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갤러리현대서 최민화 작가의 개인전 ‘Once Upon a Time’을 준비했다. 최민화가 1990년대 말 처음 구상하고 20여년 동안 치밀하게 준비한 동명의 연작 ‘Once Upon a Time’만을 모은 첫 번째 전시다. 60여점의 회화와 40여점의 드로잉, 에스키스를 함께 선보인다.
“내게 신화를 다루는 일은 오늘의 문제를 다루는 것과 같다.” 최민화는 한국 현대미술사에서 민중미술을 대표하는 작가로 잘 알려져 있다. 그의 작품세계는 1982년부터 본명 최철환 대신 ‘민중은 꽃이다’는 의미로 사용하기 시작한 민화라는 예명서 잘 드러난다.
고대 시공간
그 이름처럼 최민화의 작품 속 주인공은 언제나 민중, 이 시대를 하루하루 살아가는 평범한 사람들이었다. 그는 굴곡진 한국 현대사의 흐름에 내던져진 민중이 처한 부조리한 현실과 실존적 고민을 인물화나 역사화라는 가장 오랜 회화의 장르로 캔버스에 포착했다.
‘잘 살아보자’는 구호 아래 숨 가쁘게 진행된 근대화 과정서 주류 사회로부터 소외된 부랑자의 모습을 강렬한 색채와 표현주의적 붓질로 담은 ‘부랑’ 연작, 민주화 투쟁의 뜨거웠던 역사적 현장을 대형 걸개그림으로 기록한 ‘유월’ 연작, 50대 작가가 동시대를 함께 사는 청춘들이 도시를 방황하며 배회하는 유령 같은 모습을 회색빛이 강조된 쓸쓸한 분위기의 화면에 그린 ‘회색 청춘’ 연작 등이 대표적이다.
20여년간 그린 연작
한자리에 모은 전시
‘부랑’ ‘분홍’ ‘유월’ ‘회색 청춘’ 등 문제적 연작을 이어가던 최민화는 1980년대 중반부터 태국과 인도 등을 여행하기 시작했다. 여행을 통해 그는 한국적 전통 서사와 그에 걸맞은 상징적 이미지의 부재를 느꼈다.
그는 ‘분홍’ 연작을 마무리하던 1990년대 말부터 <삼국유사>를 바탕으로 한반도의 고대 시공간을 캔버스로 소환하는 새로운 연작 ‘Once Upon a Time’ 제작을 시작했다. 이 연작은 2003년 대안공간 풀에서 열린 개인전에 처음 등장했다.
그와 동시에 상상력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는 화가의 창조적 관점서 머나먼 옛 이야기를 한국적 도상으로 만드는 ‘조선상고사 메모’ 연작을 발표했다. 영화 홍보용 브로마이드나 상품 광고 포스터, 확대 복사한 다른 사진가의 사진 등 대량 생산된 이미지 위에 유화 물감으로 한국 상고사에 등장하는 웅녀와 해모수, <공무도하가> <서동요>의 주인공을 그려 넣은 작품이다.
이 같은 이미지의 전유와 변용은 ‘20세기’ 연작, ‘20세기 회화의 추억’ 연작 등으로 확장됐다. 20세기 연작에선 1937년 난징 대학살부터 1980년 광주 학살 현장까지 20세기 세계 곳곳서 자행된 대량 학살의 결정적 순간을 포착한 유명 보도사진을 출력해 그 위에 유화물감으로 색을 덧입혔다.
20세기 회화의 추억 연작은 20세기 대중문화의 아이콘이라 할 만큼 친숙한 영화 배우들의 이미지를 피카소, 베이컨, 달리, 워홀 등 20세기 미술사를 대표하는 화가들의 시그너처 스타일을 정교하게 반복하는 유희적 그림 그리기를 시도한 작품이다.
이번 개인전서 선보이는 Once Upon a Time 연작은 2018년 최민화가 이인성미술상을 수상한 것을 기념해 대구미술관서 열린 회고전 ‘천 개의 우희’서 ‘조선적인 너무나 조선적인’이라는 타이틀로 처음 선보였다. 그리고 이번 갤러리현대서 준비한 전시서 주요 작품의 실체가 비로소 공개됐다.
최민화는 Once Upon a Time 연작을 통해 한국인의 인문학적 상상력의 영토를 무한 확장하는 새로운 타입의 도상을 제시하고 있다. 그는 고대를 제대로 읽고, 알고, 느끼고, 보기 위해서는 국경과 민족, 인종과 종교 등을 엄격히 구분 짓는 서구의 근대적 역사 개념서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려 후기 승려 일연의 역사서 <삼국유사>를 서사적 뼈대로 삼은 이번 연작은 고조선과 고구려, 백제, 신라, 가야 등의 건국 신화, 영웅의 탄생과 고난, 성장과 성공의 감동적인 드라마, 농경과 유목의 삶이 혼재한 고대의 풍속과 생활문화 등 인류 보편적인 흥미로운 이야기에 주목했다.
평범한 사람들의 모습에 관심
인물화·역사화로 화폭에 담아
관람객은 1층 전시장서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익숙하면서도 낯선 신화적 인물의 기념비적 초상을 만날 수 있다. 동굴 안에서 마늘과 쑥을 먹으며 인간이 되길 바랐던 단군신화의 웅녀와 호녀, 주몽과 동이, <서동요>의 선화공주와 서동 등이 그 주인공이다. 신화적 의미를 강조하는 보석으로 장식된 이국적인 복장, 인물의 내면까지 드러내는 표정과 몸짓, 캐릭터를 돋보이게 하는 화면의 구도와 배경 등이 보는 이의 흥미를 자아낸다.
지하 복도 전시장에는 최민화가 민중적 시각으로부터 흥미를 느낀 인물들의 모습이 자리한다. 물에 빠져 죽은 남편과 그의 죽음을 슬퍼하는 <공무도하가>의 주인공인 백수광부와 처, 내면의 서러움을 격렬한 춤사위로 표현하는 <동동>의 여인 등이 관람객과 만난다. 지하 안쪽 전시장에서는 Once Upon a Time 연작이 진행된 지난 20여년 동안의 타임라인을 확인할 수 있다.
창조적 관점
미술사학자 김계원은 “Once Upon a Time 연작서 최민화는 누구보다 고도의 필력과 기예를 갖춘 작가임을 증명하고 있다”며 “Once Upon a Time을 관통하는 스타일이야말로, 작가가 역사를 형상화하는 방법이면서 동시에 <삼국유사>를 현대적 언어로 번안하는 전략, 나아가 주제물의 동시대성을 확보하고 관객의 공감대를 이끌어내는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jsjang@ilyosisa.co.kr>
[최민화는?]
최민화(본명 최철환)는 1954년 서울시 종로구 통의동서 태어났다.
신일고등학교를 졸업한 1974년, 홍익대학교 미술교육학과에 서양화 전공으로 진학했다.
1976년 자화상으로 ‘부랑’ 연작을 처음 시작했다.
1980년 5·18민주화운동을 입체 작품으로 표현한 ‘시민’을 서울현대미술제에 출품했으나 안기부의 검열로 강제 압수됐다.
1981년 한국을 떠나 미국과 멕시코에 거주했고, 이듬해 1년 2개월 동안의 해외 거주를 끝내고 한국으로 돌아왔다.
1980년대 민중미술 운동에 참여하며 활동가로서의 삶을 살아가는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