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균을 <홍길동전>의 저자로만 알고 있는 독자들이 많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조선시대에 흔치않은 인물이었다. 기생과 어울리기도 했고, 당시 천대받던 불교를 신봉하기도 했다. 사고방식부터 행동거지까지 그의 행동은 조선의 모든 질서에 반(反)했다. 다른 사람들과 결코 같을 수 없었던 그는 기인(奇人)이었다. 소설 <허균, 서른셋의 반란>은 허균의 기인적인 모습을 보여주며 파격적인 삶을 표현한다. 모든 인간이 평등한 삶을 누려야 한다는 그의 의지 속에 태어나는 ‘홍길동’과 무릉도원 ‘율도국’. <허균, 서른셋의 반란>은 조선시대에 21세기의 시대상을 꿈꿨던 기인의 세상을 마음껏 느껴볼 수 있는 장이 될 것이다.
스승 이달의 모습을 그리고 있을 즈음에 팔봉이 모습을 드러냈다.
정작 데려오라고 한 언년의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
허균의 시선이 팔봉의 얼굴 그리고 그 뒤를 유심히 살폈다.
“왜, 너 혼자 오는 게냐.”
“혹 떼러갔다가 혹 붙이고 오고 말았습지요.”
“뭐라고!”
혹 떼러 갔다가
“마님께서 급히 도련님을 모셔 오라고 하시던데요.”
“어머니께서.”
“어머니뿐만이 아니라 큰서방님도 함께요.”
“큰형님이 오셨다는 말이냐?”
“그렇다니까요.”
큰형 허성은 비록 배다른 형이지만 자신의 동생들을 애지중지했다.
과거급제가 늦어 최근에야 별시문과 병과로 급제해서 검열의 직위에 있었다.
둘째 형인 허봉보다 한참 늦은 출세였다.
“큰형님이 지금 어인 일이란 말이냐.”
“그건 도련님이 가서 알아보셔야지요.”
허균이 급히 자리에서 일어났다.
그 시간에 허성의 출현도 그러려니와 허성이 자신에 앞서 어머니를 찾은 일은 의외였다.
비록 허성에게도 어머니였지만 친어머니가 아니었던 관계로 항상 허균과 함께 만나고는 했었다.
허균이 내당으로 들었을 때 어머니와 큰형의 얼굴이 사색으로 변해있는 모습을 발견했다. 그 모습에 미처 인사도 건네지 못하고 머뭇거렸다.
“균아, 이리로 앉거라.”
허성의 목소리가 조금은 떨리고 있었다.
자리에 앉으면서 가만히 어머니의 얼굴을 바라보았다.
자세히 살펴보니 어머니의 눈가에 이슬이 고여 있었다.
그를 의식한 어머니께서 고개를 돌리면서 소매로 눈물을 훔쳐냈다.
균의 머릿속에 급격하게 누나의 모습이 스치고 지나갔다.
혹여 누나한테 무슨 일이 생기지 않았나 하는 불안감이었다.
저절로 한숨이 흘러나왔다.
항상 누나의 얼굴에 허균의 마음이 사로잡혀 있었다.
애처로운 누나의 환영, 차라리 어머니보다는 누나에 대한 절절함이 더욱 컸었다.
“균에게 말해주도록 해요.”
어머니는 비록 허성이 아들의 신분이었지만 함부로 하대의 표현을 하지 않았다.
“균아, 이야기 잘 듣거라.”
기어이 누나에게 일이 발생한 모양이었다. 그것도 작은 일이 아닌 큰일이 말이다.
균의 가슴이 철렁거렸다.
“너의 형이 말이다.”
형, 그럼 누나의 일은 아니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가슴이 다시 출렁거렸다.
누나 일이 아닌데 대한 안도감과 누나만큼 좋아하는 형의 일이었으니 말이다.
“형님이 왜요!”
지금 허봉은 창원에 부사로 내려가 있었다.
그 형에게 무슨 일이 생겼다는 말이었다.
갑자기 두려운 생각이 머리를 스치고 지나갔다.
바로 아버지에 대한 생각이었다.
지방에 내려가셨다가 집에 당도하시기도 전에 돌아가신 아버지에 대한 환영이었다.
“너의 형이 한양으로 압송되고 있다 하는구나.”
“네!”
이율곡 탄핵하려던 허봉…오히려 역탄핵?
허균·이달 걱정하는 허봉의 불같은 성정
아버지와는 다른 경우였다.
아버지는 병을 얻어 돌아오시다 봉변당했는데 허봉의 경우는 압송을 당한다고 했다.
“너의 형이 이율곡 대감을 탄핵했고 그게 일이 잘못되어 결국 한양으로 지금 압송당하고 있다고 하는구나.”
순간 스승 이달의 얼굴이 떠올랐다.
아버지와 형은 소위 동인으로, 이율곡은 서인으로서 서로 대립하고 있었다 했다.
바로 그 이유 때문에 형이 곤경에 처했을 것이라 생각했다.
“탄핵한 사람이 탄핵을 당했다고요!”
균이 생각할 때 이상한 경우였다.
이율곡이 잘못해서 탄핵을 건의 했으면 탄핵을 당한 당사자가 탄핵을 당해야 옳은 일이건만 오히려 탄핵을 건의한 형이 탄핵당해 압송되고 있으니 말이다.
“자세한 사항은 차차 알게 될 터이니 무릇 몸가짐과 말을 조심하도록 하거라.”
허성이 무겁게 입을 열었다.
그 분위기로 보아 더 이상 일에 대한 채근을 해볼 엄두가 나지 않았다.
급하게 머리를 회전했다.
그 자리에서 답답하게 앉아있느니 차라리 스승 이달을 만나 자초지종을 들어볼 일이었다.
허균이 공손하게 알았노라 답변하고 내당을 빠져나와 팔봉을 앞세우고 바로 저잣거리로 나섰다.
빨리 스승 이달을 만나보아야 한다는 생각으로 천민들이 거주하는 곳으로 서둘러 방향을 잡았다.
그러나 몇 걸음 옮기기도 전에 저만치 앞에서 균의 발걸음만큼 바쁜 걸음으로 자신을 향해 오고 있는 이달을 발견했다.
그 모습을 바라보자 순간 걸음이 멈추어졌다.
지금 이달의 경우도 저와 같은 이유로 저를 찾아오고 있음을 직감적으로 알아챈 때문이었다.
허균에게 다가선 이달이 숨을 몰아쉬고 있었다.
쉬지 않고 달려온 모양이었다.
“소식은 들었겠지!”
“그래서 지금 스승님께 가던 길이었습니다만.”
이달이 잠시 호흡을 고르고는 균의 손을 잡고 집으로 이끌었다.
균의 방으로 들어서자 급히 팔봉이 냉수를 떠왔고 조심스럽게 이달에게 권했다.
“스승님, 어찌 된 일인지요!”
마치 그 책임을 추궁하겠다는 듯이 급하게 물었다.
“이율곡과 가까운 성혼이 일을 벌인 모양이야.”
“성혼이라니오?”
다시 한 번 숨을 고른 이달의 입에서 일의 자초지종이 흘러나오기 시작했다.
김효원으로 대표되는 동인과 심의겸으로 대표되는 서인 간에 급격한 대립 양상을 보이자 이율곡과 노사신이 임금인 선조에게 건의하여 두 사람을 외지로 내보냈다.
김효원은 함경도 부령의 부사로 그리고 심의겸은 개성 유수로 임명하여 둘을 갈라놓았다.
당쟁의 핵심들을 떨어뜨려 그 싹을 잘라버리겠다는 의도였다.
그런데 이율곡의 경우는 정철 등 가까운 친구들이 서인 측에 많이 포진되어 있어 동인들의 의혹의 눈초리를 받았다고 했다.
그러던 중 이율곡이 병약해서 누워있는데 임금이 입궐을 명한 일이 있었다.
입궐하던 이율곡에게 갑자기 현기증 현상이 발생하여 입궐하지 않은 일을 두고 임금을 무시한 처사라고 동인들이 들고 일어났다.
동인들이 이율곡을 탄핵하라고 강력하게 치고 나갔다.
그러나 선조 임금은 그들의 요구를 묵살했다.
한편 이율곡은 자신의 죄를 정죄하여 처벌해줄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그도 선조의 이율곡에 대한 총애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그를 틈타 이율곡의 가까운 친구인 성혼이 나서서 이율곡을 공격하는 무리들을 탄핵해줄 것을 요청하자 그에 임금이 이율곡이 아닌 허봉 등의 동인을 탄핵하기에 이르렀다.
“스승님, 그러면 형님은 어찌 처리되는지요.”
이달이 호흡이 정리되었음에도 깊게 한숨을 내쉬었다.
“대역죄가 아닌 만큼 커다란 벌이야 받겠냐마는…….”
“그런데요!”
이달이 다시 한 번 한숨을 내쉬었다.
“너의 형이야 유배 정도에서 머물겠지만 정작 문제는 너의 형의 성정 아니겠니.”
“형님의 성정이요!”
“자신이 불의라고 생각하는 일에는 목을 내놓고 거부하는 너의 형의 성정으로 보아 이 일이 그리 간단하지만은 않을 듯하구나.”
가만히 형을 그려보았다.
허봉의 성정
“그렇다면!”
“유배와는 별도로 작금의 상황에 대해 너의 형이 차후에 어떻게 받아들일지 그것이 걱정이로구나.”
형이 분을 삭이지 못하는 모습이 그려지고 있었다.
형은 아마도 작금의 일을 결코 용납하지 못할 것이라고 허균도 생각하고 있었다.
형의 모습을 그리며 이달의 얼굴을 바라보았다.
그 얼굴 위에 언년의 모습이 교차하고 있었다.
<다음 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