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A뉴스] 에밀 자토펙은 1952년 헬싱키올림픽에 앞서 이미 육상계서 가장 빛나는 스타 중 한 명으로 여겨졌다. 체코슬로바키아를 대표해 런던 1948에도 출전했던 자토펙은 겨우 두 달 전에 1만m를 처음 접했음에도 올림픽 기록을 경신하며 금메달을 차지해 전 세계를 놀라게 한 바 있었다.
트레블 골드
당시 자토펙보다 한 바퀴나 뒤처졌던 선수들이 너무 많았기 때문에 계시원들이 다른 선수들의 기록을 전부 남기지 못해 상위 11명까지만 순위가 등록됐다는 일화가 전설처럼 전해지고 있다.
며칠 뒤 자토펙은 5000m서 은메달을 추가했다. 자토펙은 마지막 100m서 엄청난 질주를 선보이며 벨기에의 가스통 레프를 바짝 추격했지만, 단 1m 차이로 결국 레프가 금메달의 주인공이 됐다.
<가디언>은 “(자토펙이)그 자체만으로도 트랙서 불멸의 존재 중 하나로 남게 해줄 경기를 펼쳤다”고 보도했다.
자토펙의 승리가 당시 육상계에 충격을 던졌을지 모르지만, 이는 모두 상상조차 하기 어려운 훈련의 결과였다.
체력을 기르기 위해 무거운 군화를 신고 밤낮으로 달리고, 기절할 때까지 숨을 참거나, 몇 시간 동안 계속해서 제자리 달리기를 했던 것이다. 심지어 하루에 100번씩 전속력으로 400m를 질주했던 시기도 있었다. 국제대회가 요구하는 까다로운 수준에 맞출 수 있도록 몸상태를 갈고 닦기 위해서였다.
“힘든 조건서 훈련하는 편이 더 낫다. 그 차이가 대회서 엄청난 안도감을 주기 때문이다.”
48년 런던 1만m 금메달로 전세계 깜짝
52년 헬싱키 5000m·1만m·마라톤 우승
헬싱키 개막이 가까워졌을 무렵 자토펙은 최고의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었다. 올림픽을 준비하는 과정서 각종 장거리 종목을 넘나들며 69연승을 기록했던 것이다.
전염병으로 인해 올림픽에 참가하지 말라는 의사들의 권고를 받아 대회 준비가 불투명해졌던 때도 있었지만, 자토펙의 역사적인 순간을 빼앗아 갈 수는 없었다.
자토펙의 올림픽 첫 레이스는 1만m로, 4년 전 금메달을 차지했던 바로 그 종목이었다. 자토펙은 또다시 압도적인 경기를 펼치며 손쉽게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이어 5000m서도 금메달을 획득해 런던에서 한 걸음 차이로 놓쳤던 장거리 2관왕을 달성했다.
그러나 자토펙의 이름을 역사에 길이 남긴 것은 그 다음 레이스였다. 그 이전에도 없었고, 그 후로도 아직까지 아무도 따라 하지 못한 업적을 이뤄냈던 것이다.
자토펙은 그 전까지 한 번도 뛰어본 적이 없었던 마라톤 종목에 출전하기로 결정했다. 세계기록 보유자이자 챔피언, 영국의 짐 피터스에게 맞서게 된 자토펙은 틀림없는 언더독으로서 레이스를 시작했다.
자토펙은 경기 중에도 수다스럽기로 유명한 선수였다. 마라톤 레이스서도 경기가 시작되고 한 시간 남짓 흘렀을 무렵 피터스에게 경기 페이스가 괜찮은지 물었다. 그러자 피터스는 자토펙에게 겁이라도 주려는 듯 사실 속도감이 너무 떨어지는 느낌이라고 답했다.
피터스의 계략은 예상과 다른 효과를 낳았다. 피터스의 대답을 들은 자토펙이 갑자기 페이스를 높여 달려 나갔고, 뒤쫓아오는 선수들과의 차이를 2분으로 벌렸던 것이다. 그리고 남은 레이스 동안 자토펙은 차를 타고 경기를 취재하던 사진사들과 유쾌하게 담소를 나눴다.
마라톤 올림픽 신기록을 수립하고 3개의 금메달이라는 사상 초유의 업적을 달성하며 결승선을 통과했을 때 <가디언>의 표현에 따르면 “자토펙은 마치 상쾌하게 산책을 하고 온 사람 같았다.”
한 영국 기자는 5000m, 1만m, 그리고 마라톤까지 금메달을 딴 자토펙의 레이스를 두고 “육상 역사상 가장 위대한 사건”이라고 칭했다. 그 이후로 트레블 달성에 근접한 선수는 아무도 없었다.
헬싱키서의 영예로운 승리 이후 4년, ‘장거리의 왕자’ 자토펙은 올림픽을 향해 다시 한 번 훈련하고 있었다. 1956 멜버른을 준비하며 자토펙은 평소 스타일대로 훈련을 진행했다.
그중에는 아내를 등에 업고 크로스컨트리를 하는 훈련도 있었다고 전해진다. 하지만 그로 인해 탈장 증세를 보이게 됐고, 결국 올림픽이 시작됐을 때 마라톤 6위라는 실망스러운 성적을 내는 데 그치고 말았다.
자토펙은 멜버른올림픽이 끝난 1년 뒤에 현역서 은퇴했다. 1968년 초, 당시 소련의 영향력 하에 있던 체코슬로바키아는 이후 ‘프라하의 봄’으로 알려지게 된 사건으로 한창 들끓고 있었다. 당시 자토펙은 민주화운동 진영서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냈다.
전무후무
그러나 소련의 무력 진압으로 프라하의 봄이 끝나면서 자토펙도 희생양이 되어 청소부가 됐다가 끝내는 우라늄 광산서 노동형을 살았다. 이후 2000년 일흔여덟의 나이로 생을 마감하고 불멸의 전설로 추앙받았다. 올림픽서의 업적도 전설적인 기록으로 남게 됐다. 자토펙과 같은 선수를 앞으로 다시 볼 수 있을지 대답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특별한 기록을 남긴 체코슬로바키아의 ‘장거리 천재’는 분명히 앞으로도 기억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