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인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그런 의미에서 대감과 저는 이 술을 통해 한번 깨달음을 찾아보지요.”
온사문이 천천히 병을 들어 연개소문의 잔을 채웠다.
연개소문이 온사문과 헤어지고 술상을 다시 보라 하고 아들들을 불렀다. 남생, 남건, 남산이 자리하자 연개소문이 아들들의 잔을 채웠다.
떠나는 이유
“아버지, 스님께서 무슨 일로 다녀가셨는지요?”
큰 아들 남생이 연개소문의 잔을 채우며 입을 열었다.
“이 아비에게 함께 여행 가자고 권하더구나.”
“여행이오?”
“이 아비가 평생 풀지 못한 숙제를 여행을 통해 마무리하자고 권했다.”
마무리라는 소리에 아들 셋이 서로의 얼굴을 바라보았다.
“아버지 평생 숙제는 당나라 점령을 통해 우리 민족의 뿌리를 찾는 게 아닙니까?”
둘째인 남건이 목소리를 높였다.
“그런 차원에서 여행을 떠나려 한단다.”
“스님과 함께 말이지요?”
반문한 남건이 술잔을 만지작거렸다.
“그런 연유로 이 아비가 너희들과 자리를 마련했다. 자, 어서 들도록 하자.”
연개소문이 잔을 들자 아들들 역시 잔을 들어 아버지의 마시는 모습을 살피며 잔을 비워냈다.
“이 아비는 말이다, 참으로 행복한 사람이야.”
연개소문이 여운 대신 은근한 표정을 지었다.
“그건 반대지요. 오히려 저희가 행복하지요.”
셋째 남산이 말을 하고는 마치 동의를 구하듯이 형들을 번갈아 바라보았다. 그 시선에 남생과 남건이 고개를 끄덕여주었다.
“너희들이 그리 생각해준다면 이 아비로서는 그저 고마울 따름이다.”
“그런데 아버지. 어디로 여행을 떠나신다는 말씀이세요?”
“이 아비가 말하지 않았느냐.”
“평생 풀지 못한 숙제…… 그러면 당나라로 여행을 가신다는 말씀이세요?”
“그야 당연한 일 아니냐?”
남생의 걱정스런 표정과는 달리 연개소문의 얼굴에는 잔잔한 미소가 흘렀다.
“아니 됩니다, 아버지?”
“아니 되다니. 그 이유가 무엇이냐 남산아.”
“아버지께서 당나라에 들어서시면 당나라 놈들이 가만히 놓아두겠어요?”
“제 놈들이 나를 어찌 알아보려고. 이 늙은이를 말이다.”
“그건 모르잖아요?”
“걱정하지 말거라. 온사문 스님과 함께 동행하는 나를 알아볼 리도 없지만 설령 저들이 이 아비를 알아본들 어떻겠느냐.”
“아버지!”
“왜 그러냐, 남건아.”
“소자가 모시겠습니다.”
“아니다. 이번 여행은 이 아비 혼자 갈 터이니 너희들은 조금도 걱정하지 말거라.”
“그래도…….”
남건이 불길한 생각이 든 모양으로 표정이 편치 못했다.
그를 알아챘는지 연개소문이 남건을 위시해서 아들들의 손을 가볍게 잡아주었다.
“이 아비가 말이다.”
연개소문은 말문을 열어놓고는 말 없이 아들들의 얼굴을 찬찬히 바라보았다.
“왜 말씀하시지 않으세요?”
“너희들 얼굴 보니 그저 좋아서 그런단다.”
당으로 떠나는 연개소문 “삼족오를…”
김유신 떨어지는 연개소문 별을 보다
연개소문이 온사문과 함께 길을 나서자 둘째인 남건이 국경까지 배웅하겠다며 따라붙었다.
“아버지!”
“말해보거라.”
“이번 여행의 의미를 말씀해주세요.”
“여행이라는데 무슨 의미가 있겠느냐?”
“다시는 아버지를 뵐 수 없을 것 같은 생각이 들어서.”
“허허 이런 녀석을 보았나. 아비가 그저 잠시 여행 다녀온다 해도.”
연개소문이 온사문에게 시선을 주었다.
“소승이 성심성의껏 모실 테니 조금도 걱정 마시오.”
“스님께서 함께하시니 마음이 편하기는 한데.”
“남건아!”
연개소문이 말하려는 남건을 제지했다.
“말씀하세요, 아버지.”
“네가 누구냐?”
“누구라니요, 아버지의 아들이지요.”
“단지 그뿐이냐?”
남건이 어리둥절한 표정을 지으며 온사문을 주시했다.
“이 아비가 바로 너희들 아니겠느냐, 특히 남건이 너 말이다.”
“무슨 의미인지요?”
“이 아비의 몸은 물론 마음도 너희와 함께한다는 이야기니라. 그러니 이 아비는 언제고 너희들 몸과 마음에 묻어 있다는 이야기야.”
“하지만.”
“말하거라.”
“언제고 아버지와 함께해야지요.”
연개소문이 잔잔하게 미소를 머금으며 남건의 손을 잡아주었다.
여러 날이 지나 국경에 이른 연개소문이 떨어지지 않으려는 남건을 돌려보내고 온사문과 함께 둘이 길을 가기 시작했다.
“대감, 이참에 마무리 지을 생각이신지요?”
연개소문이 답에 앞서 품에서 깃발을 꺼내 펼쳤다.
“이것은?”
“삼족오입니다.”
우리 민족의 시원을 암시하며 또 연개소문을 상징하는 삼족오를 바라보며 온사문이 의미심장한 표정을 지었다.
“그래요, 스님. 내 이것을 당나라의 수도 한복판에 꽂으려 하오.”
“아버지!”
김유신이 저녁 늦은 시간 정자에서 부인과 둘째 아들 원술과 함께 단란한 시간을 보내는 중에 큰아들인 삼광이 급하게 다가섰다.
“왜 그러느냐?”
“백제의 잔당들과 다시 맹약을 맺기로 하였답니다.”
“그게 무슨 소리냐?”
“일전에 김인문 외숙께서 백제의 부여 융과 웅진에서 맺었던 맹약은 취소하고 임금과 부여 융이 취리산(就利山, 충남 공주 소재)에서 다시 맺기로 했다 합니다.”
“당연히 그리해야지.”
유신이 시큰둥하게 대답하고 부인을 주시했다.
“장군이 말씀하신 대로네요.”
“그놈들의 속셈이 그대로 드러나는 게지요.”
“아버지, 저기를 보세요.”
유신이 혀를 차는 순간 원술이 갑자기 북쪽 하늘을 바라보며 소리쳤다. 모두의 시선이 곧바로 원술이 가리키는 곳을 주시했다. 북쪽 하늘에 있던 별이 포물선을 그리며 당나라 수도인 장안 쪽으로 천천히 떨어지고 있었다.
“장군, 무슨 의미입니까?”
떨어지는 별
“아마도 연개소문이 숨을 놓은 모양인데.”
유신이 자리에서 일어나 세심하게 살피자 모두 자리에서 일어났다.
“연개소문이라면 고구려의 막리지 아닙니까. 그런데 왜 저쪽으로 떨어집니까. 저 방향은 당나라 쪽 아닌지요.”
“그런 연유로 지금 그를 생각하는 중이라오. 왜 별이 저곳으로 떨어졌는지.”
유신이 가만히 생각에 잠겼다가는 부인에게 간단하게 주안상을 차려 달라 부탁했다. 유신의 차분한 말투에 부인이 곧바로 몸을 움직였다.
<다음 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