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장길 산책 ⑤고양 원당목장

‘초록의 서정시’ 펼쳐지는 고양 원당목장

“풀잎은 풀잎대로 바람은 바람대로 / 초록의 서정시를 쓰는 오월”이다. 이해인 수녀의 시구에 담긴 초록의 서정시를 제대로 감상하기에 목장이 제격이다. 목장은 왠지 먼 자연 속에나 있을 것 같은데, 다행히 도심 가까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대표적인 곳으로 서울 근교의 원당목장(원당종마목장)을 꼽는다. 번화한 도심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곳에 말이 뛰노는 초원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신기하고 반갑다.

수도권 전철 3호선 원흥역을 기준으로 자동차로는 6분, 걸어서 35분 남짓한 거리에 원당목장이 있다. 원흥역을 지나 목장으로 가는 길, 주변 풍경의 변화가 인상적이다. 빌딩 숲을 거쳐 주택가가 나타나더니, 어느 순간 거짓말처럼 푸릇하고 시골스러운 길이 이어진다. 회색빛 세상에서 초록빛 세상으로 ‘순간 이동’하는 기분이다. 나무가 울창한 싱그러운 길을 달려 목장에 도착한다.

순간 이동

경기도 고양에 자리한 원당목장은 세계문화유산인 서삼릉(사적)과 입구가 나란하다. 목장에 들어서면 가로수가 늘어선 산책로가 먼저 눈에 띈다. 이 길에서 앞만 보고 걷기는 금지다. 열심히 좌우를 두리번거리며 걸어가자. 산책로 오른쪽에 하얀 목책 너머 초원이 펼쳐지고, 왼쪽에는 소나무가 우거진 서삼릉이 내다보인다. 왕과 왕비가 잠든 능과 말이 노니는 목장이 낮은 울타리 하나를 사이에 두고 공존한다. 오묘한 조화다.

초원과 능을 양쪽에 끼고 조금 걸어가면 경마용 출발대가 보인다. 출발대란 공정한 경주를 위해 말 여러 마리를 일렬로 정렬한 뒤 동시에 출발시키기 위한 장치다. 이곳에 전시된 출발대는 1998년 포항공과대학교에 연구 용역을 의뢰해서 제작한 최초의 국산 모델이다. 서울경마공원에서 훈련용으로 쓰다가 2010년 여기로 옮겨 기수 후보생 교육에 사용했다고 한다.

이 출발대를 통해 원당목장의 성격을 엿볼 수 있다. 1984년 한국마사회가 경주마를 육성하고 사육할 목적으로 조성한 원당목장은 현재 경마 관계자 교육 공간으로 활용한다. 목장을 일반에 개방한 때는 1997년. 이국적인 경치 덕분에 입소문이 나면서 많은 사람이 찾아들었고, 드라마 〈시크릿 가든〉 〈커피프린스 1호점〉 등에도 등장했다.


원당목장을 가장 잘 즐기는 방법은 산책과 피크닉을 하며 여유롭게 머무는 것. 방문객을 위한 피크닉존, 포토존, 벤치 등이 마련됐다. 업무 시설이라 개방 구역이 제한되지만, 목장을 즐기기에 불편함이 없다. 음식물과 돗자리 반입이 허용되며, 일반인 출입 구역에서는 어디든 피크닉이 가능하다. 파라솔이 딸린 테이블 자리는 모두가 노리는 명당이다. 목장에는 음료 자동판매기 외 식음 시설이 없으므로 음식은 각자 준비해야 한다. 취사나 음주, 텐트 설치는 불가하다.

원당목장을 더 잘 즐기기 위해
피크닉존, 포토존 등 마련

사진 찍는 재미도 빼놓을 수 없다. 초록 물감으로 색칠한 듯한 초원과 구릉 위로 하얀 목책이 유려한 곡선을 그리며 이어진다. 그리고 점점이 흩어져 풀을 뜯는 말이 포인트를 살린다. 알록달록한 벤치와 파라솔은 사진에 감성을 더한다. 눈에만 담기 아쉬워 자꾸 셔터를 누르게 된다. 목장 곳곳을 사진에 담고 포토존에서 인증 사진도 남긴다. 아쉽게도 말과 함께 인증 사진을 찍기는 쉽지 않다. 말이 대부분 목책 너머 멀찌감치 머물기 때문이다. 귀여운 말 조형물과 포즈를 취하며 아쉬움을 달래자. 원당목장 이용 시간은 수~일요일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입장료는 없다.

목장에서 충분히 휴식한 뒤 조선 시대 세 능(희릉·효릉·예릉)이 있는 서삼릉 산책으로 마무리하면 완벽하다. 원당목장과 서삼릉은 이웃해 함께 돌아보기에 무리가 없다. 솔숲 산책로를 거닐며 희릉과 예릉을 방문하자. 희릉은 중종의 계비 장경왕후, 예릉은 철종과 철인왕후의 능이다. 인종과 인성왕후가 묻힌 효릉은 비공개 구역이라 관람이 제한된다. 서삼릉 관람 시간은 오전 9시~오후 6시(월요일 휴무), 입장료는 어른(만 25~64세) 1000원이다.

고양에는 서오릉(사적)도 자리한다. 서쪽에 있는 다섯 능(창릉·경릉·명릉·익릉·홍릉)을 일컫는데, 능 외에 원과 묘도 만나볼 수 있다. 명종의 원자 순회세자와 공회빈이 묻힌 순창원, 영조의 후궁이자 추존 장조(사도세자)의 생모 영빈 이씨가 잠든 수경원, 숙종의 후궁 장희빈의 대빈묘다. 능 사이사이를 걷는 길, 나무가 우거져 상쾌하다. 입구에 있는 서오릉역사문화관부터 방문하면 능 관람에 큰 도움이 된다.

아이와 함께 나선 길이라면 고양가와지볍씨박물관을 추천한다. 가와지볍씨라는 말이 생소한데, 1991년 일산신도시 개발 당시 대화동 일대 가와지마을에서 발견된 볍씨를 가리킨다. 약 5000년 전 한반도에서 처음 재배된 볍씨로 측정되어 역사적으로 가치가 크다. 박물관에서 가와지볍씨는 물론, 가와지마을 출토 유적과 농경문화 관련 전시품도 살펴볼 수 있다. 아이들 눈높이에 맞춘 체험·교육관과 아담한 야외 전시장을 완비해 흥미를 돋운다.

배다골테마파크


배다골테마파크는 서울 근교 가족 나들이 장소로 인기다. 알파카농장과 비단잉어관, 고양민속박물관, 무박캠핑장, 난타교육관 등 다양한 시설을 갖췄다. 비누, 달고나, 솜사탕, 아이스크림, 피자 만들기 같은 체험 프로그램도 진행한다. 여기에 계절별로 딸기농장, 수영장, 눈썰매장을 운영해 색다른 즐거움을 선사한다. 놀 거리가 풍성해 아이들과 온종일 머물러도 지루하지 않다.

 

<여행 정보>
당일 여행코스
원당목장→고양 서삼릉→고양가와지볍씨박물관→고양 서오릉→배다골테마파크

1박2일 여행 코스
-첫째 날: 원당목장→고양 서삼릉→고양가와지볍씨박물관→고양 서오릉→배다골테마파크
-둘째 날: 아쿠아플라넷 일산→현대모터스튜디오 고양→고양생태공원

관련 웹 사이트 주소
-원당목장 https://park.kra.co.kr/parkuserseoul/wondangInfo.do
-서삼릉·서오릉(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조선왕릉) http://royal tombs.cha.go.kr
-고양가와지볍씨박물관 www.goyang.go.kr/agr/agr02/agr02_8.jsp
-배다골테마파크 http://baedagol.com

문의 전화
-원당목장 02)509-2672
-고양 서삼릉 031)962-6009
-고양 서오릉 02)359-0090
-고양가와지볍씨박물관 031)968-3399
-배다골테마파크 031)970-6330

대중교통
[전철-버스] 수도권 전철 3호선 원흥역 7번 출구 정류장에서 43번 마을버스 이용, 서삼릉·종마목장입구 정류장 하차, 원당목장까지 도보 약 11분. *문의: 서울교통공사 1577-1234, www.seoul metro.co.kr 고양시버스정보 시스템 1577-0961, https://bis.goya ng.go.kr 

자가운전
자하문로→진흥로→서오릉로→권율대로→서삼릉길→원당목장

숙박 정보
-어반이스트호텔: 덕양구 고양대로, 031)966-8202, www.urban-est.co.kr
-호텔더윈: 덕양구 원흥3로, 031)966-0033, http://hotelthewynn.kr
-호텔라엘르 고양일산본점: 덕양구 고양시청로, 031)966-7761, www.instagram.com/la_ell_re_hotel

식당 정보
-서삼릉보리밥(보리밥): 덕양구 서삼릉길, 031)963-5694
-원당쇠고기국밥(쇠고기국밥): 덕양구 서오릉로, 031)965-9001 https://wondang.modoo.at
-일산교자(닭칼국수·바지락칼국수): 덕양구 원당로, 031)968-7388, https://ilsannoodle.modoo.at

주변 볼거리
행주산성역사공원, 고양어린이박물관, 일산호수공원 등

 

<webmaster@ilyosisa.co.kr>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대선후보 교체? 김문수<br> “법적·정치적 책임 묻겠다”

대선후보 교체? 김문수
“법적·정치적 책임 묻겠다”

[일요시사 취재2팀] 김준혁 기자 = 국민의힘 지도부가 대선후보 교체를 강행한 데 대해 10일, 김문수 후보가 “불법적이고 부당한 후보 교체에 대한 법적·정치적 조치에 즉시 착수하겠다”며 강력히 대응을 예고했다. 김 후보는 이날 여의도 선거캠프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야밤에 정치 쿠데타가 벌어졌다. 대한민국 헌정사는 물론이고 전 세계 역사에도 없는 반민주적 일이 벌어졌다”며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는 국민과 당원의 선택을 받아 정당하게 선출된 저 김문수의 대통령 후보 자격을 불법적으로 박탈했다”고 밝혔다. 이어 “당헌에 의하면 대통령후보는 전당대회 또는 그 수임 기구인 전국위원회서 선출하게 돼있는데 전국위원회가 개최되기도 전에 아무런 권한이 없는 비상대책위원회는 후보 교체를 결정해 버렸다. 이는 명백한 당헌 위반”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당 지도부는 제가 후보로 선출되기 전부터 줄곧 한덕수 예비후보를 정해 놓고 저를 압박했다”며 “어젯밤 우리당의 민주주의는 죽었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저는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투쟁을 계속 할 것”이라며 “우리가 피와 땀으로 지켜 온 자유민주주의의를 반드시 지키겠다. 국민 여러분, 저 김문수와 함께해달라”고 호소했다. 실제로 김 전 후보 측은 이날 중으로 서울남부지방법원에 대통령 후보자 취소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낼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김 후보가 시간 끌며 단일화를 무산시켰다”며 “당원들의 신의를 헌신짝같이 내팽개쳤다”고 주장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 기자회견을 통해 “이재명 독재를 저지할 수 있는 경쟁력 있는 후보로 단일화해서 기호 2번 국민의힘 후보로 세워야 한다는 게 당원들의 명령이었다”며 “우리 당 지도부는 기호 2번 후보 단일화를 이루기 위해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했다”고 반박했다. “김 후보께 단일화 약속을 지켜주실 것을 지속적으로 간곡히 요청드렸고 저를 밟고서라도 단일화를 이뤄주십사 부탁했다”는 권 비대위원장은 “하지만 결국 합의에 의한 단일화는 실패하고 말았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너무나 안타깝고 가슴이 아프다. 단일화는 누구 한 사람, 특정 정파를 위한 정치적 선택이 아니다. 누구를 위해 미리 정해져 있던 것도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국민의힘 비대위는 읍참마속의 심정으로 뼈아픈 결단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며 “비대위는 모아진 총의와 당헌·당규에 따라 김 후보 자격을 취소하고 새롭게 후보를 세우기로 결정했다”고 부연했다. 앞서 당 지도부는 이날 새벽 비대위와 경선 선거관리위원회를 열고 한 예비후보를 대선후보로 재선출하는 절차에 착수했다. 이날 오후 9시까지 진행되는 당원 투표를 거쳐 오는 11일 전국위원회 의결을 마치면 대선후보 교체가 이뤄질 예정이다. 일각에선 번갯불에 콩 구워 먹듯이 이뤄졌던 이번 국민의힘 지도부의 대선후보 교체를 두고 절차적 정당성 등의 다양한 뒷말이 나오고 있다. 치열한 경선 과정을 통해 최종 후보로 선출돼있는 공당의 후보를 두고, 당 지도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무소속의 예비후보와 단일화를 시도하려는 것 자체가 상식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이 외에도 후보 접수도 이날 새벽 3시부터 4시까지 단 한 시간만 받았던 점, 한 후보가 32개에 달하는 서류를 꼭두새벽에 접수했다는 점 등은 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이양수 선관위원장은 이날 당 홈페이지를 통해 “당헌 74조 2항 및 대통령 후보자 선출 규정 제29조 등에 따라 한 후보가 당 대선후보로 등록했다”고 공고했다. 앞서 이 선관위원장은 김 후보의 선출을 취소한다는 공지와 후보자 등록 신청을 공고했다. 김 전 후보와 한 후보는 후보 단일화 문제로 극명한 입장 차이를 보여왔다. 지난 1차 회동에 이어 지난 7일, 서울 여의도 모처서 가졌던 2차 긴급 회동서도 단일화 방식 등 룰에 대해 논의를 시도했지만,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끝내 결렬됐다. 그러자 이날 권성동 원내대표는 “단일화 없이 승리는 없다”며 국회 원내대표실 앞에서 단식농성에 돌입했다. 권 원내대표는 “두 후보 간의 만남이 아무런 성과 없이 끝났다”며 “후보 등록이 11일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오늘(7일)은 선거 과정서 혼선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마지노선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선거가 불과 27일 남았다. 이제 남은 시간이 없다”며 “이재명 세력은 공직선거법상의 허위 사실 공표죄를 사실상 폐지하고 대법원장 탄핵까지 공언하면서 대한민국 헌정 질서의 마지막 숨통까지 끊어버리려고 한다. 반면 우리는 단일대오조차 꾸리지 못하고 있다”고 자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