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정치팀] 김정수 기자 = 누가 보더라도 둘 중 하나다. 서울시장 선거 판세는 박영선·오세훈의 2강 구도다. 군소후보 자리는 그만큼 비좁다. 사실상 승산이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 그래도 뛴다. 해볼 만한 가치가 있어서다.
4·7 재보궐선거가 이틀 앞으로 다가왔다. 코로나19 시국에도 선거 열기는 뜨겁다. 대선 분위기에 버금간다는 평가다. 특히 서울시장 선거가 그렇다. 여야의 대선 전 마지막 모의고사라는 점에 1000만 수도 서울의 수장이라는 무게감이 실려서다.
곧 시작
본선 무대에는 10여명이 올랐다. 스포트라이트는 두 명에게 집중됐다. 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당) 박영선 후보와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다. 거대 양당인 만큼 지지도와 세력이 만만치 않다. 나머지 출마자들은 군소후보로 묶인다.
이들에게는 출마가 계란으로 바위치기다. 부담도 크다. 보궐선거 후보로 등록하기 위해서는 기탁금 5000만원이 필요하다. 예비후보 1000만원에 후보 4000만원이다.
선거 이후 전액을 돌려받기 위해서는 득표율 15% 이상이 필요하다. 절반 반환은 10~15%의 득표율이 필요하다. 10% 아래로는 단 한 푼도 받을 수 없다. 그간 선거에 출마한 군소후보 대부분은 빈 손으로 돌아갔다.
군소후보들이 다투고 있는 파이는 얼마나 될까. 최근 여론조사를 종합해보면 10% 안팎이다. 90% 넘는 지지율은 박 후보와 오 후보에게 향하고 있다.
이 중에서도 이름을 올린 후보는 몇 되지 않는다. 국가혁명당 허경영 후보와 무소속 신지예, 기본소득당 신지혜, 여성의당 김진아, 미래당 오태양, 진보당 송명숙 후보 등이다.
서울시장 10여명 출마…‘나도 있다’
기탁금 반환 안 돼도 출마, 왜?
승산은 없지만 경쟁은 치열하다. 국가혁명당 허경영 후보는 이중에서도 인지도가 높은 축에 속한다. 일명 ‘내 눈을 바라봐’로 유명세를 얻기 시작한 허 후보의 출마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방의회 선거부터 대선까지 두루 출마했다.
허 후보는 선거에 뛰어들 때마다 다소 황당한 공약으로 유희의 대상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다만 오늘날은 ‘국가에 돈이 없는 게 아니라 도둑놈이 많습니다’라는 슬로건으로 공감대(?)를 형성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이번 서울시장 선거에는 여성후보들의 약진이 눈에 띈다. 역대 서울시장 선거 가운데 가장 많은 5명이 출마했다.
무소속 신지예 후보는 지난 2018년 서울시장 선거에 녹색당 후보로 출마한 바 있다. 당시 그가 내세운 정체성은 페미니스트 서울시장. 그 과정에서 선거벽보가 훼손되는 곤욕도 치렀지만, 정치권 안팎의 주목을 받았다.
정의당 김종민 후보보다 높은 표를 확보해서다. 원외정당 후보가 원내정당 후보보다 높은 평가를 받은 셈이었다. 신 후보는 이번에도 페미니스트를 외치고 있다.
여타 여성후보들의 슬로건도 같은 맥락이다. 여성의당 김진아 후보는 ‘여자 혼자도 살기 좋은 서울’이다. 기본소득당 신지혜 후보는 ‘성평등 서울’, 진보당 송명숙 후보는 ‘결혼하지 않아도 당당한 서울’이다.
여성후보들의 잇단 출마는 이번 재보선의 배경에 있다는 분석이다. 박원순 전 서울시장뿐만 아니라 오거돈 전 부산시장 역시 성추행 사건에 연루됐다. 이들이 이구동성으로 ‘여성이 안전한 서울’을 외치며 출사표를 던진 이유다.
전 시장들의 소속 정당인 민주당에 대한 반감이 작용했다는 해석도 나온다. 진보정당으로 분류되는 민주당에서 제 식구 감싸기로 여겨지는 행보를 보여서다. ‘피해 호소인’이라는 표현과 당헌까지 바꿔가며 후보를 배출한 점이 대표적이다.
거대정당 네거티브에 의제 설정 눈길
새로운 지대 형성 가능성…어떻게?
미래당 오태양 후보는 지난 2011년 양심적 병역거부를 공개적으로 선언한 바 있다. 이후 오 후보는 몇 차례 선거에 출마했다.
오 후보는 2012년 총선 청년당 비례대표 후보에 이어 지난해 총선에서는 미래당 후보로 서울 광진을에 도전했지만 모두 낙선했다. 지난해 총선에서는 방송인 김제동씨가 오 후보에 대한 지원유세를 펼치면서 이목을 끌기도 했다. 오 후보는 성소수자를 위한 공약을 내세웠다. 동성결혼과 차별금지법, 그리고 퀴어축제 전면지원 등이다.
정치권의 뜨거운 의제 중 하나인 기본소득도 군소후보들의 공약이 됐다. 기본소득당 신지혜 후보는 모든 시민에게 매달 25만원의 기본소득을 지급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오 후보는 만 19~34세 청년에게 3년간 최저생계비 수준의 소득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군소후보 가운데 선두를 기록하게 될 후보는 서울시장 3위라는 성적표를 받게 된다. 지난 2018년 서울시장에서 당시 바른미래당 안철수 후보가 3위를 기록한 바 있다. 이후 소속 정당은 힘을 잃다가 와해됐고, 안 후보는 유학길에 올랐다.
이번에는 결이 다르다. 서울시장 3위라는 타이틀에 비해 군소후보들의 지지율은 부족할 공산이 크지만, 유의미한 득표율을 보인다면 잃을 것보다 얻을 것이 더 많다는 해석이다.
여야가 네거티브 공세에 매몰된 사이 군소후보들은 여성과 기본소득 등을 의제로 끌고 왔다. 주류 정당에서는 다루기 어려운 사안들이다. 그래서인지 향후 군소후보들이 이를 중심으로 모일 수 있다는 시나리오가 제기된다.
3등 타이틀
정치권 관계자는 “세를 넓히는 것도 한 방향을 잡고 콘크리트 지지자들을 모으는 것에서 출발한다”며 “군소 후보들이 3지대를 형성할 것이란 가정은 아주 먼 이야기로 치부되지만 불가능한 것도 아니다”고 설명했다. 이들이 대선 전초전이라 불리는 서울시장 선거를 겪어본 점도 간과하기 어렵다. 군소후보들이 내년 대선에서 새로운 형태로 출마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