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김태일 기자 = 휴대폰결제 전문기업 다날이 지난해 최대 매출을 경신했다. 하지만 마냥 웃을 수만은 없는 입장이다. 야심차게 준비했던 프랜차이즈 사업법인 달콤이 자본잠식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새롭게 취임한 박상만 대표의 입장에서도 달콤의 추락은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는 상황. 성과를 내세우기도 애매한 모양새가 돼 버렸다.
휴대폰결제 전문기업 다날이 지난해 비대면 소비 트렌드 확산에 힘입어 최대 매출을 경신했다. 연결기준 지난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0% 오른 2300억원을 기록했다. 영업이익도 37.5% 늘어난 150억원을 찍었다. 다만 2019년 미국 다날 법인 매각 이익 반영으로 순이익은 45% 줄어든 124억원을 나타냈다.
잘나가지만…
다날은 2000년부터 휴대폰결제 사업을 통해 성장했다. 휴대폰결제 솔루션을 최초로 개발해 인터넷 기반의 소액 콘텐츠 구매 시장을 선점한 덕분이다. 특히 국내 휴대폰 소액결제 시장은 경쟁사와 함께 과점 체제로 양분하고 있다.
여기에 신용카드와 가상화폐, 간편결제까지 종합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다날의 사업 부문은 크게 커머스사업 부문과 디지털콘텐츠 부문, 프랜차이즈 부문 등 세 가지로 나뉜다. 커머스사업 부문은 휴대폰결제 사업 등을, 디지털콘텐츠 부문은 모바일콘텐츠와 음원 등의 제작·유통을, 프랜차이즈 부문은 커피 전문 브랜드 달콤커피 사업을 각각 영위하고 있다.
다날은 자체사업으로 휴대폰을 이용한 소액결제 서비스, 일반전화 결제 서비스, 상품권 결제 서비스, 실시간 계좌이체 서비스 등을 추진하고 있다.
자회사로 다날엔터테인먼트(디지털콘텐츠 부문)와 달콤(프랜차이즈 부문)을 비롯해 페이코인, 페이프로토콜 AG(PayProtocol AG), 쏘시오(이상 커머스사업 부문) 등을 지배하고 있다.
커머스사업 부문은 다날의 높은 시장점유율을 기반으로 안정성이 보장된 사업이다. 스마트폰의 보급률 증가와 함께 온라인 쇼핑 시장이 큰 폭으로 성장하자 휴대폰결제를 이용하는 고객도 늘었기 때문이다. 휴대폰결제 사업으로 한정지어 볼 때 다날은 KG모빌리언스와 함께 국내 휴대폰 결제시장의 약 80% 이상을 점유하고 있다.
업계에선 다날의 시장점유율을 42%가량으로 추정하고 있다.
다날은 지난해 4월 삼성카드 출신의 박상만 대표이사 체제로 새롭게 출범했다. 박 대표는 취임 당시 사내 메시지 등을 통해 본업 경쟁력 강화, 신사업 적극 발굴, 전략적 제휴를 통한 혁신 성장 세 가지 중점 경영 방침을 발표했다.
비대면 소비 트렌트 수혜…최대 매출 경신
야심작 프랜차이즈는 자본잠식 늪서 허우적
다날은 2018년 사상 최대 순이익을 남기며 신임 박 대표이사에게 힘을 실어줬다. 당시 매출액 1912억원, 영업이익 109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전년 대비 매출액은 5.2%, 영업이익은 82.8% 각각 증가했다. 같은 기간 순이익은 흑자전환하며 사상 최대인 228억원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동시에 숙제도 안겨줬다. 프랜차이즈 사업법인 ‘달콤’이 2019년 자본잠식 상태로 접어든 것이다.
2013년 다날엔터테인먼트에서 분할 설립된 달콤은 프랜차이즈 커피 가게 ‘달.콤’과 로봇카페 ‘비트 2.0’을 운영한다. 다날과 자회사 다날엔터테인먼트는 달콤의 지분 47.74%와 24.53%를 각각 보유하고 있다.
달콤은 2018년 36억원 순손실을 기록하며 적자전환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61억원 순손실을 냈다. 손실이 커지면서 결국 지난해 자본 규모가 -22억원에 달하는 완전 자본잠식 상태가 됐다. 달콤은 2019년 부채 규모가 282억원에 달해 259억원 상당의 자산 규모를 추월했다.
지난해에도 자본잠식 상태는 계속됐다. 70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고 자본 규모는 -94억원으로 대폭 감소했다.
업계 내에서는 달콤의 자본잠식은 예정된 결과였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사업다각화를 위해 오너 박성찬 회장이 강행했던 다양한 사업 가운데 하나인 달콤은 커피 시장 확대에 편승했지만 경쟁사들과 출혈경쟁으로 수익 개선이 녹록지 않았다.
매출액도 2017년 200억원을 기록한 이래 역성장하고 있다. 특히 2018년에는 전환사채(CB)를 대량으로 발행해 155억원을 조달하기도 했다. 그 결과 2017년까지 200%대를 유지했던 부채비율은 2018년 511%로 급등했고 2019년 부터 완전자본잠식 상태가 됐다.
달콤의 자본잠식은 다날과 계열사들의 조직혁신 및 체질개선을 맡은 박 대표에겐 부담이다. 특히 기업공개(IPO)를 예고했던 달콤이 자본잠식에 빠지면서 관련 절차에도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게 됐다.
다날은 과거 다양한 사업으로 진출했다가 부진을 겪고 정리 수순을 밟아 투자자들의 비판을 받았다.
2016년 다날투어와 다날인터내셔널을 청산했고 2017년 다날게임즈는 파산으로 종속기업에서 제외됐다. 또 적자를 내던 미국법인을 2018년 매각했고 지난해 자회사 다날엔터테인먼트의 카카오 이모티콘 사업도 카카오에 양도했다.
이처럼 확장 전략이 실패로 끝나면서 다날의 사업은 전자결제가 속한 커머스와 디지털콘텐츠, 프랜차이즈로 축소됐다. 최고 실적 달성과 함께 한 해를 맞이한 다날이지만 달콤의 계속되는 자본잠식으로 마냥 웃을 수만은 없게 됐다.
기업공개 차질
업계 관계자는 “다날은 2010년 이후 꾸준하게 사업다각화를 해오고 있지만 아직 뚜렷한 성과를 내지는 못하고 있다”며 “다만 커피 프랜차이즈 사업은 로봇을 통한 무인화에 나서는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