다. 나무의 껍질, 갑각류의 꼬리, 광물의 표면에 새겨진 알 수 없는 생명의 흔적과 같이 역사를 가늠할 수 없고 존재가 미처 알려지지 않은 혹은 식별할 수 없는 형태와 물질, 질감의 불완전한 합성이자 출동을 표현했다.
정희민은 실제로 본 적 없는 원본의 표피, 질감을 상상하고 손으로 더듬어 떠낸다. 그리고 이 행위를 통해 작업 과정서 닿지 않는 곳, 우리가 파악할 수 있는 주변에 속하지 않는 형태들, 알 수 없는 껍질의 다양한 시공간을 혼합하고 신체적 감각을 증폭시킨다.
충돌
두산갤러리 관계자는 “숲에서 한 걸음씩 빠져 나올수록 개별의 자연은 흐릿해지고 뒤엉킨다. 작은 꽃을 깊숙이 들여다볼 때 그것의 뚜렷한 대상성 또한 희미해지고 하나의 양태로 다가온다”며 “수신자들 전시는 원거리와 근접 시선이 혼재된 풍경으로 규명할 수 없는 생성과 창조, 전이가 이행되는 공간이자 상태 그 자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정희민을 통해 합성된 실체는 하나의 명확한 대상이나 장면이 되기보다 밀려오는 모든 신호를 받아내 또 다른 감각으로 전환되고 확장하기 위해 팽팽한 근육을 펴고 끝없이 받아들이는 순간이 된다”고 덧붙였다. 전시는 다음 달 21일까지.
<jsjang@ilyosisa.co.kr>
[정희민은?]
▲학력
한국예술종합학교 조형예술과 전문사 평면조형 전공(2015)
홍익대학교 회화과(2012)
▲개인전
‘How Do We Get Lost in the Forest’ P21, 신도문화공간(2022)
‘Seoulites’ 뮤지엄헤드(2021)
‘If We Ever Meet Again’ 021 갤러리(2020)
‘On Vacation’ 인천아트플랫폼(2019)
‘An Angel Whispers’ P21(2019)
‘UTC-7:00 JUN 오후 세시의 테이블’ 금호미술관(2018)
‘어제의 파랑’ 프로젝트 스페이스 사루비아다방(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