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은 예부터 ‘두 물이 아름다운 곳’이라는 뜻으로 영가(永嘉)라 불렀다. 두 물〔永〕은 낙동강과 반변천이다. 하지만 안동으로 이어진 물길은 강이라는 이름을 잠시 접고 호수로 남았다. 안동댐과 임하댐을 건설하면서 안동호와 임하호라는 거대한 호수가 생겼기 때문이다. 청량산을 휘감고 내려오던 낙동강 물길은 도산서원을 거쳐 한 굽이 지나면 예끼마을과 만난다.
안동댐 건설로 예안면이 대부분 물에 잠기자, 서부리 일대에 살던 사람들이 이주하면서 예끼마을이 조성됐다. 차마 고향을 버리지 못한 이주민의 서글프고 애잔한 이야기가 전해지는 곳이다. ‘선성현문화단지 조성 사업’에 이어 ‘이야기가 있는 마을 조성 사업’을 시작하면서 ‘예술의 끼가 있는 마을’이라는 뜻으로 예끼마을이라 했다.
문화단지
마을 입구에서 내려다보면 마을과 안동호 풍광이 어우러진다. 1976년에 조성한 마을이라 바둑판처럼 구획된 모양이 단순한 느낌도 들지만, 돌아다니다 보면 정겹고 유쾌하다. 근민당, 구 우체국, 마을회관 등은 갤러리로 탈바꿈하고, 마을 곳곳에 벽화와 작품이 전시된다. 선성현문화단지 입구 골목은 냇가 풍경을 트릭 아트처럼 꾸며 사진 촬영 장소로 인기다.
예끼마을을 대표하는 선성수상길은 잔잔한 안동호에 폭 2.75m, 길이 1km로 놓인 부교다. 안동호와 주변 산세가 어우러진 풍경이 일품이다. 선성수상길 중간쯤 수몰 전 예안국민학교 자리에 풍금과 학교의 옛 사진이 있다.
선성수상길 입구에는 선성현역사관을 비롯해 동헌, 객사, 내아 등 선성현 관아의 옛 모습을 재현한 선성현문화단지 조성 작업이 한창이다. 쌍벽루에 오르면 안동호의 또 다른 풍광이 펼쳐진다.
예끼마을인포메이션센터에 마련된 ‘예끼마을카페’, 맷돌 커피로 알려진 ‘장부당’, 가구 카페 ‘고이’, 안동시 농가 맛집 ‘메밀꽃피면’ 등 카페와 식당이 여럿이다. 선성현한옥체험관도 갖춰 체류형 관광지로 손색없다.
안동댐 하류에 있는 월영교는 폭 3.6 m, 길이 387m로 국내에서 가장 긴 나무다리다. 다리 이름은 주민 응모작 중 달골〔月谷〕, 월영교 건너편 엄달골 등 달과 관련된 이 지역의 유래에서 착안했다. 1998년 택지 개발로 고성 이씨의 묘를 이장하던 중, 무연고 묘에서 400년이 훨씬 넘은 편지와 미투리가 발견됐다.
죽은 남편에게 한글로 쓴 편지와 남편의 쾌차를 빌며 머리카락으로 삼은 미투리가 감동과 여운을 남겼는데, 그 미투리를 모티프로 월영교를 세웠다. 월영교 건너 오른쪽으로 가면 법흥교까지 2km 이어진 안동호반나들이길과 원이엄마테마길이 조성돼 애절한 사랑의 감동을 되새길 수 있다.
월영교는 산세와 호수가 어우러진 풍광이 아름답다. 다리 중간에 월영정이 있어 기둥 사이로 바라보는 풍경도 기대 이상이다. 해가 질 무렵 시시각각 변하는 호수와 하늘의 색, 월영교의 야경과 호수의 반영은 더욱 매력적이다.
월영교 건너편 산 중턱에 빛을 발하는 건물은 예끼마을의 전신인 예안면에 있던 선성현 객사(경북유형문화재 29호)로, 안동 석빙고(보물 305호)와 함께 이곳에 옮겼다.
댐 건설로 거대한 호수 생겨
사람들 이주로 예끼마을 조성
월영교 건너 왼쪽으로 가면 안동시립민속박물관을 만난다. 안동의 민속 문화를 자세히 보여주는 곳으로, 지난 2018년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이관돼 고향으로 돌아온 안동 하회탈과 병산탈(국보 121호)을 전시하니 꼭 들러보자.
안동시립민속박물관에서 낙강물길공원이 지척이다. 프랑스 화가 클로드 모네가 사랑한 지베르니 정원을 닮아 ‘한국의 지베르니’라 불리는 곳이다. 메타세쿼이아와 전나무 숲, 연못과 폭포, 숲속정원 등이 어울린다. 징검다리가 있는 연못은 사진 촬영 명소다.
낙강물길공원에서 조금 더 오르면 안동루에 닿는다. 안동댐 아래로 길게 이어지는 물길 풍경이 압권이다.
안동호가 예끼마을과 월영교를 만들었다면, 지례예술촌은 임하호가 만들었다. 1984년 임하댐을 착공하면서 30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지례마을이 수몰될 위기에 처했지만, 안동 지촌종택과 지촌제청, 지산서당 등을 마을 뒷산 골짜기에 차례로 옮기고, 1989년 지례예술촌을 열었다.
지례예술촌은 가는 길이 험하다. 수곡교가 있는 곳에서 구불구불한 산길을 12km(약 20분)나 달려야 한다. 이런 불편함에도 지례예술촌을 찾는 이유는 대문과 행랑채 창문을 통해 바라보는 임하호의 풍경이 ‘인생 사진’으로 유명하기 때문이다. 이는 숙박객만 누릴 수 있는 호사다. 일반 관람은 불가한 점, 참고하자.
신세동벽화마을은 2009년 마을 미술 프로젝트로 동부초등학교와 성진골 주변에 조성됐다. 담장에 그린 벽화, 트릭 아트, 개와 고양이, 토끼 조형물 등이 재미있다. 산자락을 따라 계단이 이어지고, 형형색색 지붕을 인 집이 옹기종기 모였다. 골목을 오르락내리락하다 보면 어느새 전망대에 닿는다.
카메라를 들고 사진 찍는 조형물이 있는 전망대에서 안동 시내가 훤히 보인다. 최근 전망대 뒤쪽에 ‘다시, 여기서’라는 카페가 생겼다. 앙증맞은 애니메이션 캐릭터와 책이 내부를 채운다. 커피 한잔과 함께 일몰이나 안동 시내 야경을 만끽해도 좋다.
지례예술촌 가는 길에는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이 있다. 1894년 갑오 의병부터 광복 때까지 경북 사람들의 국내외 독립운동 역사가 담긴 독립관, 안동 독립운동의 뿌리가 된 전통 마을의 항일투쟁을 전시한 의열관으로 나뉜다. 전시물 중에 권오설 철관이 있다.
권오설은 1926년 6·10만세운동을 주도한 혐의로 체포돼 1930년 서대문형무소에서 옥사했는데, 당시 일본은 권오설의 장례식에 사람들이 모일 것을 두려워해 시신을 철관에 넣고 납땜했다. 권오설의 아버지가 지은 제문이 3m에 이르러, 보는 내내 마음이 아프다.
만휴정(경북문화재자료 173호)은 보백당 김계행이 말년에 독서와 사색을 위해 지은 정자다. 보백당 김계행은 “내 집에는 보물이 없다. 보물이 있다면 청백뿐이다(吾家無寶物 寶物有淸白)”라며 청렴함을 보물로 삼은 분이다.
다리를 건너 들어가는 만휴정의 풍광이 압권이다. 드라마 〈미스터 션샤인〉을 촬영한 뒤 많은 여행자가 찾는다. 계류, 폭포, 산림 경관이 어우러진 만휴정 원림(명승 82호)도 아름답다.
만휴정
김계행의 흔적은 묵계서원과 안동김씨묵계종택(경북민속문화재 19호)으로 이어진다. 묵계서원 관리사는 ‘카페 만휴정’을 열어 여행자의 쉼터 역할을 톡톡히 한다. 관리사 대청과 부엌 등을 카페 공간으로 꾸며 차를 나누며 힐링하기 좋다.
<여행 정보>
당일 여행 코스
예끼마을→월영교(안동시립민속박물관, 낙강물길공원)→신세동벽화마을→지례예술촌
1박2일 여행 코스
첫째 날: 월영교(안동시립민속박물관, 낙강물길공원)→안동 법흥사지 칠층전탑, 임청각→신세동벽화마을→지례예술촌
둘째 날: 지례예술촌→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만휴정(묵계서원, 카페 만휴정)→예끼마을
관련 웹 사이트 주소
- 예끼마을 www.yeggistory.com
- 지례예술촌 www.jirye.com
-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815gb.or.kr
문의 전화
- 안동시청 관광진흥과 054)840-6396
- 예끼마을 054)841-5800
- 월영교(안동시립민속박물관) 054)821-0649
- 지례예술촌 054) 852-1913
- 경상북도독립운동기념관 054)820-2600
- 만휴정 054)840-3433
대중교통
[버스] 서울-안동, 동서울종합터미널에서 하루 17회(07:00~20:00) 운행, 약 3시간 소요. 안동터미널 정류장에서 80번 일반버스 이용, 교보생명 정류장에서 567번 일반버스 환승, 한국국학진흥원 정류장 하차, 예끼마을까지 도보 약 130m. 안동터미널 정류장에서 80번 일반버스 이용, 교보생명 정류장에서 3-1번 일반버스 환승, 월영교 정류장 하차, 월영교까지 도보 약 90m. 지례예술촌은 임동면 소재지에서 택시 이용(약 2만원).
*문의: 동서울종합터미널 1688-5979 시외버스통합예매시스템 txbus.t-money.co.kr 안동터미널 054)857-8296
[기차] 청량리역-안동역, KTX 하루 7~8회(06:00~22:00) 운행, 약 2시간 소요. 안동역에서 안동터미널 정류장까지 도보 230m 이동, 80번 일반버스 이용, 교보생명 정류장에서 567번 일반버스 환승, 한국국학진흥원 정류장 하차, 예끼마을까지 도보 약 130m. 안동역에서 안동터미널 정류장까지 도보 230m 이동, 80번 일반버스 이용, 교보생명 정류장에서 3-1번 일반버스 환승, 월영교 정류장 하차, 월영교까지 도보 약 90m. 지례예술촌은 임동면 소재지에서 택시 이용(약 2만원).
*문의: 레츠코레일 1544-7788
자가운전
예끼마을: 중앙고속도로→풍기 IC→영주·안동 방면 국도5호선, 8.5km→가흥교차로에서 오른쪽, 18.7km→지곡교차로에서 좌회전, 녹지로로 8.5km→녹래길삼거리에서 우회전, 지방도935호선 녹전로로 6.7km→서부교차로→예끼마을
월영교: 중앙고속도로→서안동 IC→안동 시내 방면 경서로로 우회전, 7.5km→송현오거리에서 우회전, 1.7km→어가골교차로에서 안동문화관광단지 방면 좌회전, 5.5km→월영교
지례예술촌: 중앙고속도로→서안동 IC→안동 시내 방면 경서로로 우회전, 3.9km→남순환로 대구·영천 방면 국도34호선, 17.5km→신석교차로에서 안동대·임하 방면 오른쪽 도로→포진교 건너자마자 오른쪽 국도34호선 진입, 12.1km→수곡교 건너 12km→지례예술촌
숙박 정보
- 전통리조트구름에(한국관광 품질인증업소): 안동시 민속촌길, 054)823-9001
- 온계종택 삼백당(한국관광 품질인증업소): 안동시 도산면 온혜중마길, 010-2988-3435
- 정재종택(한국관광 품질인증업소): 안동시 임동면 경동로, 010-8590-0625
- 수애당(한국관광 품질인증업소): 안동시 임동면 수곡용계로, 054)822-6661
- 단호샌드파크캠핑장: 남후면 풍산단호로, 054)850-4595
- 안동호반자연휴양림: 도산면 월천길, 054)840-8265
- 지례예술촌: 임동면 지례예술촌길, 054)852-1913
- 안동계명산자연휴양림: 길안면 고란길, 054)850-4700
식당 정보
- 메밀꽃피면(미오기집밥): 도산면 선성4길, 054)843-1253
- 진성식당(해물매운돈가스): 안동시 태사길, 054)852-6880
- 말콥버거(더블버거): 안동시 퇴계로, 010-2117-0106
- 맛50년헛제사밥(헛제삿밥): 안동시 석주로, 054)821-2944
- 하회대가(안동찜닭): 안동시 전서로, 054)841-5184
주변 볼거리
도산서원, 이육사문학관, 봉정사, 안동포전시관, 안동 하회마을, 안동 병산서원, 안동 체화정, 권정생동화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