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갤러리현대가 박현기의 개인전 ‘I’m Not a Stone’을 준비했다. 작고 10주기를 기념해 2010년 회고전 형식으로 진행한 ‘한국 비디오아트의 선구자 박현기’ 전과 2017년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전에 이어 갤러리현대에서 준비한 박현기의 3번째 개인전이다.
2000년 세상을 떠난 박현기는 ‘한국 비디오아트의 선구자’로 국내외 명성이 높다. 대학에서 회화와 건축을 공부하고, 미술가와 인테리어 디자이너로 활약한 그는 조각과 설치, 판화, 비디오, 퍼포먼스, 회화, 드로잉, 포토미디어 등 다양한 매체를 전방위로 실험하며 도전적인 작품을 발표했다.
무제
‘I’m Not a Stone’ 전은 박현기의 창작활동에서 전환점이 되는 기념비적 대표작을 집중 조명했다. 이번 전시는 비디오 아티스트라는 수식에 가려진 그의 방대한 예술세계를 접할 수 있는 기회다. 또 아시아 현대미술사의 중요한 아티스트로 재평가되고 있는 그의 미술사적 성취와 위상을 확인할 수 있다.
출품작 10점은 1978년부터 1997년까지 그의 커리어를 폭넓게 아우른다. 강가의 돌을 전시장에 그대로 옮겨와 인간과 예술, 그리고 자연과의 관계를 시적으로 성찰한 ‘무제’, 신체와 공간, 미술과 건축에 관한 자신만의 아이디어를 유머러스하게 풀어낸 설치작품 ‘무제(ART)’ 등을 유족과 미술평론가 등으로 구성된 ‘박현기 에스테이트’의 자문과 감수를 거쳐 다시 제작했다.
지하전시장 초입에는 조명을 받아 반짝이는 작은 돌탑 3점 ‘무제’가 있다. 전시장 바닥에 좌대 없이 놓인 이 돌탑들은 넓적하고 둥그스름한 형태의 크기가 다른 돌 6~10개를 성인의 허리춤이나 무릎 아래 정도의 높이로 층층이 쌓아 올린 모습이다.
옛 마을 어귀에 잡석을 정성껏 올려 쌓은 돌탑을 떠올리게 한다.
미술가와 디자이너 사이
2000년 위암으로 별세
박현기에게 돌은 태고의 시간과 공간을 포용하는 자연이며 선조들의 미의식을 간직한 정신적 산물이자 세상을 비추는 카메라면서 영상 이미지가 상영되는 스크린이었다. 그는 작가노트에 한국전쟁 당시 피난길에서 마주한 고갯마루의 성황당 돌무더기 전경을 잊지 못한다고 적었다.
이런 체험과 기억은 그가 작품의 주재료로 돌을 사용하는 계기가 됐다.
지하전시장 한편에서는 박현기가 1983년 수화랑의 개인전에서 관람객 없이 펼친 퍼포먼스를 사진으로 기록한 아카이브 자료 영상이 재생된다. 박현기는 당시 등에는 ‘I’m Not a Stone’, 가슴과 배에 걸쳐서 ‘stone and so forth’라고 쓴 채 나체로 돌무더기 사이를 탐색하듯 걷고 서성이고 뛰었다.
전시장 1층에는 목재를 조립해 만든 ‘무제(ART)’가 있다. 1986년 인공갤러리의 개인전에서 발표한 이 작품은 관람객의 시점과 위치에 따라 작품과 공간에 관한 지각의 범위가 달라진다. 관조의 대상으로만 존재하던 미술에 대한 기대를 깨뜨리는 작품이다.
세 개의 구조물은 직선과 곡선, 수직과 수평이 교차하며 구성됐다. 관람객은 세 구조물 사이와 구조물의 좁은 내부를 오가며 작품을 체험하고, 구조물로 새롭게 구획된 공간의 변화를 탐색하는 시간을 보낸다.
하지만 관람객은 이 작품의 온전한 형태와 명확한 의미를 파악하기 어렵다. 세 구조물은 각각 알파벳 A, R, T의 모양을 하고 있는데, 그 높이 때문에 조감의 시선에서만 전체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관람객들은 작품 사이를 헤매면서도 그 모양을 명확히 알 수 없는 아이러니한 상황에 놓인다.
박현기에게 공간은 늘 해석과 분석의 대상이었다. 그는 전시장을 ‘도심의 건축 공간’으로 설정했다. 1980년대 초반까지 영상을 담은 TV와 돌들을 탑이나 돌무덤 등의 건축적 구조로 구현한 작품에 매진한 그는 1980년대 중반부터 비디오를 배제하고 벽돌과 나무 등 건축 자재만 사용한 공간 설치작업에 몰두했다.
돌탑 쌓고 공간 넘나들고
포르노와 티베트 불교 결합
2층 전시장에서는 박현기의 대표작인 TV 돌탑 ‘무제’와 ‘만다라’ 연작을 감상할 수 있다. 두 개의 큰 돌이 하단에 쌓여 기단 역할을 맡고, 그 위로 4대의 대형 브라운관이 차곡차곡 이어진다. 개별 TV 모니터에는 두 돌을 쌓은 중간 지점이 보이는데, TV 모니터가 쌓여 화면 속 돌들이 자연스럽게 이어진 것과 같은 환영을 만든다.
만다라 시리즈는 박현기가 이전에 발표한 정적이고 명상적인 비디오 작업과는 달리, 디지털 편집기술을 적용한 역동적인 비디오 작품이다. 초당 30프레임 이상의 짧은 영상 클립은 100여겹이 넘는 레이어로 직조돼 입체적으로 움직이는 착시를 일으킨다.
프레임의 기초를 이루는 이미지는 찰나적인 포르노 영상이다. 포르노 영상 위로 티베트 불교에서 만다라 수련의 교본으로 즐겨 사용하는 불교 도상 모음집을 얹었다. 여기에 우주창조의 이치를 81자로 풀이한 천부경의 한자가 겹쳐진다.
가장 세속적인 인간의 본능 행위와 종교적 도상, 천지창조와 그 운행의 묘리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기호가 합쳐진 것이다.
만다라
무수한 레이어로 완성된 만화경적 이미지와 리드미컬한 움직임으로 관람객의 시선을 붙잡는 만다라는 박현기가 창조한 비디오아트의 정수로 평가받는다. 갤러리현대 관계자는 “만다라 작품에는 그가 평생 질문한 인간과 자연, 나아가 우주의 근원과 그 존재에 대한 성찰과 숭고한 세계관이 반영돼있다”고 전했다.
jsjang@ilyosisa.co.kr
[박현기는?]
1942년 일제강점기 일본 오사카에서 2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945년 해방 직전 그의 가족은 고향인 대구로 돌아와 정착했다.
초등학교부터 미술에 남다른 재주를 보였던 그는 고등학교 때 미술부 활동을 하면서 각종 미술대회에서 수상했다.
1961년 홍익대학교 서양화과에 입학했다.
1974년부터 1979년까지 5회에 걸쳐 진행된 ‘대구현대미술제’의 창립 멤버로 왕성한 활동을 펼쳤다.
1978년 서울화랑에서 첫 개인전을 개최했으며, 작고 후 15년이 지난 2015년 그가 남긴 풍성한 아카이브를 중심으로 작품세계를 조망한 회고전 ‘박현기 1942-2000 만다라’가 국립현대미술관 과천에서 열렸다.
1999년 8월경 위암 말기 판정을 받고, 2000년 1월13일 길지 않은 생을 마감했다. <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