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국증권 오너 3세 지분 재매입, 왜?

모아서 팔다 다시 모은다

[일요시사 취재1팀] 김정수 기자 = 부국증권 오너 3세 김상윤 유리자산운용 부사장이 지분 재매입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그는 보유 지분 전량을 돌연 처분한 바 있다. 이를 두고 3세 경영의 포석을 마련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된다.
 

▲ ▲ 부국증권 본사 ⓒ네이버 지도

부국증권은 지난 1954년 국내에서 네 번째로 설립된 증권회사다. 창업주는 고 김한수 회장. 현재 부국증권은 2세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전면에는 창업주의 차남 김중권 회장이 있다.

퇴장

최근 3년간(2017~2019) 부국증권 실적은 다소 감소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472억원, 372억원, 359억원으로 감소했다. 당기 순이익 역시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동기간 376억원, 281억원, 273억원이었다.

다만 올해 성적표는 기대할만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부국증권은 상반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 351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61.5% 증가한 수치다. 순이익 또한 269억원으로 직전년도 동기 대비 56% 상승했다.

부국증권 최대주주는 10.96%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김 회장이다. 2대 주주는 김 회장의 동생 김중광씨로 10.2%를 쥐고 있다.


부국증권 3대주주는 김상윤 유리자산운용 부사장이다. 1978년생인 그는 김 회장의 장남으로 지분 매입에 돌입한 모양새다.

금융감독원 공시시스템에 따르면 김 부사장은 지난 7월15일과 8월12일 부국증권 주식을 각각 3만8000주와 5096주를 사들였다. 지난달 6일 기준 김 부사장의 보유 주식 수는 16만7536주로 지분율은 1.25%다. 김 부사장의 지분 매입에 눈길이 가는 까닭은 일전에 보유 지분 전량을 처분한 전력이 있어서다.

잇단 매수 중 돌연 전량 매도
곧 재매입…되찾은 3대 주주

공시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는 김 부사장의 최초 부국증권 주식 소유 시기는 지난 2012년이다. 당시 김 부사장은 4만2000주(0.31%)를 보유하고 있었다. 그는 매년 부국증권 주식을 차츰차츰 사들이기 시작했다. 오너 3세로 분류되는 만큼 향후 후계 구도를 위한 터 다지기로 분석됐다.

김 부사장은 이듬해인 2013년 6730주를 매수한 데 이어 2014년 9381주를 사들였다. 김 부사장은 2015년부터는 더 많은 주식을 취득했다. 그해 1만5400주, 2016년 2만2471주를 매입했고, 2017년 8170주를 확보하면서 지분율이 0.78%에 달했다. 초기 지분에 비해 두 배 이상 뛴 것이다.

변화의 조짐은 지난 2018년 말부터 시작됐다. 그해 12월 김 부사장은 돌연 455주를 매도하더니 지난해 1월 쥐고 있던 부국증권 주식 10만3697주를 시간 외 매매를 통해 전량 처분했다.

김 부사장뿐 아니라 같은 오너 3세로 분류되는 도윤씨와 정진씨도 보유 지분 전량인 5만5850주와 5만1370주 모두를 각각 처분했다.


하지만 김 부사장은 얼마 지나지 않아 주주 명부에 다시 이름을 올리게 됐다. 약 8개월 뒤, 김 부사장은 시간 외 매매를 통해 5만9000주를 재매입했다. 김 부사장과 같은 시기 지분을 모두 정리한 도윤씨와 정진씨도 동일한 양을 같은 방식으로 사들였다.
 

김 부사장은 그해 말 다시 시간 외 매매로 4만주를 취득하면서 총 9만9000주를 확보하게 됐다. 지분율은 0.74%로 지분을 정리하기 전과 비슷한 수준까지 회복했다. 같은 기간 도윤씨와 정진씨는 각각 5000주, 2000주 매입에 그쳤다.

김 부사장의 지분 재매입은 올해에도 계속되고 있다. 그가 지난 4월 모두 세 차례에 걸쳐 2만5440주를 추가로 사들이면서 지분율은 1%에 가까운 0.93%까지 상승했다. 이어 지난 7월과 8월 매수를 통해 보유량이 16만7536주(1.25%)로 등극할 수 있었다.

김 부사장과 함께 지분을 정리한 바 있었던 도윤씨와 정진씨 등도 비슷한 시기에 지분을 회복했다. 도윤씨에게는 11만3270주(0.85%), 정진씨에게는 8만3017주(0.62%)가 있다. 또 다른 오너 3세인 정연씨 역시 7만8948주(0.59%)를 소유 중이다.

승계 포석? 후계구도는?
대물림 작업 현재진행형

김 부사장이 지분을 다시 사들이기 시작한 것에 대해 3세 경영을 위한 포석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김 부사장은 지분을 재매입하면서 유리자산운용 등기임원으로 선임됐다. 유리자산운용 등기부등본에 따르면 김 부사장은 지난해 3월 사내이사로 취임했다.

이 외에도 김 부사장과 함께 오너 3세들이 대거 지분 재매입에 나섰다는 점도 승계와 연결 지어 볼 수 있다는 해석이다. 특히 김 부사장은 오너 3세 가운데 가장 많은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다른 3세들도 역시 매입과 전량매각, 재매입을 거쳤지만 김 부사장에 비해 적은 주식을 가지고 있다. 김 부사장이 오너 3세 중에서 후계 경쟁력을 선점했다는 분석이다.

그가 단일 기준 3대 주주라는 점도 간과하기 어렵다.

같은 시기 부국증권 최대주주인 김 회장과 그의 동생인 김중광씨에게는 별다른 지분 변화가 없었다. 지난달 6일 기준 이들이 소유하고 있는 부국증권 주식 수는 각각 146만5712주(10.96%), 136만3468(10.2%) 등이다.

앞서 김 부사장은 지난 2013년 부국증권 계열사인 유리자산운용에 입사했다. 유리자산운용은 부국증권에서 99.90%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곳이다. 김 부사장은 입사 3년 만에 유리자산운용 부사장으로 승진했다.

최근 3년간(2017~2019) 유리자산운용 매출액은 133억원, 159억원, 158억원으로 나타났다. 당기순이익은 32억원, 39억원, 38억원으로 매출 흐름과 비슷한 면을 보였다. 유리자산운용 자산총액은 354억원, 404억원, 438억원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부채는 10억원, 20억원, 16억원 수준이다.

재등장


김 부사장과 오너 3세들이 재등장하면서 부국증권 주요 주주는 김 회장(10.96%), 김중광씨(10.2%), 김 부사장(1.25%), 도윤씨(0.85%), 정진씨(0.62%), 정연씨(0.59%) 순으로 재편됐다. 개인 외에 학교법인명지학원(0.04%)에서도 주주 명부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무속 중독?’ 김건희 조언 그룹 대해부

‘무속 중독?’ 김건희 조언 그룹 대해부

[일요시사 취재1팀] 오혁진 기자 = 김건희 여사의 ‘무속 중독 논란’이 다시 수면 위로 올라왔다. 김 여사에게 공적 사안마다 조언해 주는 무속 인물 7~8명이 있다는 주장까지 제기됐다. 건진법사, 천공 등이 아닌 명리학자 류모씨가 새롭게 등장하면서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분위기다. 윤석열 캠프 출신 여권 인사들도 김 여사의 무속 중독 논란과 관련해 여러 차례 윤석열 대통령에게 직언했으나 컨트롤되지 않았다고 한다. 개인이 사주를 보거나 점을 보는 건 욕먹을 일이 아니다. 그러나 대통령의 부인이 공적 사안에 대해 무속으로 영향력을 행사하는 건 전혀 다른 문제다. 대통령실과 윤석열 캠프 출신 복수의 여권 인사들은 과거 김건희 여사의 무속 중독 논란에 대해 “설마 그럴 리가 있겠느냐”고 입을 모았다. 지금은 다르다. 터질 게 터졌다며 한숨부터 나오고 있다. 위기 상황 의지 지속 서울 강남구 광평로 한 빌딩서 H 학술원을 운영하는 류모 원장은 대구·경북 지역서 활동해 왔다. 대중 강연과 지역 일간지 기고, 언론사와 보수 유튜버 등에도 출연해 정치인들의 사주풀이 등으로 활발한 행보를 보이기도 했다. 그는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박근혜 전 대통령 당선, 안철수 대선후보 사퇴’ 등을 예측해 정치권에서는 나름 알려진 인물이다. 류 원장에게 먼저 연락을 취한 건 김 여사다. 류 원장이 윤석열 대통령의 사주를 예측하면서 본인의 자택인 서울 서초동 아크로비스타로 초대하게 된 것이다. 류 원장은 김 여사와 5번 이상 상담을 진행했다. 상담은 김 여사가 류 원장에게 자동으로 삭제되는 타이머가 설정된 텔레그램 채팅방을 통해 질문하면 이에 답해주는 형식으로 진행됐다고 한다. 류 원장은 지난 2020년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과 윤 대통령이 검찰총장 시절 빚던 갈등에 대해 김 여사에게 “천운이 좋으니까 살아난다”고 답했고, 윤 대통령이 검찰총장직을 사퇴한 직후에 대선에 출마해야 하는지에 대한 질문에 “당연히 나가야 한다”고 답했다고 한다. 그는 “국민의힘 이준석 전 대표와의 갈등에 대해서도 물었다. 김 여사가 이준석을 어떻게 했으면 좋겠냐고 하길래 ‘하극상을 벌일 사람’이지만 슬슬 달래서 가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고 주장했다. 류 원장은 <한겨레21>과의 인터뷰에서는 “지난해 12월에는 김 여사가 ‘저 감옥 가나요?’라는 메시지를 보냈다. 은둔하면 된다. 당신도 많이 깨달아야 한다. 제발 좀 나서지 마라. 위기인 것은 분명하나 아직 기운이 좋아 (감옥에)가지는 않는다고 충고했다”고 했다. 윤 당선 예측하자 아크로비스타로 류 초대 정치적 위기마다 5번 텔레그램 상담 진행 당시 김 여사에게는 악재가 잇따라 터졌다. 지난해 11월27일 <서울의소리> 보도를 통해 김 여사가 최재영 목사에게 명품백을 받는 영상이 공개됐고, 보름 뒤인 12월14일에는 <뉴스타파>가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 당시 김 여사가 직접 증권사 직원과 통화해 주문하는 녹취록을 공개했다. 류 원장의 조언이 영향을 미쳤는지는 알 수 없으나 실제로 김 여사는 이후 153일 동안 공식 활동을 자제했다. 류 원장은 “나 말고도 조언을 해주는 사람이 분야별로 7~8명 더 있는 것으로 안다”고 주장했다. 윤석열 캠프 출신 한 여권 인사는 <일요시사>와의 인터뷰서 “일반 사람들이 강남이나 종로서 사주나 전생운을 보듯이 김 여사도 가볍게 보는 거라고 여겨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줄 알았다. 3년 전까지만 해도 그랬다”며 “터질 게 터지고 있는 셈이다. 윤 대통령이 결정해야 할 일을 김 여사가 개입해 ‘누구한테 들었는데 그건 이렇게 해야 한다더라’라고 말하는 과정 자체가 문제”라고 비판했다. 다른 국민의힘 관계자도 “대통령실 직원 이력서를 김 여사가 본다는 얘기도 있었는데 이력서를 봤다면 조처해야 하는 문제고 무당을 통해 그 이력서의 인물이 어떤지 평가한다는 풍문까지 있다”며 “영부인이 설마 인사에 개입했겠느냐며 넘겼다. 그런데 지금 상황을 보면 합리적 의심이 가시질 않는다”고 말했다. 류 원장 이전 무속 논란의 진앙지는 건진법사 전모씨라고 할 수 있다. 전씨는 윤석열 캠프 네트워크본부 고문으로 활동했다는 의혹을 받았던 인물이다. 전씨의 딸은 지난 2013년부터 코바나컨텐츠 행사를 담당했고 2년 뒤 한 화장품회사의 대표를 역임했다. 중국 진출을 염두에 뒀던 이 회사는 한한령과 코로나19 등 상황 악화로 2017년을 전후로 사업을 철수했다. 미국유학생 출신인 전씨의 처남 김모씨는 네트워크본부 활동을 장악하고 있다는 의혹을 받았다. 본인과 가족이 함께 대선 캠프서 일한다는 것은 캠프 내 실세의 지시 없이는 어려운 일이다. 무속의 진앙지 전씨의 무속 활동에는 산 채로 소가죽을 찢는 행사로 물의를 빚은 지난 2018년 수륙대제 및 국태민안 대동굿 등불교 축제가 있다. 이 행사에 대한 항의 게시물을 보면 대한불교종정협의회, 한국불교일광조계종과 함께 연민복지재단과 전씨의 딸이 대표로 있는 화장품 회사가 공동으로 행사를 주최했다. 전씨 외에도 김모 교수와 대통령실에 들어간 지인 자녀·친인척들이 차례차례 논란이 됐다. 황 회장 아들 황모씨(시민사회수석실 5급 행정관)에 이어 같은 지역 전기공사업자 우모씨의 아들(시민사회수석실 9급 행정요원, 현재 퇴사) 문제가 불거졌다. 여기에 윤 대통령 외가 쪽 6촌의 대통령실 근무 사실도 뒤늦게 드러났다. 윤 대통령 외가 6촌으로 삼성 출신인 최모씨는 선대위 회계팀장을 지냈고 대통령 부속실 선임행정관으로 자리를 옮겼다. 전씨의 제자로 지난 대선 당시 코바나컨텐츠에 상주하다 ‘김건희 목덜미 영상’으로 알려진 역술인 심모 박사는 이명수 <서울의 소리> 기자가 폭로한 ‘김건희 녹취록’서 등장한다. 그는 이 기자와의 연락서 자신이 황씨라고 주장했다. 전씨는 대선 전 불거진 네트워크본부 논란으로 인해 축출됐다. 전씨는 서울 용산구의 한 모처서 지난 2022년 6월까지 윤석열 캠프 출신 인사들과 자주 소통해 왔으나 이후 강남서 늦은 저녁에만 활동하기도 했다. 그는 윤석열 캠프 출신 인사 중 이른바 ‘MB 라인’으로 분류되는 정치권 관계자들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온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한 관계자는 “낙원동 쪽에 MB 청와대 인사들이 사무실을 차렸다. 인수위 네트워크 본부 출신 40여명이 들어가 있을 때부터 알려진 얘기”라며 “김 여사와 연락이 끊기면서 ‘MB 라인’ 인사들과만 소통했던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류 원장 외에도… 김 여사와 전씨의 사이가 틀어진 이유는 대통령실 고위 간부들의 읍소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실상은 다르다는 주장이 제기돼왔다. YS계로 알려진 N씨가 전씨와 같이 활동하면서 이권과 인사청탁에 개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이야기는 소위 ‘지라시’로 돈 데 이어 정치권에서는 전씨와 N씨의 불화설까지 들렸다. 윤석열 캠프 출신 한 인사는 “서울 한 건설사에서 마련한 땅 임대료를 두고 둘이 싸웠다. 특히 지방선거 시즌 강남구청장 선거서 국민의힘 후보로 출마한 인사가 두 사람을 믿고 경쟁하다가 제3자가 공천을 받았다는 뒷말이 상당하다”고 주장했다. 전씨의 영향력이 가라앉자 ‘MB계’ 국민의힘 중진들이 N씨에게 줄을 섰다는 얘기는 2년 전에 언급됐다. 특히 그가 특정 지역 인맥을 활용해 경찰 인사에 개입했다는 말까지 나왔다. 이른바 ‘왕따’가 된 전씨는 지난해까지 대통령 부부와의 친분을 이용해 세무조사나 인사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처럼 행세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당시 전씨로부터 청탁을 받았단 고위 공직자의 이름까지 떠돌았다. 전씨가 고위 공무원을 상대로 한 중견기업 세무조사를 무마하려 했다는 구체적인 의혹도 제기된 바 있다. <일요시사>와 접촉한 복수의 윤석열 캠프 출신 여권 인사들은 전씨 외에도 김 여사에게 조언하는 무속인이 더 있다고 말했다. 강원도 원주에 위치한 굿당의 당주이자 70대 할머니인 A씨가 그 주인공이다. 김 여사는 A씨로부터 자신과 어머니이자 윤 대통령의 장모인 최은순씨가 구속 위기에 있을 때 여러 차례 조언을 받았다고 한다. A씨는 약 10년 전부터 김 여사와 알고 지냈다. 소위 ‘무정 스님’으로 알려진 심모씨와도 밀접한 관계가 형성된 인물이다. 심씨는 윤 대통령과 김 여사의 결혼을 주선한 장본인이며 윤 대통령에게 ‘검사’ 직업까지 지정해준 멘토였다. 원주 굿당 당주 ‘영빨’로 김 측근 관리? 측근 주장 대부분 이권 개입·청탁 의혹 연루 심씨가 세간의 주목을 받은 건 조남욱 전 삼부토건 회장의 개인 일정표가 공개되면서다. 지난 2011년 8월 등이 포함된 일정표에 심씨는 ‘무정 스님’이란 호칭으로 여러 차례 등장했다. 윤석열 캠프 출신 인사는 “2년 전 캠프서 전씨 말고도 김 여사와의 친분을 이용해 이권을 차지하려던 인물이 한둘이 아니었다. 그때 A씨가 김 여사에게 ‘걔는 영빨이 부족해서 안 된다’며 여러 차례 물갈이를 주도했다”고 주장했다. 다른 인사도 “어머니인 최씨가 2021년 7월에 구속되기 전 김 여사가 명태균씨를 비롯한 A씨로부터 조언을 여러 번 구했다. 어떻게 하면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지 등 상당히 많이 의지했던 인물”이라고 말했다. 이 인사는 “명씨가 최근까지 김 여사와 소통할 수 있었던 이유는 소위 ‘영빨’로 김 여사의 환심을 샀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실제 명씨의 지인은 더불어민주당이 공개한 녹취서 “지금 당선인(윤 대통령)이 아예, 진짜, 완전히 광화문 그쪽으로 (이전)할 모양인가 보네”라고 물었고 명씨는 “경호고 나발이고 내가 (김건희 여사에게)거기 가면 뒈진다 했는데, 본인 같으면 뒈진다 하면 가나”라고 답했다. 윤 대통령은 당선 직후 청와대 이전을 위한 대통령 집무실 후보로 광화문 정부청사를 거론한 바 있는데, 명씨 본인이 김 여사에게 대통령 집무실을 다른 곳으로 옮기라고 조언했다는 주장이다. 명씨는 지인과의 대화서 김 여사에게 ‘무속적인 조언’을 했다고 밝히기도 한다. 명씨는 “내가(김 여사에게) 뭐라 했는지 알아요”라며 “본인이 영부인 사주가 들어앉았고, 그 밑에 대통령 사주가 안 들어왔는데”라고 했다. 명씨는 “내가 3월9일이라서 당선된다고 그랬다. 꽃 피기 전에는 윤석열이가 당선이(되고), 피면 이재명이를 이길 수가 없다는 것”이라고 했다. 감으로 승부수? 명씨는 또 “내가 이랬잖아. 그 청와대 뒷산에, 백악산(북악산)은 좌로 대가리가 꺾여있고, 북한산은 오른쪽으로 꺾여있다니까”라며 청와대 기운이 좋지 않다는 취지로 언급했다. 해당 대화서 명씨는 김종인 전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의 광화문 사무실 15층서 청와대를 봤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hounder@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