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균을 <홍길동전>의 저자로만 알고 있는 독자들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조선시대에 흔치않은 인물이었다. 기생과 어울리기도 했고, 당시 천대받던 불교를 신봉하기도 했다. 사고방식부터 행동거지까지 그의 행동은 조선의 모든 질서에 반(反)했다. 다른 사람들과 결코 같을 수 없었던 그는 기인(奇人)이었다. 소설 <허균, 서른셋의 반란>은 허균의 기인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파격적인 삶을 표현한다. 모든 인간이 평등한 삶을 누려야 한다는 그의 의지 속에 태어나는 ‘홍길동’과 무릉도원 ‘율도국’. <허균, 서른셋의 반란>은 조선시대에 21세기의 시대상을 꿈꿨던 기인의 세상을 마음껏 느껴볼 수 있는 장이 될 것이다.
“아니오, 그럴 것이 아니라 이제는 매창의 이야기를 들어봅시다. 고리타분한 나의 이야기는 잠시 접어두고 말이오.”
“사실 그 이후의 일은 드릴 말씀이 없사옵니다.”
“그 무슨 뜻이요.”
“그냥 일상의 연속이었지요.”
“촌은이 떠난 이후 지금까지 말이오.”
일상의 연속
“그러하옵니다.”
“허허, 그럴 리 있나.”
매창이 살며시 미소를 보였다.
“나리, 저는 달리 생각하고 있답니다.”
“달리라면.”
“돌이켜보니 지금 이 순간을 위해 그 오랜 인고의 시간이 필요하지 않았나 싶어집니다.”
“지금 이 순간이라.”
“나리를 만나려고 그 오랜 시간을 기다릴 수 있었던 것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옵니다.”
“그 말이 참으로 의미 있게 들리는구려.”
“말뿐만 아니오라 지금까지 지나온 과정을 생각하면 그것도 역시 소녀의 벗을 수 없는 운명이라 생각되옵니다.”
유희경을 떠나보내고 매창은 상심의 나날을 보내고 있었다.
비록 길지 않은 기간이었지만 매창의 마음 속속들이 유희경으로 가득 채워져 있었던 사실이 서서히 드러났다.
그러나 언제까지나 유희경의 환영에 사로잡혀 있을 수는 없는 노릇이었다.
그와 지내면서 한층 더 성숙된 시제를 발휘하기 시작했다. 그에게 시를 지어 한양으로 가는 손 편에 전한다.
自恨(자한) 스스로를 한하며
春冷補寒衣(춘냉보한의) 봄날 차서 엷은 옷 꿰매는데
紗窓日照時(사창일조시) 사창에 햇빛 비치고 있네
低頭信手處(저두신수처) 머리 숙여 손길 가는 대로 맡긴 채
珠淚滴針絲(구루적침사) 구슬 같은 눈물 실과 바늘 적시네
유희경 역시 매창을 그리워하기는 마찬가지였다. 부안으로 오는 손에 의해 유희경의 편지가 매창에게 전달된다.
懷癸娘(회계랑) 계량을 그리워하며
娘家在浪州(낭가재낭주) 그대의 집은 부안에 있고
我家住京口(아가재경구) 나의 집은 한양에 있어
相思不相見(상사불상견) 그리움 사무쳐도 서로 못보니
腸斷梧桐雨(단장오동우) 오동나무에 비 뿌릴 젠 애가 끊겨라
* 浪州(낭주) : 부안의 옛 지명
상심의 나날…시를 지어 한양으로
촌은 통해 위로 받고 싶었던 매창
“나리, 이 두 편의 시로 그 당시를 대신하겠어요.”
허균이 두 편의 시를 회상하며 생각에 잠겼다.
“그 정도까지 사무쳤건만 왜 직접 한양을 방문하려 하지 않았던 게요.”
“지금 생각하면 아마도 두려움 때문이지 않았나 싶습니다.”
“두려움이라.”
“죽어도 올라가기 싫었지요. 한양에 올라가면 아마도 지난번처럼…….”
서우관과의 경험에서 비롯된 결과다.
“촌은은 왜 그랬으리라 생각하오. 잠시 시간을 내서 내려올 수도 있었건만.”
“아마도 어머니에 대한 효성 때문이었지 않나 싶어요. 어머니를 오래 떠나 있을 수 없었던 모양이에요.”
“하기야, 그 위인이라면 충분히 이해가 가오. 워낙에 효자라.”
“그러니 그분을 그리면서 그리움의 꽃을 수없이 피우다가 지치곤 하였지요.”
“매창, 촌은을 어찌 생각하고 있소.”
“훌륭한 분이시지요. 길이 아니면 가지를 않는 분 말입니다.”
“그 훌륭한 사람을 망가트린 사람이 결국 매창 아니었소.”
매창이 웃었다.
“나리, 그러고 보면 연분이란 정해져 있는 모양이옵니다.”
“그래서 매창이 촌은과 어울린다는 말이요.”
“오히려 그 반대지요.”
“그 반대라.”
“소녀는 그분을 통해서 소녀의 한계를 뛰어넘어 보려 했었지요. 제 순탄하지 못한 삶을 평생 한결같이 살아온 그분을 통해 위로 받고 싶었는지도 모르옵니다.”
“매창의 삶을 촌은의 변하지 않는 일관성으로 위로 받는다.”
“그러하옵니다.”
허균이 고개를 끄덕거렸다.
자신이 살아 있음을 입증하려는 매창, 남의 간섭을 견뎌낼 수 없는 매창으로서는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인정하는 촌은의 포용력이 서로의 끊을 수 없는 연이 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매창이 그리워했던 아버지의 포근함에 생각이 귀결되고 있었다.
“결국 촌은과 헤어지고 그 상심을 혼자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었구려.”
“그분을 그리는 일 외에는 달리 할 수 있는 일이 없었지요.”
“그러다가 이귀 선배를 만나게 되었고.”
“그랬지요. 그즈음에 이웃 고을 김제 군수로 내려온 이귀 나리를 뵈었지요.”
“이귀 선배가 결국 매창을 상실의 늪에서 구해준 은인이로군요.”
“글쎄요, 그 분이 은인인지…….”
“혹시 나를 이름은 아니겠지요.”
“나리, 송구하옵니다.”
“송구하다니?”
“별 내용도 없는 이야기로 나리의 심사만 어지럽게 한 듯하옵니다.”
“원래 빈 수레가 요란한 법이라오. 매창의 경우는 주로 내면의 세계에 관한 일이니 당연히 조용할 수밖에 없지요. 나야 천방지축 세상을 떠돌아다니니 시끄럽고.”
“지나친 겸손의 말씀이시옵니다.”
“결국 다시 나의 이야기를 해보라 이 뜻이구려.”
매창이 그저 조용히 웃고 있었다.
“여하튼 형님을 따라 한양으로 올라가서 드디어 세상으로 발을 내딛었다오.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 사관이 되었다오.”
“드디어 조정으로 드셨군요.”
“그렇소, 그 아사리 판으로 드디어 입성하게 되었다오.”
“아사리 판이요?”
아사리 판으로
“방금 전에 이야기하지 않았소. 알량한 이익에만 목 매달고 이전투구를 일삼는 혼돈의 장 말이오.”
“나리, 진심으로 감사드리옵니다.”
“그건 또 무슨 소리요.”
“결국 그래서 소녀가 나리를 뵈올 수 있게 되었다 이 말씀이옵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