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김태일 기자 = 국내 최고 부자 순위가 최근 뒤바뀌었다. 미국 <블룸버그통신>은 카카오 창업자 김범수 의장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제치고 한국 최고 부자에 올랐다고 최근 보도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수십년간 대기업이 지배한 한국에서 자수성가한 정보기술(IT) 기업이 어떻게 최고 부자 지위에 오르는지 보여주는 사례다. 이는 기념비적 사건”이라고 평가했다.
카카오 창업자 김범수 의장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제치고 국내 재산 순위 1위에 올랐다. 지난 7월29일(현지시각) <블룸버그통신>은 김 의장이 순자산 134억달러(약 15조4000억원)로 이 부회장을 제치고 한국 최고 부자 자리에 등극했다고 보도했다. 이 부회장의 자산은 121억달러(약 13조9000억원)다.
기념비적 사건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김 의장의 재산은 카카오 주가가 급등하면서 올해에만 60억달러(약 6조9000억원) 증가했다. 카카오 주가는 올해 들어 91%p 상승했다.
카카오 측은 “김 의장 자산은 대부분이 주식인데 <블룸버그통신> 측에서 최근 자산규모에 대해 확인 요청을 해왔다”며 “담보 지분 등을 제외하고 자체 계산 기준에 따라 비교해 보도가 나온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매체는 자수성가한 IT 기업인이 수십년간 한국경제를 지배한 대기업 총수를 제쳤다며, 이는 기념비적 사건이라고 평가했다. 또 카카오 자회사들의 잇단 기업공개(IPO)에 대한 기대감이 카카오 주가에 반영된 것도 김 의장의 자산증식에 영향을 줬다고 분석했다.
카카오그룹은 2019년 말까지만 해도 시총 13조2388억원으로 그룹 시총 순위 13위에 머물렀다. 그러나 지난해 코로나19 사태 후 핵심 비대면 사업이 주목받으면서 큰 폭으로 늘었다. 2019년 말부터 지난 7월까지 1년 반 동안 카카오그룹의 시총 증가율은 약 459%, 증가액만 60조7006억원에 달한다.
코로나19의 영향도 있지만 게임은 물론 금융, 콘텐츠, 모빌리티 등 다양한 영역으로 계열사를 확장한 결과라는 분석이 힘을 얻는다. 특히 카카오그룹은 자회사들의 대규모 기업공개가 줄줄이 예정돼있어 증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앞으로 더욱 커질 전망이다.
카카오가 지분 31.8%를 보유한 카카오뱅크는 곧 상장을 앞두고 있으며, 희망범위 상단의 공모가를 책정받을 경우 2조6000억원을 조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이르면 오는 9월 상장을 목표로 카카오페이 IPO 작업이 진행 중이며, 카카오재팬의 일본 상장도 앞두고 있다.
김 의장은 이른바 ‘흙수저’ 출신 자수성가한 기업인으로 알려져 있다. 전남 담양에서 상경한 부모 밑에서 2남3녀 중 셋째로 태어난 김 의장은 5남매 중 유일하게 대학에 진학했다. 아버지는 막노동, 어머니는 식당 일을 했다. 할머니를 포함해 여덟 식구가 단칸방에서 살았다는 그는 가난한 어린 시절을 몇 차례 언급해왔다.
자수성가로 ‘15조’ 이재용 제치고 최고
아버지는 막노동 어머니는 식당 일
김 의장이 중학생 때 아버지가 정육 도매업으로 자리 잡으면서 작은 집을 장만하기도 했지만 몇 년 지나지 않아 부도가 났다. 이후 대학 재수 시절에 손가락을 베어 ‘혈서’를 쓰면서 마음을 다잡았다는 건 유명한 일화다.
서울대 산업공학과 86학번으로 입학한 김 의장은 과외를 하며 학비를 마련했다. 학업을 마친 뒤 삼성데이타시스템(삼성SDS 전신)에 입사해 본격적으로 컴퓨터 언어를 습득했다.
그는 1990년대 말 대형 PC방을 부업으로 개업했고, 1998년에는 삼성SDS에 사표를 내고 ‘한게임’을 창업했다. 2000년에는 삼성SDS 동기였던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의 네이버와 한게임을 합병해 NHN 공동대표가 됐다. 단독대표, 해외사업 총괄 대표직을 맡았던 그는 2007년 대표직에서 물러나 가족들이 있는 미국으로 떠났다.
NHN을 나온 후 김 의장은 카카오의 전신인 ‘아이위랩’에 합류했고, 4년 뒤 모바일 메신저 프로그램인 ‘카카오톡’을 출시했다. 카카오는 모바일 메신저를 넘어 결제, 금융, 게임, 차량 호출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했다.
카카오톡 출시 9년 만인 지난 2019년에는 자산총액 10조원 이상의 대기업으로 올라섰다. 코로나 사태로 비대면 서비스 수요가 증가하면서 주가가 급등했다. 카카오의 시가총액은 한국 증시에 상장된 기업 중 네 번째로 많다.
그는 사업뿐 아니라 기부에도 적극적이어서 더욱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올해 초 재산의 절반을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생전에 기부한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당시 자산이 10조원 정도로 알려져 기부 규모는 5조원 정도로 예상됐으나 그가 보유한 주식이 이후에도 계속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기부 규모도 덩달아 뛸 것으로 관측된다.
김 의장은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인 빌 게이츠 부부와 워런 버핏 버크셔해서웨이 회장이 시작한 자발적 기부 운동인 ‘더기빙플레지’를 통해 공식 서약을 하기도 했다.
김 의장은 서약서를 통해 재산 절반 이상 기부의 뜻을 밝히면서 “가난한 어린 시절을 겪었던 저는 30대에 이를 때까지 ‘부자가 되는 것’을 오직 인생의 성공이라 여기며 달려왔다. 그러나 목표했던 부를 얻고 난 뒤 인생의 방향을 잃고 한동안 방황해야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의미 있게 산다는 것’에 관해 스스로 수많은 질문을 던졌다”고 했다.
기부도 열심
그는 “이 서약을 시작으로 우리 부부는 기업이 접근하기 어려운 영역의 사회문제 해결에 나서려 한다”며 “우리가 걸어가는 길이 세상을 바꾸기 위해 도전하는 또 다른 혁신가들의 여정에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