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업계가 코로나19 수혜로 인해 이슈몰이를 지속하고 있다.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접점을 피하고자 고민하던 터에, 그나마 골프가 사회적 거리두기에 적합한 운동으로 지목되는가 싶더니 어느새 ‘언택트(Untact)’ 시대의 대표적인 업종으로 대두되면서 새로운 기원이 확인된 셈이다. M&A업계에서 골프장의 몸값이 이미 상한가를 달리고 있고 주요 회원권의 시세도 예상치 못한 급등세를 이어가는 양상이다.
최근 골프업계에는 미세하나마 변화가 점차 감지되고 있다. 골프장 매물들은 사상최고가를 찍고 있지만 매매자들의 팽팽한 줄다리기가 이어지고 있다. 줄곧 급등하던 회원권 시세도 약보합에서의 등락을 거치게 되자 이후 향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코로나19 시대에 변화된 골프업계의 자산 가치, 그 고점 논란에 대해 알아본다.
치솟는 인기
몇 해 전까지만 해도 골프장 M&A라 하면, 회생 절차에 돌입한 부실 골프장들의 채무변제 목적의 형태가 대다수였다. 최근에는 정상 운영되는 골프장들이 최고가에 매물화되면서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고 있다는 평이다.
과거에는 부실 골프장을 정상 운영하기 위해선 채권자들의 손실이 불가피했다. 회원제 골프장들은 특히, 퍼블릭 전환 과정에서 회원권 보유자들의 희생 또한 뒤따랐다. 그리고 기업회생을 신청한 곳들은 부실 골프장이라는 인식이 만연해 매수측과의 금액 협상에도 난항을 겪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해외투어가 전면 금지되다시피 하며 일상이 변했다. ‘코로나 블루’로 치부되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고자, 시일이 지날수록 골퍼들의 부킹수요가 급증하는 결과를 불러왔다.
이에 업계에서는 2020년은 적어도 전년 대비 20~30%대 이상의 부킹이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는 분위기였다. 그만큼 골프장들의 수익성 또한 대폭 증대될 것으로 이미 예고된 것이나 다름없었다.
언택트 수혜업종으로 대두
상한가 치는 몸값의 이면
결국 한동안 정체됐던 흐름을 뚫고 골프장들의 몸값이 금년 들어 폭등하기 시작했다. 과거 거래가 집중됐던 경기, 강원권의 골프장들이 1개홀 기준으로 50억원대 미만에서 거래(18홀 골프장 기준으로 900억원 이하)됐다. 최근에는 매수측의 제시가가 80억원 수준으로까지 알려지면서 적정가격에 대한 논란이 일고 있다. 과연, 매도측의 희망가에 가까운 금액대로 거래가 성사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는 이유다.
회원권도 골프업계의 변화에 따라 시세가 급등해왔으나 4분기 들어 변화가 주춤한 양상이다. 오히려 중저가대 종목들은 급등 이후에 고점 매물이 나오면서 시장이 약보합으로 변모하기도 했으나, 그나마 본격적인 가을 시즌 이후에 들어서야 시장이 강보합으로 전환하는 양상이다.
이에 대한 해답 역시 코로나19의 영향에 따른 시장 환경의 변화에서 찾을 수 있다. 최근에 국내 골프부킹 수요가 급증하자, 회원권 수요도 증가하면서 전반적으로 시세가 급등했다. 이어서 상대적으로 회원이 많은 중저가회원권 부킹경쟁이 가열되면서 부킹하기 어려운 여건에 처하게 됐다는 것이다.
초고가 회원권 ‘귀하신 몸’
도대체 적정가격 얼마기에?
결국 실사용층은 금액을 높여 고가나 초고가 회원권을 중심으로 매입하기 시작했고 무기명회원권 품귀 현상에 차선책으로 매입을 선택한 수요층과 경쟁적인 구도를 형성하게 됐다. 따라서 중저가 금액 종목들에선 실망스러운 매물이 나오는 가운데, 전반적인 시황의 부침이 발생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독 고가와 초고가 종목들에선 시세 상승이 더욱 가속하는 기묘한 현상이 나타났다.
자금의 속성 중 하나가, 수익이 있고 가치가 있는 곳으로 물 흐르듯 흐른다는 것이다. 그러나 코로나19 시대로 대변되는 요즘, 유동자금은 증가하고 있으나 투자할 곳과 희소성을 지녀 매매할 만한 가치자산은 점점 찾아보기 힘들어지고 있다. 어찌 보면 사상 최고치에 등극한 대중 골프장보다 수익은 낮으나 상대적으로 저렴한 회원제 골프장을 인수하는 것도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방법이다.
기묘한 현상
가격부담이 점차 커지고 있는 고가나 초고가 회원권이 아니라도, 중저가대 회원권은 동호회나 각종 모임에서 다른 골퍼들과 함께 활용할 경우 부킹 난을 줄일 수도 있다. 가격이 오르는 대표 자산에만 계속 관심을 갖게 되는 확증편향이 골프업계에도 있는 게 아닌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