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구동환 기자 = 과거 작가는 배고픈 직업 중 하나였다. 최근 웹소설 작가는 작품 하나만 뜨면 큰 돈을 벌게 됐다. 실제로 지하철에서 종이책 대신 휴대폰으로 웹소설을 보는 사람이 점점 늘고 있다. 웹소설 한편이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되면서 웹소설 작가로 도전하는 직장인들도 덩달아 늘고 있다.
‘서울 자가에 대기업 다니는 김부장(이하 김부장)’. 온라인상에서 인기를 끈 웹소설 제목이다. 이 소설은 온라인서 입소문을 타면서 알려지고 있는데 회사원이 부동산 투자를 하면서 겪는 내용을 그리고 있다. 또 직장인들의 고충과 애환을 담아내 독자들로부터 공감을 자아냈다.
조회 10만 훌쩍
이 소설은 22편까지 연재돼 한 달 만에 무려 170만명이 읽었다(지난 13일 기준). 소설을 쓴 송씨는 광고 수익으로 93만원을 벌었으며, 출판사·영화제작사와 협업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이한 점은 송씨가 웹소설 플랫폼이 아닌 블로그에 글을 썼다는 것이다. 웹소설 작가 지망생이 밟는 코스가 아닌 네이버 블로그에 꾸준히 글을 올렸다. 해당 글이 인터넷 카페, 커뮤니티 등에서 공유돼 조회 수가 가파르게 올라갔다.
3년 전 김부장과는 비슷한 사례로 인터넷에서 화제가 된 웹소설이 있다. 여타 커뮤니티를 뜨겁게 달군 ‘오피스누나’다. 인터넷 커뮤니티 엠엘비파크(MLBPARK) 사이트에 게시된 이 글은 다른 대형 커뮤니티까지 알려지면서 최종회 조회 수 10만을 훌쩍 넘었다.
‘오피스누나’는 커뮤니티 사이트를 평정하자 네이버 오디오북, 웹툰까지 진출하면서 재조명됐다. 이 작품도 회사에서 벌어진 애틋한 사랑이야기다. 작가는 미국에서 살고 있음을 밝히며 오전(한국시각)마다 글을 올렸다.
‘서울 자가에 다니는 대기업 다니는 김부장’ ‘오피스누나’ 등 엄청난 조회 수를 자랑하는 이 두 편의 공통점은 현실성이다. 직장생활을 하면서 경험했을 법한 일을 담백하게 풀어냈다. 그러다 보니 주인공과 비슷한 상황에 놓인 독자가 글속으로 빠져들었다.
‘오피스누나’를 쓴 팔메이로 작가는 과거 자신이 겪은 이야기를 최대한 담아냈다고 밝힌 바 있다. 기성 드라마나 영화와 같은 인위적이지 않아 독자에게 재미를 선사했다.
스타작가 알고 보니 회사원
히트작 인기 요인 ‘현실성’
이처럼 직장인이 쓴 소설이 웹상에서 주목받고 있다. 카페, 커뮤니티, 블로그 등 글을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이 늘어난 영향과 함께 글에 대한 즉각적인 반응이 웹소설 지망생이 늘어나고 있다. 네이버는 지난해 웹툰·웹소설 아마추어 창작자가 70만명으로 전년(58만명)보다 21% 증가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과거 소설작가로 등단하기 위해서는 공신력 있는 공모전에서 수상을 해야만 가능했다. 하지만 요새는 기발한 아이디어와 참신한 ‘글빨’만 있다면 웹소설 시장에서 수억원대 수익을 올리며 작가로 이름을 날릴 수 있는 기회가 열리고 있다.
공공장소에서 두꺼운 종이책 대신 스마트폰으로 웹소설을 보는 사람이 많아졌고, 누구나 재미있는 소재와 이야기만 있다면 언제 어디서든 자유롭게 연재할 수 있기 때문에 부업으로 웹소설 시장에 뛰어드는 직장인 관심이 매우 뜨겁다.
특히 상당수 웹소설 스타 작가가 본래 직장을 다니며 틈틈이 글을 써왔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제2의 스타작가’를 꿈꾸는 직장인의 도전도 늘고 있다. 당장 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글쓰기 플랫폼을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쿠팡파트너스는 쿠팡에서 판매하는 상품 홍보글을 본인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나 블로그에 올리고 판매가 이뤄지면 수수료 3%를 받는 형태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올해 신인 작가 발굴을 위한 무료 웹소설 연재 사이트인 ‘카카오페이지 스테이지(STAGE, 가칭)’를 선보인다. 해당 공간은 아마추어 창작자를 위한 자유 연재 무대이자, 데뷔 기회가 주어지는 플랫폼이다.
신인, 기성작가 여부와 무관하게 누구든 연재가 가능하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이 2020년 발표한 ‘웹소설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웹소설 시장은 2014년 약 200억원 규모에서 2018년에는 4000억원대로 약 20배 이상 성장한 것으로 추산된다.
낮엔 회사원 밤엔 작가로 ‘투잡’
수천억 시장…황금 알바로 각광
웹소설 독자가 1020세대라고만 생각한다면 큰 오산이다. 특정 웹소설 플랫폼에서는 4050세대가 결제율이 훨신 높다. 과거 만화나 책 대여점에서 300원~500원 주고 빌려보던 향수를 자극해 최근에는 편당으로 결제하는 게 익숙해진 영향도 있다.
또 4050여성 사이에서 19금 로맨스 분야가 인기가 많아지고 있다. 성별, 연령에 따라 찾는 장르가 다 다르면서 전체 웹소설 시장이 넓어지고 있다는 게 업계 분석이다.
큰 공을 거둔 웹소설도 속속 등장했다. 2019년 국내외 누적매출액 300억원을 기록한 카카오페이지의 ‘나 혼자만 레벨업’, 100억원을 넘긴 ‘닥터 최태수’ ‘템빨’이 있다.
2018년 tvN 드라마로 방영된 ‘김비서가 왜 그럴까’는 IP 확장에 성공한 사례다. 원작 웹소설과 웹툰은 누적 총합 800만명 이상이 열람했다. 이를 원작으로 한 드라마는 150억원 이상 수익을 거뒀다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IP 확장은 장르 간 시너지를 일으키며 콘텐츠의 가치를 높인다.
웹소설 시장이 성장세지만 독자 확대와 인식 제고는 시장 확대를 위해 풀어야할 숙제다. 카카오페이지 측은 독자 확대가 가장 중요한 과제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다양한 프로모션과 홍보 방안을 고민 중이며 새로운 장르 발굴, 2차 저작물 확대를 지속해나갈 예정이다.
네이버웹툰은 2019년부터 웹소설·웹툰 공모전을 진행해 신인 작가 발굴에 적극적이다.
직장인이 우려하는 경우는 회사를 다니면서도 웹소설의 겸업 여부다. 회사마다 규정이 다를 수 있지만 사기업은 웹소설 겸업이 가능하다고 알려졌다. 숨기려 해도 매해 다가오는 연말정산에서 수입이 드러나기 때문에 솔직히 말하는 편이 낫다.
커지는 시장
이융희 청강문화산업대 교수는 웹소설 시장에 대해 ”무엇보다 속도감 있게 창작되고 소비되는, 폭넓은 (독자)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는 문화시장“이라며 ”웹소설 공모전 기간에 4000여종의 작품이 올라올 정도로 다종, 다량의 작품이 창작 중이고, 작품 역시 꾸준히 성숙해지고 있다“고 짚었다. 이어 “(웹소설이) 10년 역사에 불과해 웹소설에 대한 사회인식은 제고될 필요가 있다”며 “(발전 방향을 위한)정책 논의도 웹콘텐츠와 웹문화에 맞춰 이뤄져야할 것“이라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