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황천우는 우리의 현실이 삼국시대 당시와 조금도 다르지 않음을 간파하고 북한과 중국에 의해 우리 영토가 이전 상태로 돌아갈 수 있음을 경계했다. 이런 차원에서 역사소설 <삼국비사>를 집필했다. <삼국비사>를 통해 고구려의 기개, 백제의 흥기와 타락, 신라의 비정상적인 행태를 파헤치며 진정 우리 민족이 나아갈 바, 즉 통합의 본질을 찾고자 시도했다. <삼국비사> 속 인물의 담대함과 잔인함, 기교는 중국의 <삼국지>를 능가할 정도다. 필자는 이 글을 통해 우리 뿌리에 대해 심도 있는 성찰과 아울러 진실을 추구하는 계기가 될 것임을 강조했다.
의자왕이 생각을 정리하는 듯 예식의 얼굴을 뚫어져라 바라보았다. 흔들리는 예식의 눈을 바라보며 일이 크게 어긋났음을 직감했는지 표정이 급격하게 굳어졌다.
“물럿거라!”
의자왕의 고함에 다가서던 병사들이 다시 머뭇거렸다.
진짜 속셈은?
“네 놈의 속셈은 모르겠으나 내 발로 움직이련다.”
의자왕이 은고에게 손을 뻗자 은고가 창백한 얼굴로 천천히 자리에서 일어났다.
“방령은 이 무슨 일인지 이실직고하라!”
한껏 힘이 들어간 소리에 예식의 눈동자가 흔들렸다.
“그리 간이 작아서 무슨 일을 도모하겠다는 말이냐!”
의자왕이 싸늘한 시선으로 예식을 쏘아보았다.
“이 나라가 무능한 왕으로 인해 망했으니.”
“똑바로 아뢰지 못하겠느냐!”
“나라를 망친 미친놈을 잡아 신라군에게 넘기려…….”
기껏 힘을 주어 이야기한다고는 했는데 뒤가 말려들었다.
“뭐라, 짐을 신라에 넘기겠다!”
예식이 답을 하지 않고 그저 주시만 했다.
“왜 짐을 신라에 넘기려는지 그 이유를 알 수 있겠느냐?”
“방금 전 신라의 왕자인 김인문이 사람을 보내와 웅진성의 안전을 보장해줄 터이니 폐주를 넘기라는 제안에 따라 신라에 넘기려 한다.”
“한심한 놈이로고.”
“나라를 망친 주제에 무슨 말이 많으냐. 여봐라, 어서 이놈을 포박하여 끌고 나가거라!”
“이왕 이리되었으니 짐이 한마디만 해주겠노라.”
“말해보라!”
“간사한 신라놈들의 계략에 빠진 모양인데 네가 정령 웅진성의 안전을 기한다면 신라가 아닌 당나라에 짐을 넘겨야 할 일이로다.”
“당나라에.”
“이 미련한 놈아, 신라놈들이 약속 지키는 거 보았느냐!”
의자왕이 한심하다는 듯 혀를 차고 선선히 병사들의 행위에 응해주고는 은고와 사비성으로 이송되었다.
사비성에 이르자 예식이 김인문이 아닌 소정방과 김유신 등 수뇌부가 함께 하고 있는 곳으로 의자왕을 끌고 갔다.
한눈에 의자왕임을 감지한 모두가 자리에서 일어나 다가오는 예식 일행을 주시했다.
“웅진성 방령인 예식이 폐주를 바치며 항복을 청합니다.”
순간 김유신이 앞으로 나섰다.
“여봐라, 백제의 폐주를 인수하라!”
신라 병사들이 의자왕 곁으로 다가섰다.
“잠깐!”
신라군에게 넘기려…의자왕 “당에 넘겨라”
모척과 검일 소정방에게 사연 남기고 죽다
신라 병사들이 막 의자왕과 은고에게 접근했을 시점에 소정방이 급하게 저지했다.
“왜 그러시는지요, 대장군.”
“누구에게 항복하는지 살피고 조처 취해야 할 일이오.”
유신이 갑자기 난감한 표정을 지었으나 소정방이 그를 모른 체하고 한걸음 앞으로 나섰다.
“말해보거라, 누구에게 항복하는 게냐!”
“대장군, 비록 백제의 폐주지만 백제가 신라에 항복할 수는 없는 노릇이오. 그러니 당연히 백제의 상국인 당나라에 항복을 청합니다.”
예식이 우물거리자 의자왕이 담담하게 입을 열었다.
그를 살피던 소정방이 미소 지으며 유신을 바라보았다.
“폐주와 아들들 그리고 백제의 신하들은 모두 당의 포로이니 만큼 이곳이 정리되는 대로 당나라로 이송하여 황제폐하께 고하려 하오. 그러니 그리 알고 포로들에 대해 각별하게 신경 쓰시오.”
소정방 이하 당나라 군사들이 백제의 귀중한 보물을 약탈하느라 혈안이 되어 있을 즈음 백제의 항복 소식을 접한 무열왕이 사비성에 도착하여 크게 주연을 베풀어 군사들을 위로하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소 대장군, 짐이 대장군에게 청이 있소.”
주연이 한창 무르익어갈 무렵 무열왕이 소정방에게 잔을 건넸다.
“말씀하시지요, 전하.”
“백제의 모든 포로들을 상국인 당으로 이송함은 지극히 타당합니다.”
말을 하다 멈추고 무열왕이 은근한 시선으로 소정방을 주시했다.
“시원하게 말씀 주시지요.”
“하오나 짐의 철천지원수를 직접 처단할 수 있도록 편의 부탁하려 합니다.”
“원수라니요, 나라간 전쟁에 원수가 있을 수 있습니까?”
다분히 의자왕을 의식한 반응이었다.
“백제의 일이 아니오.”
“그러면?”
“오래전 우리 신라의 대야성에서 전투가 있었는데 신라의 장군으로서 신라를 배신하고 짐의 딸과 사위를 잔인하게 죽인 자들이 지금 포로 중에 섞여 있소. 그런 연유로 그 둘을 직접 처단할 수 있도록 배려 부탁하오.”
금시초문이라는 듯 소정방이 눈을 동그랗게 떴다.
“그러면 원래 신라 사람이라는 말입니까?”
“그렇소, 대장군.”
“그러면 일단 그 놈들의 면면이나 봅시다.”
무열왕이 감사의 뜻으로 가벼이 목례하고 김유신을 주시했다.
유신이 자리에서 일어나 신라 병사들에게 조용히 말을 건넸다.
잠시 후 술잔이 돌아가는 중에 두 사람이 포박당한 체 끌려왔다.
“너희들은 누군고?”
“여러 소리 필요 없다. 구차하게 목숨 연명하고 싶지 않으니 어서 죽여라!”
소정방의 은근한 말에 모척이 검일을 바라보며 소리쳤다.
“네 놈들은 살고 싶지 않은 게냐!”
은근했던 소정방의 목소리에 살기가 함께했다.
“구차하게 생명 보전하고 싶지 않소, 다만.”
“말해보라!”
“우리의 억울한 죽음을 세상에 알려주기 바랄 뿐이오.”
소정방이 고개를 돌려 무열왕을 바라보자 무열왕의 안색이 붉게 변해갔다.
“대장군, 바로 목을 베지요.”
“그럴 수 없습니다. 장군의 위치에 있는 만큼 목을 베더라도 그 사유를 알아야 합니다.”
무열왕의 제안을 무시하고 소정방이 검일과 모척을 주시했다.
검일이 모척을 주시하다 천천히 입을 열기 시작했다.
무열왕의 사위가 자신의 아내를 빼앗고 자신을 죽이려했던 일들을 차분하게 설명해 나가자 소정방은 물론 모든 사람들의 표정이 시시각각 변해갔다.
“소 대장군!”
“말해보라!”
검일의 설명이 끝나자 모척이 무겁게 입을 열었다.
“소장이나 검일 장군은 군인이오. 군인은 전쟁터에서 죽을지라도 결코 나라를 배신할 수는 없소이다.”
의리냐 배신이냐
소정방이 고개를 끄덕였다.
“우리의 이름이 어떻게든 후세에 알려질 터인데 치졸한 배신자로 남길 수는 없소. 하니 소 대장군께서 반드시 이 사연을 세상에 알려주시오.”
“당연히 그리할 일이로다.”
<다음 호에 계속>