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곳곳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골프장 이용료는 계속 인상되고 있다. 캐디피, 카트비, 그린피를 합한 이용료의 상승으로 골퍼들의 원성을 사고 있는 가운데 골퍼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노캐디제’를 채택하는 골프장들도 급증하고 있다.
사단법인 한국골프소비자원이 지난달 22일 발표한 ‘캐디선택제 시행 골프장 현황’ 자료에 따르면 노캐디나 마샬캐디 등 캐디 선택제를 도입한 골프장이 2년 전보다 67개소(89.3%)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인골프 대세
지난달까지 노캐디·캐디 선택제를 시행한 골프장은 국내 골프장 535개소의 26.5%를 차지하는 142곳으로, 9홀 중심의 대중골프장 104개소 보다 압도적으로 많다. 대중골프장 전체(330개소)의 31.5%를 차지하고 있다. 군 골프장(체력단련장)은 18개소로 군 골프장의 절반에 달하지만 회원제 골프장 20개소는 회원에 한해 주중에 운영한다.
18홀 이상의 골프장 중 노캐디제를 시행하고 있는 골프장은 사우스링스영암(전남 영암), 군산CC 등 두 곳이다. 지난해 11월에 개장한 사우스링스영암CC는 45홀 모두 노캐디제로 운영하고 있고, 군산CC는 81홀 중 27홀을 노캐디제로 운영한다.
지역별로는 영남권이 33개소로 가장 많고 수도권 31개소, 충청권 26개소, 호남권 24개소 순이다. 1년 전에 비해서는 영남권이 10개소로 가장 많이 증가했는데, 대부분 야간경기에 도입하고 있다. 캐디선택제 골프장 비중은 충청권이 35.1%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호남권 33.8%, 영남권 29.2% 순이었다. 반면 수도권은 17.7%로 전국에서 가장 낮았다.
골프장들이 노캐디나 캐디 선택제로 전환하게 된 것은 캐디피 인상과 캐디 구인난이 심해지면서다. 캐디 구하기가 어려워지면서 야간 경기에 마샬캐디, 인턴캐디 등 캐디 선택제를 도입하는 골프장도 늘었다. 캐디의 고용보험 가입이 의무화되는 내년 중반 이후에는 노캐디나 마샬캐디제가 더욱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전국적으로 노캐디 바람
캐디 선택제 도입 급증
노캐디제를 선택하면 전동카트 운전은 물론, 남은 거리 측정, 골프채 선택 등도 골퍼 본인이 해야 하지만 캐디피를 1인당 3만원 정도 절약한다는 점에서 알뜰 골퍼들에게 인기가 높다.
골프 치는 퇴직자·경력단절여성들이 서비스하는 마샬캐디제는 남여주, 벨라스톤, 안강레전드, 센추리21CC의 4개소로 늘어났다. 마샬캐디제는 노캐디의 번거로움을 싫어하면서도 캐디피 부담을 줄이려는 골퍼들에게 적합하다. 마샬캐디의 팀당 캐디피는 8만원으로 하우스 캐디피 13만원보다 5만원 정도 싸지만 서비스 수준은 하우스 캐디 못지않다.
마샬캐디를 벤치마킹한 인턴캐디, 수습캐디, 스마일캐디 등은 하우스캐디가 되기 전에 실습하는 캐디 지망생의 역할이다. 이 중 인턴캐디피는 8만원 수준이다. 전동카트 운전만 해주는 운전(드라이빙)캐디의 캐디피는 팀당 6만~7만원으로, 하우스캐디를 모집하기 어려운 야간라운드에 많이 도입되고 있다. 한편 골프에 대한 이해도가 있고 골프를 치기도 하는 마샬캐디는 일주일에 9홀을 무료로 칠 수 있어 퇴직자들한테 인기가 높다.
한국골프소비자원에서는 퇴직자들을 대상으로 마샬캐디를 연중 모집하고 있다. 지원 후 일주일 정도의 서비스 및 현장 교육을 이수한 뒤 실무 현장에 나갈 수 있다. 서천범 한국골프소비자원 원장은 “팀당 캐디피 13만원이 일반화된 데다, 내년 중반부터 캐디의 고용보험 가입 의무화 등으로 캐디피가 추가로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며 “이를 계기로 비용부담이 적은 마샬캐디, 드라이빙 캐디제가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노캐디제의 비용은 저렴한 대신, 골프장이나 골퍼에게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카트 전복사고, 늑장플레이 등이 그렇다. 충북 제천의 한 골프장에서는 지난해 8월 카트 전복사고로 골퍼 한 명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동강시스타, 우정힐스CC는 카트사고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노캐디제를 9월과 10월에 각각 중단했다. 또한 사우스링스영암CC는 2~3볼 플레이를 하는 골퍼들이 많아서 18홀 1라운드에 걸리는 시간이 5시간 반에 달하는 경우도 있다.
한국레저산업연구소(소장 서천범)에 따르면 전국 회원제 골프장 평균 카트비는 8만9500원으로 2010년(7만8700원) 대비 13.7% 올랐다. 대중골프장은 8만4500원으로 10년 동안 15.8%(7만3000원 대비) 인상됐다.
카트 가격을 1000만원 선으로 가정할 때 하루에 두 번 돌려 56일이면 구입 비용을 충분히 뽑는다. 대당 1500만원 선이라고 해도 석 달이면 원금을 회수한다. 유일하게 배터리 교체와 수리 비용이 소요되는데, 이를 감안해도 이 기간 내 원금회수가 충분히 가능하다.
그 이후론 현금을 주워 담는다. 통상 5~6년 사용한다면 20배 가까운 이윤을 남긴다. 레저산업연구소에 따르면 작년 카트비는 3587억원으로 전체 골프장 매출액 3조2641억원의 10.9%에 달했다. 골프장들이 가장 짭짤하게 수입을 챙기는 것이 바로 카트비다.
도사리는 안전사고 위험
공공연한 카트비 폭리
골프장 사주들이나 친인척이 별도로 개인회사를 만들어 카트 부문을 운영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카트도 렌트하면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따로 없다.
카트비가 높다는 사실을 정부도 인식하지만 이를 제재할 법적 수단이 마땅치 않다. 업계 관계자는 “체육시설법상 카트비 인상엔 마땅한 규제 수단이 없다”며 “신고제가 아닌 상황에서 현장 단속을 나가도 처벌할 법적 근거가 딱히 없다”고 지적했다.
서천범 소장은 3인이 골프할 땐 4인 기준 카트비에서 1명분을 제하는 식으로 가격체계를 바꿀 것을 제안한다. 동시에 일정 핸디캡 이하의 골퍼들에겐 카트 선택제를 실시할 것도 주장한다. 골프장들은 코로나 사태 와중에 이용료(그린피+캐디피+카트비)를 2년 전에 비해 1인당 2만원 정도 올려 고객 부담을 키우고 있다.
만만찮은 부담
레저산업연구소의 ‘코로나 사태 이후 골프장 이용료 현황’에 따르면 주중 대중골프장 평균 이용료는 총 19만4000원이었다. 2018년 대비 12.5%, 토요일은 24만2000원으로 8.8% 올랐다. 회원제 인상률보다 2배 높아 대중골프장이 세금감면을 악용한다는 원성이 거세다. 일각에선 중과세율을 적용받는 회원제 골프장에도 세금감면 혜택을 주면서 경쟁을 유도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