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트&아트인> ‘진채화의 거장’ 박생광

인생 그대로 자연 그대로 예술 그대로

[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대구미술관이 색채의 마술사로 불렸던 고 박생광의 회고전을 연다. 대구미술관은 매년 한국 근현대미술의 거장을 재조명하는 전시를 열고 있다. 지난해에는 김환기의 전시로 전국적인 관심을 모았다.
 

▲ 해질녘, Sunset, 1979, 수묵채색, Ink&Color on paper, 137x140cm

박생광 작가는 진채화의 거장으로 불린다. 1980년대 단색조의 모노크롬이 주류를 형성하고 있던 때, 박생광은 민화 등에서 발견한 토속적 이미지들을 단청의 강렬한 빛깔로 그려내 한국 화단을 놀라게 했다.

독자적 화풍

그는 1980년대 초반 민화와 불화, 무속화 등에서 발견한 전통적 이미지를 화폭에 담았다. 오방색을 사용한 강렬한 색채와 수묵, 채색을 혼합한 독창적 기법으로 한국 화단에 새로운 바람과 충격을 불러일으켰다. 그는 생애 말까지 여러 걸작을 쏟아내며 한국 채색화의 새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박생광의 작업세계는 크게 유학 시기, 모색 시기, 실험 시기, 독창적 화풍 정립 시기로 나뉜다. 이번 전시는 박생광이 독창적인 화풍을 찾기 위해 분투하며 다양한 실험을 시도한 시기부터 그대로 화풍전개 시기까지 총 162점의 작품을 조명한다.

그대로는 박생광의 한국식 호다. 인생 그대로, 자연 그대로, 예술 그대로라는 본연의 삶을 체험하고자 하는 뜻을 담고 있다. 그대로 화풍은 박생광만의 독자적인 채색화풍을 일컫는다.


이번 전시에는 그동안 공개되지 않았던 박생광의 드로잉이 다수 소개된다. 박생광의 탐구정신과 조형 감각을 감상할 수 있다. 또 생전 에피소드, 작품세계 등을 담은 미술계 인터뷰 영상도 상영해 관람객들의 이해를 돕는다.

김환기 이어 대규모 회고전
전통 이미지, 강렬한 색채로

전시는 박생광이 집중해서 그렸던 소재와 주제별로 변화 과정을 살펴보는 방식으로 구성했다. 토속적인 한국성과 무속성을 반영한 독창적인 작업을 재조명하고 그가 정립하고자 했던 한국 정체성이 담긴 회화가 무엇인지 고찰한다.

민화에서 찾은 소재에서는 자연 속 소재인 동물, , 식물을 그린 작품을 만날 수 있다. ‘꽃과 여인, 민족성에서는 그가 주로 그렸던 모란, 이브2, 단군 등의 작품을 마주할 수 있다. ‘민족성의 연구주제를 담은 섹션에서는 청담대사, 토함산 해돋이 등 불교, 민속적 소재인 탈, 한국 전통적 소재들을 주제로 한 작품과 피리 부는 노인이라는 뜻의 노적도를 만날 수 있다.

노적도는 박생광이 후두암 선고를 받고 생애 마지막으로 그린 작품이다. 미완성으로 끝난 작품 속 노인은 작가 자신이다. 투병 중에도 대작의 역사 인물화를 그린 박생광은 삶의 모든 한을 내려놓겠다는 의미로 작품 속에 자신을 해학적으로 담아냈다.
 

▲ 토함산 해돋이, 1980년대, Ink&Color on paper, 74.5x76cm

무속성서 민족성 찾기에서는 박생광의 1980년대 대표 작업인 무속 시리즈 중 13점을 공개한다. 박생광은 기층민의 삶에 오랫동안 자리 잡고 있는 무속신앙에 집중해 굿, 무당, 부적 등의 요소를 화면에 담았다. 이 시리즈를 통해 그랑 팔레 르 살롱-85’에 초대되는 등 게르니카를 완성한 피카소에 비견되며 국제적으로 큰 관심을 받았다.

풍경과 드로잉을 주제로 한 전시장에서는 1950년대부터 1980년대 초반까지 그린 풍경과 유물, , 동물을 소재로 한 드로잉을 대거 전시한다. 관람객들은 풍경 드로잉을 통해 박생광의 화풍 변화를 느낄 수 있다.


미공개 드로잉

전시를 기획한 김혜진 대구미술관 학예연구사는 박생광은 한국 근현대미술사에 있어 재해석할 필요가 있는 의미 있는 작가라며 전시와 더불어 대구 오페라하우스와의 렉처 콘서트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박생광의 삶과 작업세계를 이해하는 시간을 마련했다고 전했다. 전시는 1020일까지.


<jsjang@ilyosisa.co.kr>

 

[박생광은?]

▲ 1904년 경남 진주 출생
▲ 1923(20교토시립 회화 전문학교 입학 
▲ 1932
(29도쿄 긴자도호에서 개인전, 대상에 대한 치밀하고도 사실적인 묘사 방식은 이후 화풍에 많은 영향을 미침
▲ 1945(42귀국
▲ 1954(51한라산을 그린 <녹담만설> 제작
▲ 1958(55) <월벽> 제작, <월야>와 같은 실험적 의식이 돋보이는 작품으로서 초기 추상적인 느낌을 동반하고 있음. 강하게 나누어진 흑색 선면과 백자처럼 상징화된 달의 주제표현이 눈에 띔
▲ 1967(64) <여의주> 제작. <한라산>과 함께 이 시기 대표적인 특징을 엿볼 수 있음
▲ 1978(75)이때부터 진정한 민족적 소재를 찾아 나서게 됨. 많은 역사학자들에게 자문을 구해 민족사에 대한 서적을 탐독함
▲ 1985(82대표작 <전봉준> 완성. <역사의 줄기> 등을 제작
▲ 향년 82
세로 별세
 



배너






설문조사

진행중인 설문 항목이 없습니다.



대선후보 교체? 김문수<br> “법적·정치적 책임 묻겠다”

대선후보 교체? 김문수
“법적·정치적 책임 묻겠다”

[일요시사 취재2팀] 김준혁 기자 = 국민의힘 지도부가 대선후보 교체를 강행한 데 대해 10일, 김문수 후보가 “불법적이고 부당한 후보 교체에 대한 법적·정치적 조치에 즉시 착수하겠다”며 강력히 대응을 예고했다. 김 후보는 이날 여의도 선거캠프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야밤에 정치 쿠데타가 벌어졌다. 대한민국 헌정사는 물론이고 전 세계 역사에도 없는 반민주적 일이 벌어졌다”며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회는 국민과 당원의 선택을 받아 정당하게 선출된 저 김문수의 대통령 후보 자격을 불법적으로 박탈했다”고 밝혔다. 이어 “당헌에 의하면 대통령후보는 전당대회 또는 그 수임 기구인 전국위원회서 선출하게 돼있는데 전국위원회가 개최되기도 전에 아무런 권한이 없는 비상대책위원회는 후보 교체를 결정해 버렸다. 이는 명백한 당헌 위반”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당 지도부는 제가 후보로 선출되기 전부터 줄곧 한덕수 예비후보를 정해 놓고 저를 압박했다”며 “어젯밤 우리당의 민주주의는 죽었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저는 대한민국의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투쟁을 계속 할 것”이라며 “우리가 피와 땀으로 지켜 온 자유민주주의의를 반드시 지키겠다. 국민 여러분, 저 김문수와 함께해달라”고 호소했다. 실제로 김 전 후보 측은 이날 중으로 서울남부지방법원에 대통령 후보자 취소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낼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김 후보가 시간 끌며 단일화를 무산시켰다”며 “당원들의 신의를 헌신짝같이 내팽개쳤다”고 주장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 국회 기자회견을 통해 “이재명 독재를 저지할 수 있는 경쟁력 있는 후보로 단일화해서 기호 2번 국민의힘 후보로 세워야 한다는 게 당원들의 명령이었다”며 “우리 당 지도부는 기호 2번 후보 단일화를 이루기 위해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했다”고 반박했다. “김 후보께 단일화 약속을 지켜주실 것을 지속적으로 간곡히 요청드렸고 저를 밟고서라도 단일화를 이뤄주십사 부탁했다”는 권 비대위원장은 “하지만 결국 합의에 의한 단일화는 실패하고 말았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너무나 안타깝고 가슴이 아프다. 단일화는 누구 한 사람, 특정 정파를 위한 정치적 선택이 아니다. 누구를 위해 미리 정해져 있던 것도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국민의힘 비대위는 읍참마속의 심정으로 뼈아픈 결단을 내릴 수밖에 없었다”며 “비대위는 모아진 총의와 당헌·당규에 따라 김 후보 자격을 취소하고 새롭게 후보를 세우기로 결정했다”고 부연했다. 앞서 당 지도부는 이날 새벽 비대위와 경선 선거관리위원회를 열고 한 예비후보를 대선후보로 재선출하는 절차에 착수했다. 이날 오후 9시까지 진행되는 당원 투표를 거쳐 오는 11일 전국위원회 의결을 마치면 대선후보 교체가 이뤄질 예정이다. 일각에선 번갯불에 콩 구워 먹듯이 이뤄졌던 이번 국민의힘 지도부의 대선후보 교체를 두고 절차적 정당성 등의 다양한 뒷말이 나오고 있다. 치열한 경선 과정을 통해 최종 후보로 선출돼있는 공당의 후보를 두고, 당 지도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무소속의 예비후보와 단일화를 시도하려는 것 자체가 상식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이 외에도 후보 접수도 이날 새벽 3시부터 4시까지 단 한 시간만 받았던 점, 한 후보가 32개에 달하는 서류를 꼭두새벽에 접수했다는 점 등은 쉽게 납득이 가지 않는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이양수 선관위원장은 이날 당 홈페이지를 통해 “당헌 74조 2항 및 대통령 후보자 선출 규정 제29조 등에 따라 한 후보가 당 대선후보로 등록했다”고 공고했다. 앞서 이 선관위원장은 김 후보의 선출을 취소한다는 공지와 후보자 등록 신청을 공고했다. 김 전 후보와 한 후보는 후보 단일화 문제로 극명한 입장 차이를 보여왔다. 지난 1차 회동에 이어 지난 7일, 서울 여의도 모처서 가졌던 2차 긴급 회동서도 단일화 방식 등 룰에 대해 논의를 시도했지만,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끝내 결렬됐다. 그러자 이날 권성동 원내대표는 “단일화 없이 승리는 없다”며 국회 원내대표실 앞에서 단식농성에 돌입했다. 권 원내대표는 “두 후보 간의 만남이 아무런 성과 없이 끝났다”며 “후보 등록이 11일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오늘(7일)은 선거 과정서 혼선을 최소화할 수 있는 마지노선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선거가 불과 27일 남았다. 이제 남은 시간이 없다”며 “이재명 세력은 공직선거법상의 허위 사실 공표죄를 사실상 폐지하고 대법원장 탄핵까지 공언하면서 대한민국 헌정 질서의 마지막 숨통까지 끊어버리려고 한다. 반면 우리는 단일대오조차 꾸리지 못하고 있다”고 자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