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인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이에 즈음하여 당 고종은 말갈군과 함께 대규모 군단을 파견하기에 이른다.
이에 신라는 장군 의춘과 춘장 등으로 대방(帶方, 황해도 봉산 일대) 들판에서 적을 맞아 싸우게 했으나 대패하고 말았다.
그 전투에 원술은 비장으로 출전했는데 패전 책임을 지고 죽기로 싸우고자 했으나, 주변에서 후일을 기약하자며 한사코 말리는 통에 죽지 못하고 살아 돌아왔다.
원술의 패퇴
“어쩌시려고 일어나시는지요.”
“아니 될 일이야.”
“정신 차리세요, 대장군!”
흡사 실성한 듯 중얼거리는 유신의 모습을 보며 덜컥 겁이 났는지 지소부인의 목소리가 순간적으로 올라갔다.
이어 문이 열리면서 유신의 첫 부인인 영모와의 사이에서 낳은 딸 영광이 방으로 들어섰다.
영광의 남편이었던 화랑 반굴이 황산벌 전투에서 전사하자, 조정의 배려로 궁궐 가까운 곳에 거처를 마련해 거주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에 배다른 동생 원술의 소식을 접하고 곧바로 친정을 찾아, 지소부인에게 소식을 전했던 터였다.
“아버지!”
영광이 방으로 들어서면서 온몸을 떨고 있는 유신의 모습을 살피며 급히 다른 한쪽을 부축했다.
“가자꾸나.”
“가시다니요.”
“궁궐로 가자꾸나.”
“궁궐이오?”
“그래, 궁궐로.”
영광이 지소부인의 눈치를 살폈다.
“이 몸으로 궁이라니요?”
“가서 석고대죄해야지.”
석고대죄를 언급하며 유신이 힘들게 팔을 들어 영광의 어깨를 감쌌다. 지소부인이 유신과 영광을 번갈아 살피며 유신의 마음을 헤아리는 모양으로 잠시 침묵을 지켰다가는 밖을 향해 차비하라 일렀다.
이어 영광과 함께 유신의 의관을 바로하게 하고 천천히 방을 나섰다.
밖으로 나서자 하인들이 신속하게 가마를 준비해놓고 있었다.
“아버지, 가마에 오르시지요?”
영광이 하인들에게 신호를 주자 급히 유신 곁에 가마를 대령했다.
“죄인인 내가 무슨 염치로 가마에 오른다는 말이냐.”
“대장군!”
지소부인이 유신의 마음을 읽었는지 순간 오열을 터트렸다. 유신이 그를 모른 체하고 천천히 걸음을 옮기자 지소부인과 영광이 함께 걸음을 놓기 시작했다.
“부인은 예 있으시오. 내 혼자 다녀오리다.”
“그럴 수는 없는 일이지요. 어찌 대장군 혼자만 죄인이랍니까. 어미인 저는 별개라는 말씀입니까?”
“부인이 무슨 죄가 있다고. 이는 전적으로 내 책임이오.”
지소부인이 막 뭐라 하려다가 입을 닫았다. 그 모습을 유신이 애틋한 시선으로 바라보았다.
“어머니는 아버지 말씀대로 집에 계시지요. 제가 모시고 다녀오도록 하겠습니다.”
얼추 나이가 비슷해 보이는 영광이 다소곳하게 말을 이었다.
지소부인이 유신과 영광의 얼굴을 번갈아 바라보다 힘없이 유신을 잡은 팔을 놓았다.
“얘야.”
김유신, 힘든 몸을 이끌고 궁궐로
영광과 함께하며 옛일을 상기하다
“말씀하세요, 아버지.”
힘들게 길을 가는 중에 유신이 고개를 돌려 자신을 부축하고 있는 영광을 바라보았다.
“네 서방 일 말이다. 이 아비를 이해할 수 있겠느냐?”
영광이 답에 앞서서 잠시 저 멀리 하늘을 바라보았다. 그 시선을 유신도 따라갔다.
“처음에는 아버지를 이해하기 힘들었어요.”
“그랬겠지.”
영광의 남편인 반굴이 황산벌 전투에서 처절하게 죽임을 당했다.
그것도 자신의 의사에 의해서가 아니라 반강제적으로. 그러니 당시 어린 나의의 영광으로서는 남편을 죽음으로 몰고 간 시아버지며 작은 아버지인 흠춘과 아버지 김유신을 이해하기 힘들었다.
그러나 후일 시간이 흘러 남편의 죽음이 신라군의 승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인지하게 되자, 그를 자랑스럽게 여기게 되었다.
아울러 당시에 두 사람의 고뇌 역시 심도 깊게 헤아리게 됐다.
“한편 생각하면 이 아비가 네게 너무나 커다란 죄를 지었다는 생각이 들어.”
“아니에요, 아버지. 당시 아버지 마음은 어떠했겠어요.”
답을 하는 영광의 목소리가 가느다랗게 떨렸다.
“네가 이 못난 아비의 마음을 헤아렸었구나.”
“그런 말씀 마세요. 아버지는 신라의 영웅이신 걸요.”
영웅이라는 소리에 유신이 희미하게 미소 지었다.
“진심이냐?”
“당연하지요. 아버지께서 계시지 않았더라면 오늘의 신라가 가당키나 하겠어요?”
“오늘의 신라라! 얘야.”
막상 영광을 불러놓고 유신은 고개를 들어 저 멀리 북녘 하늘을 바라보았다. 영광 역시 답을 하지 않고 아버지의 시선을 따라갔다.
“이 아비는 말이야. 이 아비는 생전에 우리 민족의 통일을 보고 싶었구나. 오늘의 신라가 아닌, 내일의 우리 민족을 위해서.”
영광이 무슨 말인지 이해되지 않는다는 듯 유신의 얼굴을 주시했다.
“얘야.”
“말씀하세요, 아버지.”
“이 아비가 너무 오래 살았지?”
“그게 무슨 말씀이세요?”
갑작스런 질문에 영광의 눈이 동그랗게 변해갔다.
“이 아비가 생각해도 너무 살았어. 이미 아비와 함께했던 많은 사람들이 유명을 달리했는데 아직 살아있으니. 그러나 지내놓고 보니 그저 한순간에 지나지 않는구나.”
“오래 사셔서 반드시 민족의 통일을 보셔야지요.”
“그래야 하는데, 암 반드시 그리되어야 하는데.”
답을 하는 유신이 일순간 영광에게 기울었다.
순간 유신을 잡고 있는 영광의 팔에 힘이 들어갔다. 이어 유신의 이마에서 희미하게 땀이 흘러내리기 시작했다.
“가마를 대령하도록 할까요?”
“왜, 힘이 부치는 게냐?”
“힘에 부치다니요, 아버지인데.”
“말만 들어도 고맙고 힘이 나는구나.”
“그런데 아버지.”
“말해보거라.”
“왜 어머니를 제치고 저와 함께 이 길을 가시는지요.”
유신이 가던 길을 멈추고 가만히 영광의 얼굴을 주시했다. 영문을 알 리 없는 영광이 눈을 깜박였다.
“네 모습을 바라보니 당당하게 전장으로 향하던 내 사위며 조카인 반굴의 모습이 그려지는구나.”
“그래서…….”
뒤돌아보다
“그런데 네 동생 원술은…….”
“단순히 원술의 잘못은 아니잖아요.”
“이 아비는 우리 민족이 아닌, 당나라 군사에 패하고 목숨을 부지하고 있다는 사실 자체로 용납하기 힘들구나.”
힘들게 말을 마친 유신이 고개를 들어 다시 저 멀리 북녘 하늘을 바라보았다.
하늘에 두둥실 떠있는 구름이 마치 연개소문이 오지 말라 손을 젓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끝>
(그 동안 <삼국비사>를 애독해주신 독자 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