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김정수 기자 = 세코그룹은 중견 자동차 부품 제조사다. 현재 오너 일가는 그룹 ‘꼭대기’에 위치해 있다. 승계의 무게추는 3세로 향하는 모양새다. 배기욱 전무는 개인회사를 통해 그룹 지배력을 확보할 전망이다.
세코그룹 창업주는 고 배창수 회장이다. 기아자동차를 세운 고 김철호 회장의 사위로 장인에게 부품회사를 물려받았다. 세코그룹의 모태는 서진산업. 오너 2세 배석두 회장은 지난 1990년부터 2004년까지 이곳의 대표를 맡았다. 배 회장의 손을 거친 세코그룹은 현재 2개 상장사를 포함, 20개 계열사를 거느린 중견그룹으로 우뚝 섰다.
차기 회장은
배기욱 전무?
세코그룹은 자동차 부품 분야서 한 걸음 더 나아갔다. 경영·IT 컨설팅을 비롯해 저축은행 등 금융업으로 영역을 넓혔다. 물론 그룹 주력사는 자동차부품 관련 계열사다. 서진오토모티브와 에코플라스틱이 대표적이다. 이들은 세코그룹의 상장사로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액은 모두 2조원에 달한다.
다만 두 곳 모두 124억원, 37억원의 영업손실을 봤다.
실적은 개선될 조짐이다. 호전세가 비교적 뚜렷하기 때문이다. 서진오토모티브와 에코플라스틱의 올해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매출액은 각각 6900억원, 5900억원이다. 지난해 상반기 매출액서 각각 800여억원씩 증가한 수치다.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은 51억원과 6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52억원, 28억원의 손실과 결이 달랐다.
배 회장과 오너 3세 배기욱 전무는 개인회사로 그룹 전체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우선 배 회장은 계열사와 개인지분으로 ‘인베스터유나이티드’를 쥐고 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배 회장은 ‘연합’ 지분 51.5%를 보유하고 있다. 다시 연합은 인베스터유나이티드 지분 26.03%를 소유하고 있다. 배 회장은 개인적으로 인베스터유나이티드 지분 59.8%를 갖고 있기도 있다. 인베스터유나이티드가 배 회장의 개인회사라는 분석이 나오는 배경이다.
‘배 회장→연합→인베스터유나이티드’로 이어지는 구조다. 인베스터유나이티드는 종속회사로 오투저축은행(98.27%)과 흥국저축은행(100%)을 두고 있다.
기아차 창업주 사위 차 부품회사 시작
20개 계열사 중견그룹 ‘쑥쑥’ 성장 중
배 전무에겐 ‘미보기아’라는 개인회사가 있는데 지분이 100%다. 미보기아는 ‘서진캠’ 지분 27.34%를 보유 중이다. 더불어 100% 자회사 ‘세코홀딩스’가 지분 11.1%로 서진캠에 자리를 텄다. 배 전무의 서진캠 지배력이 강화된 셈이다. ‘배기욱→미보기아(→세코홀딩스)→서지캠’의 구조다.
서진캠은 100% 종속회사로 ‘에스제이홀딩스’를 뒀다. 다시 에스제이홀딩스는 ‘서진산업(62.50%)’으로, 서진산업은 ‘영풍기계(100%)’로 이어진다. ‘서진캠→에스제이홀딩스→서진산업→영풍기계’ 등이다. 결국 ‘배 전무→미보기아(→세코홀딩스)→서지캠→에스제이홀딩스→서진산업→영풍기계’의 구조가 구축됐다는 분석이다.
배 회장의 인베스터유나이티드와 배 전무가 미보기아를 통해 지배하는 서진캠은 핵심 계열사 ‘서진오토모티브’의 지분을 갖고 있다. 인베스터유나이티드는 20.40%, 서진캠은 21.29%다. 서진오토모티브는 그룹의 핵심으로 꼽힌다.
서진오토모티브는 주력사 ‘에코플라스틱’ 지분 40.77%를 쥐고 있다. 다시 에코플라스틱은 ‘코모스(69.52%)’와 ‘아이아(100%)’를 지배하고 있다. ‘서진오토모티브→에코플라스틱→코모스, 아이아’의 구조다. 애코플라스틱과 코모스는 모두 해외 법인 종속회사를 품고 있다. 에코플라스틱은 미국에, 코모스는 인도·미국·체코·베트남에 법인을 세웠다.
개인회사
그룹 지배
배 전무는 미보기아를 통해 서진캠을 간접적으로 지배하고 있다. 서진캠 이하 계열사는 범위에 포함된다. 서진캠은 서진오토모티브의 2대주주다. 서진캠이 서진오토모티브의 최대주주가 된다면, 서진오토모티브 이하 계열사들에게도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 동시에 배 전무의 그룹 장악력도 강화될 것이란 분석이 가능하다.
배 전무가 처음부터 그룹 계열사 임원으로 모습을 드러낸 건 아니다. 그는 독일 메르세데스 벤츠에서 근무했다. 그러다 지난 2016년 서진캠 분기보고서에서 상무로 등장했다. 2017년 분기보고서에는 전무로 이름을 올렸다. 1년 만에 상무에서 전무로 ‘초고속’ 승진한 것이다.
3세 승계가 가시권에 들어온 시기는 이보다 앞선 2012년이었다. 당시 배 전무의 개인회사 미보기아는 신주인수권부사채(BW) 워런트를 행사, 서진캠 지분을 크게 늘렸다. 지분은 1.3%서 19.6%로 수직 상승한 뒤, 27.34%로 서진캠의 최대주주 자리를 차지했다.
배 전무의 개인회사 미보기아는 매출을 그룹 차원서 보장받고 있어 눈길을 끈다. 미보기아는 지난 2003년 설립된 자동차 부품 제조·판매 영위 사업체다. 2011년부터 회계법인 감사를 받았다.
당시 매출액은 136억원으로 50억원(36.77%)이 계열사 내부거래를 통해 나왔다. 전체 내부거래액 50억원서 49억원이 서진캠서 비롯됐다.
매출 절반
그룹서
2012년 이후에도 서진캠의 역할이 돋보였다. 2012년은 미보기아가 서진캠의 최대주주가 됐던 때이기도 하다. 미보기아는 당시 199억원의 매출을 기록했고, 서진캠서만 84억원의 매출이 발생했다. 비중은 42.37%였다.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미보기아는 꾸준히 서진캠의 ‘도움’을 받았다. 전체 매출액도 덩달아 늘었다.
미보기아의 매출액과 내부거래 매출액, 내부거래 비중 등을 차례로 살펴보면 ▲2013년(243억원-111억원-45.95%) ▲2014년 (229억원-137억원-59.95%) ▲2015년 (235억원-135억원-57.73%) ▲2016년 (239억원-140억원-59.97%) ▲2017년 (202억원-99억원-48.94%) ▲2018년 (229억원-137억원-59.95%) 등이었다.
2013년부터는 매출처가 늘었다. 여러 기타 특수관계자들이 미보기아 매출에 관여했다. 동화, 인베스터유나이티드, 두리, 서진기차배건유한공사, 넵스테크놀러지 등이 차례로 이름을 올렸다. 다만 그 규모는 미미했다. 서진캠의 역할이 압도적이었다.
미보기아는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단 한 차례도 영업손실을 기록하지 않았다. 미처분이익잉여금은 2011년 67억원서 계속 쌓이기 시작했고, 지난해 215억원까지 늘었다.
미보기아는 그룹 차원서 벌어들인 매출로 현금 배당을 실시했다. 현금 배당은 지분 100%의 배 전무에게 모두 돌아갔다.
배당은 2012년부터 시작됐다. 초기 배당액은 7억원. 당시 당기순이익은 23억원으로 배당성향은 29.9%였다. 이듬해인 2013년에는 3억원으로 줄었다. 당기순이익 37억원에 배당성향 8.0%였다.
개인회사 통해 그룹 지배력 행사
내부거래 매출로 배당까지 챙겨
배당은 계속됐다. 2014년부터 배당금액과 당시 당기순이익, 배당성향 등을 살펴보면 ▲2014년 (3억원-21억원-13.7%) ▲2015년 (3억원-25억원-11.90%) ▲2016년 (3억원-35억원-8.36%) ▲2017년 (3억원-15억원-19.72%) ▲2018년 (2억원-20억원-10.00%) 등이었다. 배 전무는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모두 25억원의 배당금을 수령했다.
한편 배 회장의 개인회사 인베스터유나이티드 역시 그룹 차원서 일정 수익을 올렸다. 인베스터유나이티드는 기업구조조정 전문회사로 시작했다가 경영 컨설팅으로 종목을 변경했다.
인베스터유나이티드 매출은 컨설팅수익과 기타 매출, 지분법이익으로 나뉜다. 이 중 컨설팅 수익처는 그룹 계열사들이다. 지난해 인베스터유나이티드 컨설팅수익은 13억2800만2200원이었다. 서진오토모티브·서진산업·서진캠·코모스·에코플라스틱·아이아·티피에스가 영업수익 13억2875만7000원을 올려줬다.
티피에스서 발생한 매출 75만5000원은 특수관계자 공시에선 영업수익으로 잡혔지만, 손익계산서에는 기타매출로 적시됐다.
2017년에도 다르지 않았다. 인베스터유나이티드는 컨설팅 수익 12억9600만원을 기록했다. 서진오토모티브부터 아이아까지의 계열사와 미래아이엔텍에서의 영업수익이었다. 미래아이앤텍서 발생한 영업수익은 기타매출로 처리됐다.
수익 구조
눈길 솔솔
특수관계자 등의 영업수익이 전체 매출서 차지하는 비중은 10% 미만으로 크지 않았다. 다만 그 이전에는 매출 100%가 계열사서 발생했다. 2016년 서진오토모티브부터 아이아까지 총 6개의 계열사서 2억3900만원씩 수익이 발생했다. 모두 14억3400만원이었다. 당시 인베스터유나이티드의 전체 매출이다. 2015년에도 매출 전액이 동일한 6개 계열사서 비롯됐다. 각각 1억6200만원씩 총 9억7200만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