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인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그렇게 처신하면 의미가 없지.”
“하면 달리 방도가 있습니까?”
“이 사람아, 이왕에 항복하는 거면 뭔가 그럴 듯한 명분이 있어야 할 거 아닌가. 이대로 나가서 항복하면 목숨은 구하겠지만 우리는 그저 일개 포로에 지나지 않네.”
신성이 묘한 표정을 짓자 두 사람이 가까이 다가섰다.
“요묘, 자네가 수고 좀 해주게.”
“수고라니요?”
내통하다
“오늘 밤을 틈타 당나라 장수인 글필하력에게 우리의 뜻을 타진해보게.”
“소장이오?”
“저들과 날을 맞추어 우리가 북문을 열겠다고 전하란 말일세. 그들이 무사히 성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요묘가 그제야 신성의 말을 새겨들었는지 표정을 밝게 했다. 그 모습을 살피며 신성이 즉각 자리를 떠서 두려움에 사로잡혀 있는 병사들에게 일기당천의 각오로 결사항전을 독려하기 시작했다.
그 모습을 바라보던 오사와 요묘 역시 신성과 마찬가지로 수하 병사들에게 다가갔다.
“장군, 어떠하오?”
“이제 좀 견딜 만합니다.”
해가 지고 어둠이 막 깔리기 시작할 무렵이었다.
당나라 군사와 신라군의 합치로 잠시 소강상태를 보이는 틈을 타 남건이 부상을 치료받고 있는 검모잠을 찾았다.
언제 왔는지 소형(小兄, 중급 관리)인 다식이 곁에서 간호 중이었다.
“정말이오?”
“평생 전쟁터만 돌던 무골이라 그런지 그 짧은 시간에도 몸 상태가 급속하게 호전되고 있습니다.”
다식이 대신 대답하자 남건이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차후야 어찌되었든 그만하길 다행입니다.”
“그저 막리지께, 그리고 돌아가신 연개소문 대감께 면목 없습니다.”
“면목이라니요, 우리의 운명인 게지요.”
“운명이라 하였습니까?”
“그렇소. 아버지께서 생전에 주셨던 말씀이라오.”
“그런 일이 있었습니까?”
“우리 민족의 뿌리를 반드시 찾고자 하셨으나, 이 시점 저들의 강성한 기운과 서로 마찰을 일으키고……. 그러니 운명으로 돌려야지요.”
검모잠이 운명을 되뇌며 시선을 돌렸다.
“막리지 대감, 운명도 운명이지만 작고하신 대감의 비중이 이렇게 클 줄 몰랐소.”
“그러게 말이오. 아버지 생전에는 몰랐는데 돌아가시고 나니까 바로 붕괴되니. 나름 자신을 가지고 있었으나 저는 아버지의 그림자도 쫓을 수 없는 존재임을 알았소.”
“아니오. 연개소문 대감께서는 그 역시 운명으로 생각하실 겝니다. 그런 연유로 기꺼이 당나라로의 여행을 떠나셨고. 그래서 그곳에서 생을 마감하셨고요.”
“그럴까요?”
“당연하지요. 막리지 대감과 형제 분들과의 운명이 다르듯이. 여하튼 연개소문 대감께서 막리지 대감의 모습에 저승에서라도 흡족해하실 것입니다.”
“고맙소, 장군.”
남건이 검모잠의 손을 잡고 잠시 눈시울을 붉히고 있는 중에 황급하게 수하 병사가 달려왔다.
“대감, 큰일 났습니다!”
“큰일이라니!”
신성·오묘, 당나라에 북문을 열어주다
당나라의 야욕…신라까지도 집어삼키려
남건이 본능적으로 몸을 일으켰다.
“북문이 열리고 당나라와 신라 군사들이 물밀듯이 쳐들어오고 있습니다.”
“뭐라, 북문이라면 신성이 방어하는 곳이 아니던가.”
“북문을 방어하던 신성은 물론 그의 부장인 오사와 요묘의 행방 역시 묘연합니다.”
“그렇다면 이놈들이!”
말을 하다 말고 남건이 검모잠을 주시했다.
“장군, 이제 길지 않은 삶에 작별을 고해야겠소.”
“아니오, 같이 갈 일입니다.”
검모잠이 급하게 갑옷을 챙기기 위해 몸을 움직였다.
“아니오. 장군은 헛되이 죽음을 맞이할 수 없소.”
“그게 무슨 말씀이오?”
“장군의 현상태로 전투 참여는 불가하오. 그러니 잠시 몸을 피하였다가 후일 다시 한 번 고구려의 정신을 살려주시오.”
“무슨 말씀인지.”
“장군께서 그 어려운 전투에서 살아남은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을 겁니다. 아울러 고구려가 이리 허무하게 무너질 수 없음을 입증시켜달라는 부탁입니다. 후일 여차하면 신라의 김유신 장군에게 도움을 청하시오.”
검모잠이 가볍게 신음을 내뱉었다.
“부탁드립니다, 장군.”
남건이 자세를 바로하며 고개를 숙이고는 다식에게 검모잠을 성 밖으로 호위하라는 명을 내리고 급하게 밖으로 나섰다.
밖으로 나서자 어둠 속에서 불시에 감행한 기습공격에 고구려 군사들이 속수무책으로 무너지고 있었다.
“고구려 병사들이여, 우리는 고구려인이다. 최후의 일각까지 반드시 오랑캐 놈들을 무찌르도록 하라!”
남건이 목청껏 외쳐대며 급하게 앞으로 나서자 우왕좌왕하던 고구려 병사들이 고개를 돌려 모든 힘을 다해 그의 뒤를 따르기 시작했다.
선두에서 밀려들어오는 당나라와 신라의 연합군을 맞아 혈투를 전개하는 순간 저만치 성루에서 바람에 휘청거리는 삼족오기가 달빛에 어스름하게 모습을 드러냈다.
잠시 그를 살핀 남건이 젖 먹던 힘까지 다하여 적군에게 칼을 휘두르며 성루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뼈가 가루가 될지언정 삼족오기, 아버지의 혼이며 고구려 정신만은 쓰러지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일념으로.
“대장군, 이를 어쩌면 좋아요.”
유신은 풍병으로 운신이 편치 않아 자리보전 중이었다.
지소부인이 약탕기를 들여와서는 심각한 표정을 지으며 조심스럽게 운을 뗐다.
“무슨 일인데 그러오.”
“우리 아들 원술이…….”
“원술이 뭐요!”
“전장에서 패하고 돌아…….”
“뭐라. 원술이!”
외마디 외침과 동시에 유신이 반사적으로 몸을 일으켜 자세를 바로했다.
“대장군!”
지소부인이 상태는 아랑곳하지 않고 꼿꼿하게 앉아서 부들부들 떨고 있는 유신에게 바짝 다가앉았다.
“그래서 어떻게 되었소?”
유신이 어금니를 깨물고 힘들게 입을 열었다.
“지금 궁에서 석고대죄 중이라 합니다.”
석고대죄
석고대죄를 되뇌던 유신이 힘들게 일어나기 시작했다.
그를 살피던 지소부인이 즉각 유신의 한쪽 겨드랑이를 파고들었다.
고구려가 당나라와 신라의 연합군에 의해 멸망당하자 당나라는 기어코 검은 속내를 드러내기 시작했다.
고구려와 백제뿐만 아니라 신라까지도 집어삼키려는 야욕을 드러냈고 급기야 신라는 고구려의 유민과 함께 백제의 옛 땅을 점령하여 세력을 확장시켜나갔다.
<다음 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