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시사 취재1팀] 장지선 기자 = 서울 역삼동 소재의 갤러리 이마주서 2일부터 박현수 작가의 개인전을 선보인다. 박현수는 빛의 개념을 팝과 추상의 복합적 형식을 통해 평면에 나타내는 작업을 해왔다. 박현수가 소개하는 빛의 세계 속으로 들어가보자.
긁어내기, 디깅은 박현수의 작업 과정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그는 무수한 색의 드리핑으로 첫 화면을 가득 채우고 그 위를 단색으로 덮는다. 그리고 두 번째 채색이 완전히 마르기 전에 첫 화면이 드러나도록 섬세하게 긁어내는 작업으로 마무리한다.
덧칠하고
평면적으로 쌓아가는 작업이지만 결과적으로 긁어내기를 통해 뒤의 화면이 앞으로 돌출돼 보인다. 평면과 입체의 상반된 효과가 교차되는 셈이다. 박현수는 “작품에는 이중성이라는 내·외적이며 복합적인 상징적 의미가 내포돼있다”고 밝혔다.
이어 “내적으로는 오랜 시간 직접 체험한 동·서 문화의 충돌, 갈등과 융합의 문제를 다뤘다”며 “외적으로는 작업을 실행에 옮기는 행위에 있어 자유로운 드리핑의 반복과 극단적인 집중을 요하는 디깅, 즉 페인팅을 깎아내며 형체를 만드는 절제의 미를 한 화면에 대치시켰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과정을 통해 새로운 에너지를 화면 또는 공간 위에 생성시킬 수 있다”며 “이러한 행위의 결과물로 얻어진 다양한 기호들은 나만의 시각적 언어고 이를 통해 소통을 꿈꾼다”고 덧붙였다.
그의 작업은 사물에 빛을 투과해 어느 정도 거리서 관찰해보면 결국 모두 원의 형태로 나타나는 과학적 실험을 토대로 한다. 이는 이번 전시 주제인 ‘Core-Vitality’로 연결된다. 원으로 표상되는 핵심과 이미지는 그의 모든 작품에 내재돼있는 중요한 요소다.
갈등과 융합의 문제
드리핑과 디깅 과정
박현수는 원을 모든 형상의 근원으로 본다. 원은 모든 형상과 존재의 최소 단위며, 이러한 최소단위의 원소들이 모여 사물을 만들고 자연을 구성하면서 나아가 우주를 만들고 생성된다고 여긴다.
김영호 중앙대 교수는 “박현수가 시도하는 빛의 표상작업이 다양한 시리즈로 나타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박현수가 이번 전시서 선보이는 작품을 대략 4개의 시리즈로 분류할 수 있다”며 “그가 ‘C’로 표현하고 있는 ‘커뮤니케이션’을 비롯해 ‘리듬’ ‘서어클’ ‘바디’ 시리즈”라고 전했다.
커뮤니케이션 시리즈는 화면 전체를 박현수 특유의 작은 기호들로 채워 배열해놓은 작업이다. 다양한 컬러를 드리핑 기법으로 처리해 건조시킨 후 화면 전체를 색면으로 다시 덧칠하고 물감이 마르기 전에 기호적 형상으로 긁어내는 방법을 사용한 초기의 작업들이다.
고무칼로 긁어내 바탕을 다시 나타낸다는 점에서 일종의 스크래치 기법이라 할 수 있다. 덧칠된 물감을 걷어내는 과정서 드러난 기호들은 칼리그래프처럼 나름의 리듬과 질서를 지닌 채 화면 전체에 배치돼있다. 이러한 방식은 시간이 흐르면서 보다 복잡한 구조를 띤다.
김 교수는 “이 같은 기법은 박현수의 작업 전체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면서 양식화되고 있다”며 “시리즈 제목서 암시하듯 이러한 행위의 배면에는 작가가 소통의 조건이 되는 두 개 이상의 개체적 단위 사이의 관계성에 주목하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리듬 시리즈는 비행기 창문 너머로 보이는 빛의 공간을 연상하게 하는 작품들이다. 화려하면서도 장식성이 돋보인다. 원형 창문은 스크래치 기법으로 바탕의 무지개빛 색면을 드러나게 했다. 원의 내부 공간은 수평적 구조를 지닌 다양한 색채의 빛으로 채웠다.
서어클 시리즈는 제목 그대로 원형 혹은 타원형으로 설정된 색면을 배경으로 다양한 형태의 기호들을 무중력 공간에 부유하는 유물의 파편처럼 배치한 작품이다. 배경의 이미지는 그 위에 표상된 기호 이미지를 받쳐주는 바탕이나 정신의 그림자, 핵의 구조처럼 보이기도 한다.
서어클 시리즈의 표상방식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난다. 고무칼로 벗겨낸 기호의 표면이 발산하는 무지개빛 컬러는 마치 금관이나 향로 등의 전통적 금속공예 유물의 아름다움을 연상케 한다. 이때 나타나는 정신성은 이 시리즈의 매력으로 꼽힌다.
바디 시리즈는 몸의 실루엣을 암시하는 색면을 설명하고 그 표면에 박현수 특유의 색환을 배치한 작업이다. 이 시리즈서 작가는 추상적 패턴에 구체적인 사물을 암시적으로나마 놓으려는 의도를 적극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김 교수는 “박현수의 작품서 표상되는 빛의 구조와 정신은 다양한 형식적 실험을 통해 전개된다”며 “그 형식은 스크래치 기법에 의한 색면의 화려함을 공통분모로 삼아 일관성을 보인다”고 밝혔다.
이어 “그 형식은 드리핑과 드로잉, 배열, 반복, 패턴 등의 기표적 용어로 정리될 수 있다”며 “동전의 양면처럼 자리 잡은 기의적 개념들은 빛과 공간, 그림자, 정신, 풍경, 자연 그리고 핵의 의미들”이라고 설명했다.
긁어내고
갤러리 이마주 관계자는 “끊임없이 실험하고 자신만의 개념을 다양한 시리즈로 전개하는 점이 박현수의 가장 큰 장점”이라며 “이러한 부분이 앞으로도 작가에게 큰 기대를 갖게 하는 요인”이라고 강조했다. 전시는 오는 4월20일까지.
<jsjang@ilyosisa.co.kr>
[박현수는?]
▲학력
건국대학교 영상학박사 졸업(2018)
샌프란시스코 아트인스티튜트(대학원) Painting 전공(2004)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서양화과 졸업(1998)
중앙대학교 회화과 졸업(1992)
▲개인전
‘박현수 개인전’ 갤러리 이마주, 서울(2019)
‘Hyun-Su Park Show’ Art Lab TOKYO, 도쿄(2018)
‘Journey to Universe II’ 온유갤러리, 안양(2018)
‘제2회 전혁림미술상 수상작가전’ 전혁림미술관, 통영(2017)
‘Journey to Universe’ 호서대학교 중앙도서관 갤러리, 아산(2017)
‘The Bloom’ 우종미술관, 보성(2014)
‘Expansion’ 진화랑, 진아트센터, 서울(2014) 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