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인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성주, 무엇이 잘못된 거요?”
“무슨 소리요?”
“보아하니 당나라 군사의 숫자가 그리 많지 않아 보이던데 그들에게 패한 사유가 무엇이오?”
순간 지수신이 두 사람에게 다가섰다.
“두 분, 왜 이리도 어리석소.”
“무슨 말을 그리 심하게 합니까!”
지수신의 일침
그 소리는 듣기 싫었는지 도침이 소리를 높였다.
“두 분이 분명 전투 경험이 없다 말하지 않았소.”
“그랬소만.”
“그러면 소장의 의견을 따라주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차마 뭐라 답할 수 없었는지 서로의 얼굴을 바라보았다.
“여하튼 장군에게는 면목 없소.”
한껏 풀이 죽은 복신이 기어가는 듯 말을 이었다.
“좋소. 어차피 이 성에서 내 역할은 없어 보이니 나는 곧바로 임존성으로 돌아갈 터요. 부디 경거망동하지 마시오. 비록 성주고 스님이지만 전쟁에 임하면 장군의 입장에서 본분을 다하시오.”
지수신이 임존성으로 돌아가자 복신과 도침은 지수신의 마지막 말을 되새겼다.
가뜩이나 전투 경험이 없는데 거기에 더하여 성주니 스님이니는 결코 어울리지 않았다.
고민 끝에 둘은 자신들의 직위를 새로 정한다.
도침은 스스로 영군장군(領軍將軍)이라 일컫고, 복신 역시 스스로 상잠장군(霜岑將軍)이라 일컬었다.
자신들을 장군으로 칭한 두 사람이 그를 기회로 당나라 군사에게 아깝게 패했다는 소문 그리고 뒤를 이어 풍 왕자의 귀국 소식을 퍼트리면서 군사들을 모으기 시작했다.
그에 따라 백제의 중흥을 바라는 많은 사람들이 무리에 합류했다.
“상잠 장군, 이제 사비성을 쳐야하지 않겠소?”
“소장이 알기로는 사비성에는 신라군은 없고 오로지 당나라 군사만 주둔하고 있는 걸로 알고 있소만.”
“그야 당연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당군을 상대로 전쟁할 필요 있소?”
“한번 당해서 그럽니까?”
“당해서 그렇다기보다 우리의 적을 명확하게 설정해야 하지 않겠소?”
“우리의 적이라.”
“지금 우리의 세로는 당을 상대로 전쟁을 치룰 수 없소. 다만 신라에 대해서는 별개지만 말이오.”
“그렇지요. 당나라를 상대로 우리가 무리할 필요는 없지요. 아니 오히려 당과는 친밀한 관계를 유지함이 바람직하지요.”
“그런 차원에서 당과는 불가근불가원의 관계를 유지하도록 합시다.”
“만일에 대비해서라도 그리해야지요.”
“그런 차원에서 사비성을 공격할 게 아니라 글을 보내 저들의 속을 한번 떠 보면서 대책을 논의합시다.”
두 사람이 의기투합함에 따라 한편의 글을 써서 사비성의 유인궤에게 보냈다.
‘듣건대 당나라가 신라와 서약하기를 백제인은 늙은이 젊은이를 묻지 않고 모두 죽인 연후에 백제를 신라에게 넘겨주기로 하였다 하니 앉아서 죽음을 기다리는 것이 어찌 싸워서 죽는 것만 같겠소? 이런 연유로 우리는 힘을 합쳐 스스로 굳게 지킬 것이오.’
사절로부터 서신을 받은 유인궤가 한동안 글의 뜻을 이해하지 못해 난감한 지경에 처했다.
전쟁을 하겠다는 이야기인지 말겠다는 의미인지 도대체 가늠하지 못한 유인궤가 결국 서신을 가져온 사절에게 보충 설명을 듣고자 하는데 그 역시 무슨 의미인지 정확히 답변하지 못하는 촌극이 벌어졌다.
백제에서 온 사절을 보내고 한참을 고민하던 유인궤가 당나라와 백제의 지난 날을 들어 항복을 권유하는 글을 주류성으로 보냈다.
복신과 도침이 함께 머물러 있다 사자가 주류성에 도착하여 서신을 가지고 객관에 머물러 있다는 소식을 접했다.
“사자의 직급이 어찌되는고?”
“그냥 당나라 병사입니다.”
“병사라고?”
유인궤의 황당한 고민 “어쩌라는 것인지?”
당고종, 본격적인 고구려 침공을 결정하다
도침이 얼굴을 찡그리며 복신을 주시했다.
“대 백제의 장군에게 병사를 사절로 보낸다니.”
“상잠 장군, 이를 어찌 해석해야 좋겠소?”
“혹시 당나라에서 우리의 위상을 떠보는 게 아닐까요?
“그런 듯합니다. 장군과 제가 백제에서의 위상이 어느 정도인지 가늠하려고 병사를 사절로 보낸 듯합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사절을 접견할 수 없는 노릇입니다.”
“당연하고말고요. 전혀 격이 맞지 않습니다.”
주거니 받거니 말을 잇던 도침이 결국 수하 병사에게 격이 맞지 않으니 사절을 받을 수 없다는 지침을 주고 돌려보내라 했다.
백제의 장수도 만나지 못하고 돌아온 사자를 바라보며 유인궤가 다시 황당한 고민에 빠져들었다. 도대체 백제의 반군들이 무슨 의도를 가지고 있는지 헤아리기 쉽지 않았고 결국 그들을 힘으로 제압하기로 결정 내리고 당고종에게 다시 군사 증원을 요청하기에 이르렀다.
백제의 폐주인 의자왕과 군대부인인 은고가 연개소문이 보낸 스님으로 가장한 자객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는 소식이 당고종에게 전해졌다.
분노에 치를 떨던 고종은 즉각 조정 회의를 소집하고 군사를 모집하기 시작했다.
그 소식을 접한 연개소문이 당의 대군을 맞이할 준비를 서두르는 중에 새로운 소식이 전해졌다.
당고종이 대군을 이끌고 스스로 고구려 침공을 진두지휘하는 시점에 신하들이 선왕인 당태종의 경우를 들어 극구 만류하고 나섰고 또 왕비인 무후(측천무후) 역시 만류하고 나서자 그를 철회했다는 소식이었다.
아울러 당나라의 전 병력을 동원하여 여러 갈래 길로 군사를 나누어 침공할 것이라는 보고를 접했다.
연개소문이 장군들을 막사로 소집했다.
“당나라에 있는 세작에 의하면 당고종 이 놈이 친정을 포기하고 군사를 여러 갈래로 나누어 보낸다 하오.”
“여러 갈래라 하면.”
고문의 표정이 심각하게 변해갔다.
“임아상이란 놈이 패강도(浿江道, 황해도 지역) 행군총관으로 글필하력이란 돌궐 출신 장군으로 하여금 요동도 행군총관으로 또 백제를 정벌한 소정방을 평양도 행군총관으로 삼아 침공한다는 정보요. 또 영주(營州) 도독(都督) 정명진을 루방도(樓訪道, 요서 지방) 행군총관, 방효태를 옥저도(沃沮道, 함경남도 해안) 행군총관으로 소사업을 부여도(扶餘道, 북만주 일대) 행군총관으로 삼아 회흘(回紇 : 철륵, 위그르) 등 여러 부의 군사를 거느리고 침공을 기도한다 하오.”
“이 놈들이 본격적으로 고구려를 치려는 모양입니다.”
고문이 핏대를 세우며 둘러보았다.
다음수는?
“시간 차이만 있을 뿐이지 계획되어 있던 일이오.”
“대감, 우리는 어찌 대응해야 할까요?”
연개소문이 대답 대신 남건에게 군사지도를 가져오도록 했다. 이어 지도를 펼치고 각 지점을 지적하기 시작했다.
<다음 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