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인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유신이 경주로 돌아오자 무사 귀환을 두고 서서히 말이 불거지기 시작했다.
연개소문과의 비밀스런 만남에 대해 둘 사이에 모종의 협의가 있었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굴욕적인 행동이 있었을 것이라는 이야기였다.
그 이야기는 서서히 증폭되기 시작하여 김유신이 고의로 행군 일정을 지연시켰고 그에 당의 소정방 대장군이 진노하기에 이르렀다는 이야기로 비약되었다.
또한 지난 시절 고구려 침략을 중지하고 퇴각한 일 역시 연개소문과 모종의 사전협약이 있었을 것이라는 말도 흘러나왔다.
주변에서 그런 이야기가 돌아다니자 유신이 측근들을 시켜 상황을 정리하도록 했다.
결국 진원지로 인문이 거론되었다.
그와 관련 잠시 생각을 정리하던 유신이 문무왕을 독대했다.
유언비어
“전하, 송구하기 그지없습니다.”
“자초지종을 말씀해주시겠습니까?”
안타까운 표정을 지으며 맞이한 문무왕에게 연개소문과 나누었던 이야기 그리고 자신이 살아 돌아올 수 있었던 상황에 대해 상세하게 보고했다.
“그런 일이 있었군요.”
“송구하오나 그러합니다.”
“연개소문이라!”
문무왕이 연개소문을 되뇌며 혀를 찼다.
“비록 현재로는 적군이지만 영웅기질이 다분했습니다.”
“영웅이라! 대장군도 그에 못지않습니다.”
“소장은 그에 비하면 그야말로 조족지혈에 불과합니다.”
“지나친 겸손이십니다.”
유신이 가볍게 고개 숙였다.
“그런데.”
“말씀하시지요.”
“당나라에서 그 일로 문책이 있을 듯합니다.”
“문책이라니요?”
“기한 내에 보급품을 전하지 못했으니 그를 구실로 반드시 뭔가 트집을 잡고자 할 것입니다.”
“당연히 그리하겠지요.”
문무왕이 답을 하고는 미소를 보였다.
“무슨 의미입니까?”
“먼저 손을 쓰도록 하렵니다.”
“손을 쓰신다 함은.”
“사절을 보내려 합니다.”
“소장의 실책으로 일이 그리되었습니다.”
“아니오. 한편으로 생각하면 잘된 일일지도 모릅니다.”
“그 말씀은.”
“짐 역시 연개소문과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유신이 가볍게 신음을 뱉었다.
“지금은 상황이 이래서 어쩔 수 없지만 당의 하는 행동을 살피면 언제고 일전을 불사해야 함을 알고 있습니다.”
“전하께서 역시 뜻이 깊으십니다.”
유신이 가볍게 고개 숙였다.
“그런 차원에서 이제는 백제의 일을 마무리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려 합니다.”
“바로 말씀하셨습니다. 지금 저들이 도독부를 두고 눌러 앉아 백제를 자신들의 영토로 삼키려 하는데 우리 힘으로 백제를 정벌하고 빨리 두 나라 간의 통일을 우선적으로 이루어야 합니다.”
유신의 말에 문무왕이 잠시 침묵을 지켰다.
순간 어두운 그림자가 문무왕의 얼굴을 스치고 지나갔다.
“무슨 일 있습니까?”
“인문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유신이 인문을 되뇌며 신음을 내뱉었다.
“어찌 처리하면 좋겠소?”
“전하께서 판단하실 일입니다.”
“나라의 앞일을 생각하면 이쯤에서.”
“혹시 죽이시…….”
“가끔 그런 생각이 들고는 합니다. 마치 아우가 아니라 당에서 건너온 세작 같은 생각이 듭니다.”
“여하한 경우라도 절대 죽이시겠다는 생각은 안 됩니다.”
“특별한 이유라도 있습니까?”
“첫째는 선왕을 염두에 두셔야 합니다.”
무열왕 김춘추를 의미했다. 그 소리에 문무왕이 가볍게 한숨을 내쉬었다.
“다음은 당나라와의 관계 때문입니다.”
“당과의 관계요?”
“지금 바로 신라가 당을 적대국으로 돌릴 수는 없습니다. 아울러 당과의 관계에서 인문 왕자의 역할이 적다 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그를 이용하자는 말씀이십니까?”
“반드시 그래서라기보다도 현재로서는 선택의 여지가 없습니다. 혹여 인문 왕자를 제거한다면 당에서 가만히 있지 않을 겁니다.”
“그렇다고.”
“큰일을 이루기 위해 작은 희생은 감수해야 합니다.”
“그러면 인문을 어찌 처리했으면 좋겠소?”
“당나라로 보내는 편이 이롭습니다.”
“조공과 함께 사절로 말이지요?”
인문에 관한 처우는?…결국 당나라로
진주·진흠의 횡포…군법으로 다스리다
문무왕이 오래지 않아 조공과 함께 김인문을 당나라에 보내고는 백제의 잔당들을 치기 위해 흠순을 장군으로 하여 군사를 보내 내사지성(內斯只城, 대전 유성)을 토벌하는 중에 대당 총관 진주와 남천주 총관 진흠에 관한 보고가 들어왔다.
그 둘이 거짓으로 병을 핑계 삼아 한가로이 지내며 나라 일을 돌보지 않는다는 이야기였다.
순간 이상한 생각이 들어 유신이 세작을 보내 그 실정을 파악하도록 지시했다. 결국 그들이 남모르게 당나라 군사들에게 조공을 바치며 나름의 신임을 얻고 그를 구실로 업무를 소홀히 하고 있음을 파악했다.
그 사실을 문무왕에게 고한 유신이 두 사람을 잡아들여 무릎 꿇렸다.
“너희 두 놈이 병을 핑계 삼아 업무에 소홀하며 계집질에 환장하고 있다는 보고가 있는데 그게 사실인가?”
“대장군, 너무 심하지 않소?”
유신이 취조를 시작하자 진주가 거만한 표정을 지으며 반문했다.
“무어라, 너무하다고!”
“그렇지 않고서 무고하는 말만 듣고 소장들을 이리 대할 수 있습니까?”
진흠 역시 뒤질세라 소리를 높였다.
“그러면 너희 두 놈은 전혀 그런 일이 없다는 말이냐?”
재차에 걸친 유신의 추궁에 두 사람이 서로의 얼굴을 주시했다.
“바로 답하지 못하겠느냐!”
“그게.”
진흠이 어물거렸다.
“여봐라, 저 두 놈을 매우 쳐라!”
유신의 지시에 따라 매를 든 두 명의 병사가 등줄기를 내리쳤다.
“대장군, 이러시면 곤란하십니다.”
매를 받은 진흠이 고통으로 일그러진 표정을 지으며 유신을 노려보았다.
“네 놈들이 국법을 무시하고도 살아남을 줄 알았더냐? 저 놈들을 매우 쳐라!”
두 사람의 등으로 지속해서 매가 떨어지고 이어 피가 튀었다.
“잠시 멈추시오!”
한 순간 우렁찬 소리가 들려왔다. 그곳으로 고개를 돌리자 당나라 복장을 한 사람이 급하게 다가서고 있었다.
“그대는 뉘시오?”
“신은 황제 폐하의 명을 받아 사비성을 수호하고 있는 유인궤 장군을 모시고 있는 사람이외다.”
“그런데 여기는 어인 일이오?”
“신라 조정에서 진주와 진흠 두 장군을 잡아들였다 하여 그 사유를 알고자 급히 찾아왔소.”
“그게 무슨 말이오?”
“두 장군이 우리 당나라에 협조적인 점을 감안하시라는 장군의 말씀이 있었소.”
말을 마친 유인궤의 사자가 두 사람을 주시하자 일말의 희망을 보았는지 표정이 살아나고 있었다.
“유인궤 장군에게는 따로 전할 터니 귀하는 물러나시오!”
유신이 칼로 땅을 치며 완곡한 표정을 짓자 잠시 머뭇거리던 사자가 슬그머니 물러났다.
“네 놈들이 어떤 짓을 했기에!”
일벌백계
당나라 사자의 출현이 오히려 유신의 분노를 더욱 자극했다는 감을 받은 두 사람의 표정이 다시 어둡게 변해갔다.
“어서 이실직고하지 못하겠느냐!”
결국 두 사람이 거듭되는 추궁과 매질에 조정 몰래 당나라 군사들에게 조공을 바친 사실을 실토했다.
“여봐라, 저 두 놈, 아니 저 버러지만도 못한 두 놈의 삼족까지 모두 효수하도록 하라!”
유신의 불호령에 놀란 진주와 진흠의 아랫도리에서 액체가 흘러내렸다.
<다음 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