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전후’ 요동치는 기업 몸값 보니…

어제 다르고 오늘은 더 다르다

[일요시사 취재1팀] 김정수 기자 = 코로나19 여파가 재계 깊숙이 스며들면서 기업들의 몸값이 달라지고 있다. 기존 주자들은 다소 위축되는 반면 새로운 얼굴들이 하나둘 등장하고 있다. <일요시사>는 한국거래소 공시를 통해 지난 1월2일 시가총액 순위를 기준으로 2월28일, 3월31일, 4월29일 그리고 지난달 26일까지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살펴봤다.
 

▲ 한국거래소

지난 5개월 동안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시총 1·2위 자리를 굳건히 지켰다. 3위부터 5위 사이는 삼성전자우, 네이버, 삼성바이오로직스가 엎치락뒤치락했다. 셀트리온과 LG화학은 같은 기간 한 자릿수 순위 유지에 성공했다.

1∼5월

반면 기업 3곳이 제외됐다. ▲현대차 ▲현대모비스 등이다. 지난 1월 현대차와 현대모비스는 6위와 7위를 기록했지만 지난달 11위, 13위로 밀려났다.

빈자리는 ▲삼성SDI ▲카카오 등이 채웠다. 삼성SDI는 꾸준히 10위권 안팎에 이름을 올린 바 있다. 반면 카카오는 지난 1월만 하더라도 23위였지만 9위로 수직상승했다.

10위권을 유지한 곳은 포스코, LG생활건강, 삼성물산, SK, 신한지주, SK텔레콤 등이다. 그 밖으로 밀려난 기업은 ▲KB금융 ▲기아차 ▲한국전력 등이다. 한국전력은 지난달 20위로 하락했다. KB금융과 기아차는 같은 기간 각각 22, 23위로 하락했다.


그 틈에 ▲삼성에스디에스 ▲엔씨소프트 등이 신규 진입했다. 엔씨소프트는 지난 1월만 하더라도 27위였지만 지난달 15위로 올라섰다. 삼성에스디에스 역시 20위서 18위를 기록했다.

20위권 유지 기업은 SK이노베이션, KT&G, LG, 아모레퍼시픽, LG전자 등이다. 이탈 기업은 ▲삼성생명 ▲삼성화재 등이다. 삼성생명은 지난달 30위로, 삼성화재는 31위로 내려왔다.

삼성전자·SK하이닉스 부동의 1·2위
시총 상위권서도 순위 교체 번번이

공석에는 ▲삼성전기 ▲셀트리온헬스케어 등이 앉았다. 삼성전기는 지난달 29위까지 올랐다. 셀트리온헬스케어는 같은 기간 21위로 껑충 뛰었다. 넷마블은 지난 3월 29위까지 순위를 끌어올렸지만, 지난달에는 32위에 머물렀다.

30위권에 계속 머무른 기업은 하나금융지주, 에스오일, 한국조선해양, 고려아연, 우리금융지주, KT, 롯데케미칼 등이다.

40위권을 유지한 기업은 아모레퍼시픽그룹, 기업은행, 코웨이, LG유플러스, 강원랜드, 한온시스템 등이다.

이탈 기업은 ▲현대글로비스 ▲현대중공업 ▲미래에셋대우 ▲LG디스플레이 등이다. 현대글로비스와 현대중공업은 지난달 50위, 51위로 떨어졌다. 미래에셋대우는 53위로, LG디스플레이는 54위로 내려앉았다.
 


빈자리는 ▲한진칼 ▲오리온 ▲에이치엘비 ▲CJ제일제당 등이 채웠다. 한진칼은 지난 1월 98위서 지난달 42위로 껑충 뛰어올랐다. 이어 오리온은 43위를, 에이치엘비와 CJ제일제당은 47위, 49위를 기록했다.

순위가 낮아질수록 변동 폭은 컸다. 50위권을 유지하며 선방한 곳은 롯데지주, 맥쿼리인프라, GS, 현대건설 등이다. 순위권 밖으로 떨어진 기업은 ▲삼성카드 ▲삼성중공업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현대제철 등이다.

삼성카드는 지난달 61위로, 삼성중공업은 78위로 밀려났다.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는 70위, 현대제철은 81위로 주저앉았다. 빈 곳은 ▲포스코케미칼 ▲CJ대한통운 등이 대신했다. 포스코케미칼은 지난달 57위로, CJ대한통운은 59위로 올라섰다.

60위권을 유지한 기업은 호텔신라, 에스원, DB손해보험, 이마트 등이다. 이탈한 쪽은 ▲NH투자증권 ▲한국투자금융지주 ▲롯데쇼핑 ▲삼성엔지니어링 등이다. NH투자증권은 74위로, 한국투자금융지주는 75위로 밀렸다. 롯데쇼핑은 88위로, 삼성엔지니어링은 94위로 떨어졌다.

빈자리는 ▲LG이노텍 ▲GS리테일 ▲더존비즈온 ▲유한양행 ▲셀트리온제약 등으로 채워졌다. LG이노텍은 62위를 기록했다. GS리테일과 더존비즈온은 각각 65위, 66위에 올랐다.

특히 더존비즈온은 지난 1월 90위권에 불과했지만, 매달 순위를 갈아치우면서 60위권에 진입했다. 유한양행은 같은 기간 80위권에서 60위까지, 셀트리온제약은 100위권 밖에서 68위까지 진입했다.

후순위 갈수록 신규진입 왕성
주목받지 못했던 등장에 관심 

70위권을 유지한 기업은 대림산업, 한미약품 등이었다. 반대로 순위서 벗어난 기업은 ▲CJ ENM ▲한국가스공사 ▲삼성증권 ▲두산밥캣 ▲한국항공우주 ▲휠라홀딩스 등이다.

CJ ENM과 한국가스공사는 지난달 각각 83위, 82위로 떨어졌다. 삼성증권은 86위로 내려갔다. 한국항공우주와 두산밥캣은 91위, 93위로 주저앉았다. 휠라홀딩스는 99위로 밀려났다.

공석에는 ▲씨젠 ▲알테오젠 ▲펄어비스 ▲한화솔루션 등이 새롭게 등장했다. 씨젠과 알테오젠은 지난 1월만 하더라도 100위권 밖이었지만 단숨에 71위, 76위로 올라섰다. 한화솔루션 역시 100위권 밖에서 79위까지 상승했다. 펄어비스는 같은 기간 90위권서 77위에 이름을 올렸다.
 

80위권 유지 기업은 BGF리테일, CJ, 쌍용양회 등이다. 이탈한 곳은 ▲한화케미칼 ▲대우조선해양 ▲제일기획 ▲현대차2우B ▲신세계 등이다. 한화케미칼, 대우조선해양, 제일기획 등은 모두 10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신세계와 현대차2우B는 각각 90위, 96위로 내려갔다.

대신 ▲하이트진로 ▲에코프로비엠 등이 들어섰다. 하이트진로와 에코프로비엔은 모두 지난 1월 100위권 밖이었지만 지난달 87위, 89위를 기록했다.


진입, 이탈

90위권을 유지한 기업은 금호석유 한 곳이다. 이탈은 ▲한미사이언스 ▲KCC ▲GS건설 ▲BNK지주 ▲팬오션 ▲대한항공 등에서 이뤄졌다. 이들은 지난달에 모두 100위권 밖으로 밀려났다. 새 얼굴은 ▲케이엠더블유 ▲일진머티리얼즈 ▲SKC 등이었다. 케이엠더블유와 일진머티리얼즈 등은 지난 1월 모두 100위권 밖이었지만 지난달 차례로 92위, 94위, 98위에 안착했다. 지난 1월 현대해상이 차지했던 100위 자리는 스튜디오드래곤으로 교체됐다.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단독> ‘2조 물먹은’ 한양 수상한 계열사와 의문의 돈거래

[단독] ‘2조 물먹은’ 한양 수상한 계열사와 의문의 돈거래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광주 노른자위 땅을 개발하는 사업이 건설사 간의 갈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총사업비 2조여원의 초대형 프로젝트가 양측이 제기한 고소·고발로 표류하는 모양새다. 갈등의 본질은 사업을 좌지우지하는 특수목적법인(SPC)의 최대주주 지위가 누구에게 있는지다. 최근 지분확보를 위한 소송 과정서 의문의 돈거래가 포착됐다. 2020년 7월1일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따라 도시계획시설서 도시공원으로 지정해놓은 개인 소유의 땅에 20년간 공원 조성을 하지 않을 경우 땅 주민의 재산권 보호를 위해 도시공원서 해제하는 제도인 ‘도시공원 일몰제’가 시행됐다. 도시공원 일몰제의 도입으로 민간공원 특례사업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민관 합작 윈윈 사업 민간공원 특례사업은 민간에 사업시행권을 주고 공원을 조성해 지자체에 기부채납하도록 하는 제도다. 민간 사업시행자는 공원부지 30% 범위서 아파트 건설 등 비공원사업을 진행해 수익을 챙길 수 있다. 정부나 지자체는 민간 자본으로 공원을 조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민간 사업시행자는 주택 공급 사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서로 이득 볼 수 있는 구조다. 현재 전국 각지서 진행하고 있는 민간공원 특례사업 중 ‘중앙공원 1지구 민간공원 특례사업’의 규모가 가장 크다. 광주시 서구 금호동과 화정동, 풍암동 일대 243만5027㎡에 공원시설과 비공원시설을 건축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 비공원시설 부지에는 지하 3층~지상 28층, 39개동 총 2772세대 규모의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이다. 총사업비가 2조2000억원에 달한다. 2020년 1월 사업시행사인 특수목적법인(SPC) 빛고을중앙공원개발(이하 빛고을)이 설립되면서 추진되기 시작한 사업은 최근 시행사 지위와 시공권 등을 두고 고소·고발이 난무하고 있다. SPC 설립 시점부터 컨소시엄에 참여한 한양과 이후 시공자로 들어온 롯데건설, 지분 다툼을 벌이고 있는 우빈산업, 케이앤지스틸 등이 갈등의 주체다. SPC 빛고을 설립 초기 한양이 30%로 최대주주, 우빈산업(25%), 케이앤지스틸(24%), 파크엠(21%) 등이 주주로 참여했다. 한양이 우빈산업과 케이앤지스틸의 SPC 빛고을 참여를 위한 초기자본 49억원을 댔다. 한양이 우빈산업에 49억원을 빌려주고 우빈산업이 다시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대여해 지분을 분배했다. 이때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빌려주면서 ‘콜옵션’ 계약을 맺은 것으로 보인다. 콜옵션은 특정한 기초자산을 만기일이나 만기일 이전에 미리 정한 행사가격으로 살 수 있는 권리를 뜻한다. 다시 말해 우빈산업은 언제든지 원할 때 케이앤지스틸의 지분을 회수할 수 있는 조건을 걸어둔 것이다. ‘초대형’ 중앙공원 1지구 사업의 이면 한양-케이앤지스틸 모종의 관계 의혹 SPC 빛고을 주주구성에 변화가 생긴 시점은 컨소시엄 구성 당시 한양이 맡기로 한 시공권이 롯데건설로 넘어가면서부터다.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의 지분 24%를 위임받아 주주권을 행사해 롯데건설과 중앙공원 1지구 아파트 신축 도급 약정을 체결했다. 이 과정서 30% 지분의 한양은 배제됐다. 롯데건설을 시공자로 선정할 당시 우빈산업에 지분을 위임했던 케이앤지스틸의 태도가 변한 시기는 2022년 5월경으로 추정된다. SPC 빛고을 관계자에 따르면, 당시 케이앤지스틸은 우빈산업에 25억3000만원(대여금 24억원+이자)을 송금한 뒤 주주권을 주장하고 나섰다. SPC 빛고을 설립 과정서 빌린 돈을 갚았으니 24% 지분만큼 주주권을 행사하겠다는 것이다. 그러자 우빈산업은 케이앤지스틸에 24억원을 빌려주면서 맺었던 콜옵션을 행사하고 49%의 지분을 확보해 SPC 빛고을 최대주주로 올라섰다. 이후 우빈산업 내부 사정이 변하면서 한 차례 더 지분구조에 변화가 생겼다. 우빈산업은 대출금 100억원에 대해 채무불이행을 선언하고 부도를 내면서 지급보증 섰던 롯데건설에 보유지분 25%를 넘겼다. 지분양도는 롯데건설이 근질권(담보물에 대한 권리)을 행사해 채무를 대신 갚아주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우빈산업이 빠진 자리에 롯데건설이 들어오면서 현재 기준 빛고을 SPC 지분구조는 한양 30%, 롯데건설 29.5%, ㈜파크엠 21%, 허브자산운용사 19.5%로 재편된 상태다. 허브자산운용사는 롯데건설로부터 지분을 일부 양도받은 것으로 SPC 빛고을의 최대주주는 사실상 롯데건설인 셈이다. 나뉜 지분 콜옵션으로? 사업시행권과 시공권을 두고 롯데건설과 우빈산업, 한양과 케이앤지스틸이 궤를 같이 하면서 분쟁이 이어지고 있다. 쟁점은 우빈산업과 케이앤지스틸이 가진 지분이 최종적으로 누구의 소유냐는 것이다. 두 회사의 지분이 어느 쪽으로 움직이느냐에 따라 SPC 빛고을의 최대주주가 바뀔 수 있다. 케이앤지스틸은 우빈산업에 주금 대여금을 갚았으니 24%에 대한 주주권이 자사에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양은 SPC 빛고을 설립 과정서 우빈산업에 49억원의 출자금을 대여하면서 맺은 특별약정을 내세웠다. 해당 약정에 한양이 중앙공원 1지구 사업의 비공원시설 시공권을 전부 갖는데 우빈산업이 의결권을 행사한다는 항목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 우빈산업이 주도해 롯데건설로 시공사를 바꾼 것은 특별약정에 어긋난다는 설명이다. 광주지방법원은 케이앤지스틸과 한양이 각각 우빈산업을 상대로 제기한 소송서 모두 원고의 손을 들어줬다.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주주권 확인 소송서 승소 판결을 받았다. 우리가 SPC 주식을 실제로 소유한 주주라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한양 관계자도 “1심 법원은 우빈산업이 한양에게 490억원의 손해배상금을 지급하고 보유 주식 25% 전량을 양도하라는 판결을 내렸다”고 말했다. 반면 롯데건설은 소송 판결 한 달 전, 우빈산업의 지분을 인수해 최대주주(49%)가 됐다고 설명했다. 우빈산업이 한양에 양도할 주식이 남아 있지 않다는 것이다. 이 과정서 한양은 우빈산업의 ‘고의 부도’를 의심하고 있다. 한양은 1심 법원 판결을 근거로 자사가 지분 55%(한양 30%+우빈산업 25%)의 SPC 빛고을 최대주주라고 주장하고 있다. 다만 대법원서 한양에 ‘시공권이 없다’는 취지의 판결을 내놓으면서 시공자 지위는 잃게 됐다. 소송 이겨도 지위 잃었다 최근 SPC 빛고을 지분 갈등서 케이앤지스틸의 역할이 관심사로 떠올랐다. 케이앤지스틸은 상하수도 설비공사 업체로 2003년에 설립됐다. SPC 빛고을에 우빈산업과 함께 참여했다가 현재는 빠진 상태다.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전 대표가 우빈산업과 친분이 있어서 (SPC 빛고을에)참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현 사태서 롯데건설과 우빈산업은 이른바 ‘비한양파’로 묶여있다. 두 업체의 지분 이동도 비교적 명확히 드러나 있는 상황이다. 반면 케이앤지스틸과 한양은 두 업체 모두 우빈산업과 소송을 진행하면서도 서로 명확하게 선을 그었다. 한양 관계자는 “적(우빈산업)이 같을 뿐 특별히 관계가 있는 업체는 아니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한양의 모기업인 보성그룹 계열사에 속한 ‘앤유’라는 업체가 케이앤지스틸에 2022년 4월, 2억원을 빌려줬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앤유는 이기승 보성그룹 회장의 동생인 이점식씨가 지분 83.6%를 가지고 있는 친족회사다. 전기 조명장치 제조업체로 2007년에 설립됐다. 2022년 기준 매출은 28억2900만원, 영업이익은 3억300만원으로 확인된다. 한양과의 거래를 통해 27억7900만원의 매출을 올렸다. 앤유는 케이지앤지스틸에 2억원을 빌려주는 과정서 1주일짜리 주식근질권을 설정했다. 1주일 뒤 케이앤지스틸이 2억원을 갚지 못하면서 케이앤지스틸의 주식이 전부 앤유로 넘어온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또 1주일 뒤 케이앤지스틸의 대표이사를 비롯해 사내이사 3명 등 4명이 등기이사로 이름을 올렸다. 케이앤지스틸 수뇌부가 물갈이된 것이다. 당시 케이앤지스틸의 채무가 수십억원에 이를 정도로 적자가 누적된 상태였다고 해도 2억원을 갚지 못해 회사의 지배권을 넘겨준 것을 두고 석연찮은 의문이 일었다. 1주일이라는 짧은 주식 근질권 설정도 의문으로 떠올랐다. 보성그룹에 기생하는 ‘앤유’ 푼돈 주고 1주 만 회사 꿀꺽? 더 흥미로운 대목은 같은 해 5월 케이앤지스틸이 우빈산업에 주금 대여금 25억3000만원을 송금한 뒤 주주권을 주장하기 시작했다는 의혹이 동시에 불거진 점이다. 다시 말해 2억원을 갚지 못해 회사의 지분 100%를 앤유에 넘겨주고 한 달 만에 20억원이 넘는 돈을 융통해 SPC 빛고을 지분을 확보하려 했다는 의혹이다. 여기에 우빈산업을 상대로 한 주주권 확인 소송 등에 김앤장을 변호인으로 선임하면서 수임료에 대한 의혹이 추가로 제기됐다. 일각에서는 케이앤지스틸이 지분확보를 위해 사용한 자금 출처가 한양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한양 입장서 케이앤지스틸이 가지고 있는 지분을 확보하면 54%로 SPC 빛고을의 최대주주가 될 수 있다. 그렇게 되면 대법원 판결로 시공자 지위는 상실했지만 롯데건설에 넘어가 있는 시공권을 흔들 수 있는 상황이 생길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지분 갈등 구조가 롯데건설과 우빈산업, 한양과 케이앤지스틸로 정리되는 셈이다. 하지만 한양과 케이앤지스틸 모두 두 업체 간 모종의 관계 의혹에 대해서는 단호하게 선을 그었다. 한양 관계자는 “앤유라는 계열사가 있는지도 잘 몰랐다. 앤유서 케이앤지스틸에 2억원을 빌려줬다거나 주금 대여금을 대줬다는 의혹은 전혀 사실무근이다. 우빈산업서 (1심)소송에 져서 계속 근거 없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는 듯하다. 대응 가치를 느끼지 못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그보다 광주시가 우빈산업과 결탁해 여러 가지로 유리하게 상황을 봐주고 있다고 판단해 광주시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다. 광주시는 사업시행자이자 감독관청으로서 해야 할 일이 참 많은데 그런 일을 하지 않아 공모 제도가 다 무너졌다. 마땅히 해야 할 일을 하지 않은 광주시의 행정행위에 대해 소송을 제기해 재판이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석연찮은 자금 출처 케이앤지스틸 관계자는 한양이 주금 대여금을 대줬다는 의혹에 대해 “우빈산업서 하는 얘기”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 “새로운 주주가 들어와 투자가 이뤄지면서 주금 대여금을 갚은 것이다. 우빈산업에서는 (우리가)한양의 위장계열사 아니냐, 대표이사 선임 과정이 의심스럽다, 자금 출처가 어디냐 같은 의혹을 제기하는데 그건 주주권 확인 소송서 져서 그러는 것이다. 한양이랑 우리랑은 큰 관계가 없는데 자꾸 엮어서 흠집을 내려 한다”고 주장했다. 2022년 4월 회사가 어려운 시기에 케이앤지스틸 대표로 오게 된 이유에 대해서는 “이 사업이 잘 마무리되면 우리 회사에 300억원 정도의 수익이 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행이익을 1100억원으로 계산했을 때 우리 회사 지분이 24% 정도니까 그렇게 계산한 것이다. 수익성이 있다고 생각해서 회사를 맡게 됐고, 새로운 주주들도 그 사업성을 보고 투자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jsjang@ilyosis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