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거래위원회 가맹사업거래 통계에 의하면 지난 24일 현재 브랜드 수가 1만1880개로 크게 증가했다. 이 중 외식업 비중이 과반을 넘는다. 선진국과 대비한 한국의 인구 및 경제 규모보다 훨씬 많은 브랜드가 난립하고 있다. 이 같은 양적 성장 속에 가장 큰 문제점은 가맹점의 수익성이 낮다는 점이다.
가맹점의 낮은 수익성은 폐점으로 이어질 수 있는 요소다. 가맹본부가 경영 노하우를 가맹점에 전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일명 ‘복제사업’으로 일컬어진다. 이를 고려한다면 가맹점이 낮은 수익성을 보일 시 프랜차이즈 비즈니스가 존재할 이유가 없다.
복제사업
유행하는 업종에 많은 가맹본부가 브랜드를 출시한 경우 가맹점의 낮은 수익성이 특히 심하게 나타난다. 프랜차이즈 시스템 간 차별화 없이 브랜드가 난립하면 과당경쟁을 하게 되고 유행이 지나가면 업종 전체가 와르르 무너지는 일이 반복된다.
이 같은 한국 프랜차이즈산업의 고질적인 병폐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프랜차이즈 브랜드 각각의 업종마다 가맹점의 수익성을 높일 수 있는 요인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성공은 가맹점 수익성이 필요 조건이고, 다수의 가맹점이 실패하는 프랜차이즈는 존재할 가치가 없기 때문이다.
외식 프랜차이즈 가맹점의 수익성을 높이는 꼭 필요한 전략에 대해 살펴본다.
가맹본부의 가맹점 창업자에 대한 사전 창업교육이 매우 중요하다. 외식업의 경우 무엇보다 업종 경쟁력이 있어야 점포 매출에 유리하다. 맛과 품질, 가격, 메뉴, 인테리어가 경쟁력을 가지도록 이론 및 실무교육을 보다 체계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점포의 수익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맛과 품질, 가격 적절성, 메뉴 다양성, 그리고 점포 분위기가 좋아야 한다. 시간이 갈수록 소비자들이 점점 더 까다로워지고 있어서 맛과 품질뿐 아니라 가격 만족도도 겸비해야 한다. 점포 분위기도 중요하다. 점포가 오래도록 잘되려면 점포 분위기가 좋아야 한다는 게 창업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또한, 창업교육은 점포의 입지를 고르는 안목을 키워준다. 사실 상권 및 입지 전문가가 아니고서 좋은 점포 입지를 고르기 쉽지 않다. 사전 창업교육을 통해서 점포 입지를 분석하는 방법을 터득할 수 있다. 또, 점포 입지는 한 번 정하면 쉽게 바꾸지도 못한다.
자영업은 입지가 중요하기 때문에 창업교육을 통해 상권과 입지를 보는 안목을 키워주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창업교육으로 가맹점포 혁신경영인 배달영업과 SNS 마케팅 활용 능력을 배가시켜야 한다. 최근에는 배달이 트렌드다. 이제 점포도 시시각각 변하는 트렌드에 맞게 혁신해야 생존할 수 있다는 생각이 창업교육을 통해서 고취될 수 있다. SNS 마케팅 역시 전단지나 상가 책자처럼 전통적인 점포 광고홍보 방법과는 달리 스마트폰 시대에 부상하는 광고 홍보 방법이다.
이러한 SNS마케팅을 과감하게 도입하도록 이론 및 실무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시해야 하는 것이다. 특히 SNS마케팅 활용은 점포가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 수익성을 올릴 수 있는 스마트한 경영전략이라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겠다.
차별화 없는 브랜드 과당경쟁
수익성 올리는 스마트 경영법
배달 영업을 주로 하는 업종의 경우 점포의 가시성이나 접근성을 따지기보다 잠재고객이 많은 적합성 높은 점포를 구하는 것이 유리하다. 코로나19 사태로 점포를 직접 방문하는 횟수가 줄어들다 보니 잠재고객 수요가 많은 점포가 수익성을 보는 데 유리하기 때문이다.
또한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통해서 사전에 정보를 탐색한 뒤 점포를 미리 정하고 방문하는 목적 고객이 증가하고 있다. 이는 점포의 가시성이나 접근성보다 잠재고객이 많은 적합성 높은 점포가 유리하다는 점을 뒷받침한다.
코로나19 이후 창업시장은 배달영업이 상수를 넘어서 대세로 자리 잡고 있다. 하지만 배달영업이 대세라고 해서 배달로 인한 점포 수익성이 올라가는 것은 아니다. 점점 증가하는 배달 대행 비용과 배달앱 광고비 및 수수료로 자영업자들에게 배달영업은 계륵 같은 존재로 여겨지고 있다.
배달 주문 증가로 불가피하게 배달영업을 확대하고 있으나 정작 순이익은 오르지 않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배달비용 증가와 함께 배달기사 부족으로 인한 배달 대란도 잦아들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향후 가맹본부와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는 자영업자들의 실질적 수익성이 개선되지 않으면서 배달이 증가하면 자영업 발전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지난해 미국의 몇몇 주정부의 정책처럼 배달료 및 광고료를 매출의 15%를 넘지 못하도록 한 점을 감안하여 우리나라도 향후 배달비용 증가를 차단하고 배달기사 수급 문제를 사전에 해결하는 방안 및 정책이 이뤄져야 한다.
국내 창업시장은 궁극적으로 과당경쟁 문제를 해결해야 전체적으로 평균적인 점포 수익성을 제고할 수 있다.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만 해도 일자리가 풍부해 직장에 다니기 싫으면 ‘그만두고 장사나 하지’란 말이 유행했었다. 일자리를 많이 만들어 창업시장으로의 진입을 줄일 수 있어야 자영업자 비율을 선진국 수준으로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한국 경제의 구조적 모순으로 단기간에 해결할 수 없는 난제다. 당분간은 생계형 창업자가 끊임없이 창업시장으로 진입할 수밖에 없는 경제 구조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영업 대책으로 정부의 사전 창업교육이 실질적이고 광범위하게 이뤄져야 한다.
특히 실무 및 현장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창업실태와 낮은 창업 성공률에 대한 인지를 하고, 창업현장에서 체험을 하게 되면 창업시장 진입을 꺼리는 입구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가맹점 창업교육 단계까지 가게 되면 때는 이미 늦다. 그 전에 사전 창업교육으로 창업 역량도 키우고 진입 후 과당경쟁으로 실패하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수 있어야 한다.
입구 전략
이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창업자금 지원이나 창업 실패 후 지원금을 주는 정책과 같은 임시방편적인 출구전략에 그쳐서는 안 된다.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창업교육 프로그램으로 과당경쟁을 막을 수 있는 입구전략을 심도 있게 강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